Search

'EnjoyEnglish'에 해당되는 글 4810건

  1. 2009.05.18 ielts speaking 주제별 자료모음
  2. 2009.05.12 anyway 와 by the way 의 차이점은?
  3. 2009.04.28 have been to & have gone to 차이
  4. 2009.04.28 부사[adverb] - 문장의 미용사
  5. 2009.04.22 whichever 와 whatever의 차이
  6. 2009.04.22 시제일치의 예외
  7. 2009.04.17 2009년 고3 1차 시도교육청 영어듣기평가 11
  8. 2009.04.17 2009년 고2 1차 시도교육청 영어듣기평가 9
  9. 2009.04.16 2009년 고1 1차 시도교육청 영어듣기평가 7
  10. 2009.04.16 2009년 제1회 영어듣기능력평가(중3) 4
  11. 2009.04.16 2009년 제1회 영어듣기능력평가(중2) 15
  12. 2009.04.16 2009년 제1회 영어듣기능력평가(중1) 10
  13. 2009.04.14 09년 4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항지, 정답해설 및 MP3파일 11
  14. 2009.04.10 이투스(etoos) 전국학력 경시대회 영어 모의고사
  15. 2009.04.07 regard A as B에서 전치사 as다음에 형용사가 와도 가능한가요?
  16. 2009.04.02 start와 begin의 차이
  17. 2009.04.01 2010학년 입학사정관전형 특징 및 지원전략
  18. 2009.03.31 수리나형 선택이 가능한 자연계 대학 4
  19. 2009.03.29 영어숫자읽기
  20. 2009.03.25 수능듣기 기출문제 유형별 정리(대본, mp3포함) 13
  21. 2009.03.25 accident 와 incident의 차이
  22. 2009.03.18 오프라 윈프리 스탠포드 졸업연설 2008
  23. 2009.03.17 Farewell Address to Congress - Douglas MacArther(해설, mp3)
  24. 2009.03.17 Blood, Toll, and Sweat - Winston Churhill(mp3,해석)
  25. 2009.03.12 2009년 3월 고3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모의고사 34
  26. 2009.03.12 2009년 3월 고2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모의고사 34
  27. 2009.03.12 2009년 3월 고1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모의고사 2
  28. 2009.03.10 혼동하기 쉬운 단어정리 8
  29. 2009.03.07 2009년 대전, 광주교육청 반배치고사 영어문제
  30. 2009.03.07 티파니&제시카 영어 인터뷰(Kbs 월드라디오 "스타쳇")내용해석 2

ielts speaking 주제별 자료모음

일반영어 2009. 5. 18. 20:57 Posted by chanyi

anyway 와 by the way 의 차이점은?

수능영어/FAQ 2009. 5. 12. 20:13 Posted by chanyi
 
Anyway:어쨌든, 하여튼, 어떻게 해서든,(=anyhow, at any rate, at least)
These expressions can be used to mean "what was said before doesn't matter-the main point is as follows."
Ex)I am not sure what time I'll arrive, maybe half past seven or a quarter eight o"clock. Anyway, you're safe, that's the main thing.

2. By the way:그런데, 우연이긴 하지만, 여담이지만(=incidentally)
By the way and incidentally are used to introduce something one has just thought of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onversation.
Ex) I was talking to Phil yesterday. Oh, by the way, he sends his regards. Well, he thinks.................. 

have been to & have gone to 차이

수능영어/FAQ 2009. 4. 28. 14:32 Posted by chanyi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출판 영어1 교과서 p.64  L. 16 에 "I've gone to many art competitions" 표현이 이상하게 보여요.
상식으로는 have gone의 주어로는 1,2인칭은 안쓰고 3인칭만 사용된다고 하는데...?

====================================================================================

have been to '~에 갔다 왔다'는 뜻이고, have gone to...는 보통은 '...에 가버렸다. (따라서 지금 이 자리에는 없다)'란 뜻으로 쓰입니다.
George has been to Paris.(=He visited Paris in the past.)
George has gone to Paris.(George is there now.)

The doctor hasn't gone yet.(=He's still in the house.)
The doctor hasn't been yet.(=The doctor has not visited the house yet.)

벗드~~
특히 미국영어에서 have gone to...는 (경험을 나타내는 ever, never, once, twice 등의 부사와 함께 쓰이면서) '..에 가 본 적이 있다' 란 [경험]의 뜻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What's the most interesting place you've ever gone to?
  (지금까지 가 본 적이 있는 곳으로 가장 흥미로운 곳은 어디입니까?)

have been to...도 '...에 갔다 왔다'란 [완료]의 뜻 이외에 '...에 간적이 있다'란 [경험]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I've just been to Japan. --완료
  I've been to Japan but it was years ago. ---경험

또 다른 예외를 든다면 한국에 들렀다가 미국으로 다시 들어오는 경우 입국심사(immigration)를 할 때 듣는 “How long have you gone?” 라는 표현을 들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거주하는 사람에게 “얼마나 외국에 가서 머물렀느냐?”하고 묻는 의미에서 사용하는 표현이니까요. 물론 “How long have you been?” 하고 묻는 사람도 없지 않지만 “How long have you gone?”이 좀 더 빈번하게 사용된답니다. 이럴 때 이민국 직원에게 “당신 말이지, 내가 영어문법 쫌 공부했는데 그거 틀린거야~”라고 말한다면 피차간 곤란해지겠지요?

미국 구어체에서 경험을 나타낼 때 쓰이기도 합니다만 일반적이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부사[adverb] - 문장의 미용사

수능영어/영문법 2009. 4. 28. 14:28 Posted by chanyi
부사[adverb], 문장의 미용사

1. 개념-definition
부사란, 어떤 일이 언제[when], 어디서[where], 왜[why], 어떤 조건으로 [under what conditions], 어느정도로[ to what degree an action occurred or a situation existed] 일어났는 가를 나타내는 말로, 보통 -ly로 끝나지요. 그래서 부사는 언제[when], 어디[where], 왜[why], 어떤 조건 아래 [under what conditions], 어느 정도로[ to what degree an action occurred or a situation existed]에 대한 대답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이 하는 일은 꾸밈받는 말의 정보를 추가하는 일입니다.

A word which describes or gives more information about a verb, adjective, adverb or phrase.-Cambridge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형용사가 명사 앞에 붙어 명사 모습을 설명하듯, 부사는 모든 말 앞에 나아가, 그 모습을 설명해[꾸며]주므로, 형용사처럼 수식어[modifier/꾸밈말]에 속합니다.

부사는 모든 말을 다 꾸며주지[설명하지]만 그 가운데 주로 관계하는 것은 동사, 형용사, 부사 입니다.

How did he drive? He drove slowly. 느리게 운전한다. '느리게'가 '운전했다' 동사를 설명하지요? 어떻게 운전했다에 대한 설명이 느리게란 부사로 나타난 거지요.

How fast was his car? He drove a very fast car. 아주 빠른 차. '빠른'이라는 형용사를 '아주'라는 부사가 설명하고 있지요? '아주 빠른 차'에서 '빠른'을 빼내면 '아주 차'가 되는데, 이게 말이 성립되지 않는 이유는 '아주'라는 부사가 명사인 '차'를 설명하지[꾸미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한편 '아주 빠른'은 자연스러운데 그 이유는 '아주'라는 부사가 '빠른'이라는 형용사를 꾸미는 것 때문이겠지요?.

How slowly did she move? She moved quite slowly down the aisle. 그 여자는 느리게 통로아래로 내려갔다. 'quite' 이라는 부사가 'slowly'부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부사를 이렇게 바꾸어 생각 해 보지요. 꾸며지는 말은 꺽쇠 속에 넣었습니다.
Jack runs quickly. 'Jack이 어떻게 [달린다]?' 에 대한 대답이 부사 'quickly'입니다.
This puzzle is unquestionably difficult. '이 수수께끼는 어느정도로 [어려운] 문제다'의 어느정도 [어려운]가에 대한 대답이 부사 'unquestionably'지요.
She lives here. '그여자가 어디 [산다]'에 대한 대답이 부사'here'입니다.
We are going to the market Friday. '시장을 언제 [간다]'에 대한 언제의 대답이 부사'Friday'입니다.

동사 설명
John speaks loudly. (How does John speak?)
Mary lives locally. (Where does Mary live?)
She never smokes. (When does she smoke?)
Jack runs quickly.
She lives here.
We are going to the market Friday.

형용사 설명
The color is intensely pink.
He is really handsome.
That's really good.
It was a terribly difficult time for all of us.
It wasn't good enough.
She did an exceptionally fine job.

다른 부사 설명
She drives incredibly slowly.
She is almost there.
She slept too late.
The books were stacked rather haphazardly.
She did it really well.
He didn't come last night, funnily enough.

명사(구) 설명
The concert tomorrow 시간/장소의 말에
The room upstairs.

They're such good friends. quite/rather/such/what (What a day!)+명사구
I was taking quite a risk when I decided to talk to him.내가 그에게 얘길 하길 결심한 건 대단한 위험을 무릅쓴 일이다.

한정사/수사/대명사 설명
Almost everybody came in the end. almost/nearly/hardly/about,
Hardly a day goes by without some company reporting losses.
It's been nearly three months since my last haircut. 머릴 자른지 거의 3 개월이다.
I was taking quite a risk when I decided to talk to him.

2 부사의 형태-forms
2.1 태생적 부사
본래 부사인 무리
there, then-그 때/그리고 나서/그런데, already, still, too, even, soon

2.2 파생적 부사 형용사/명사등에서 갈라져 나온 부사 무리
형용사 + -ly
kind → kindly친절하게/careful → carefully주의깊게/sure → surely확실히/public →publicly.
full → fully/dramatic → dramatically,

자음 + -y → + ily
happy → happily행복하게/easy → easily쉽게/busy → busily바쁘게

-e로 끝난 형용사→-e없애고 +-y
true → truly /simple → simply단순하게/gentle → gently점잖히/possible → possibly

명사와 형태가 같은 것
today/ yesterday/ tomorrow/now/home/much/ enough ...

형용사와 형태가 같은 것
long/early/enough/late/far /hard/ fast /high/ well/ short

-ly어미의 형용사들→ 부사처럼 보이는 형용사
lovely lively활기찬 friendly neighborly이웃의
lonely외로운 homely못난, 가정적인 comely예쁜 manly남성다운
motherly costly 값비싼 timely시기 적절한  
kindly tingly얼얼한 bodily function 신체 기능  

That lovely woman lives in a friendly neighborhood.
a courteous kindly gentleman.형용사
He kindly helped them. 부사


-ly 를 쓰지않는 경우
-ly 를 떨어뜨리고 형용사를 부사로 대신 쓰는데 주로 비격식체에서 사용합니다.
clear/clearly cheap/cheaply loud/loudly wide/widely
slow/slowly quick/quickly tight/tightly direct/directly
safe/safely sharp/sharply    

She certainly drives slow in that old Buick of hers. 그녀는 낡은 뷰익차를 천천히 운전한다.
He spoke sharp, quick, and to the point.
Drive home safe.


3. 혼동하기 쉬운 부사

3.1 형태가 다르면 의미도 다른 형용사
late 늦게
lately 최근에
hard 열심히
hardly 거의-않아
high 높이
highly 매우
near 가까이
nearly 거의
close 가까이
closely 면밀하게
dear비싸게
dearly 마음에서 울어난
most 가장
mostly 대개
free 무료로
freely 자유롭게
pretty 퍽
prettily 예쁘게
fair 공평하게
fairly 상당히
just 단지, 잠깐
justly 공정하게
last 최후에
lastly 끝으로
       
       

He came home late.늦게-부사
Hyemee is always late for school. 늦은-형
Lately, he has been to China. 최근에-부사

She has worked hard.
It is a hard job.
I hardly slept last night.난 어제 밤 거의 한 숨도 잠을 잤다.

He held his hand high.
The ceiling is 7 feet high. 형용사. 천장은 높이가 7피트이다.
That book is highly recommended. 과거분사는 형용사로 쓰이므로, 형용사를 설명하므로 highly는 부사. 이책을 꼭 추천 합니다.

Come near and dig in. 부사. 가까이 와서 먹어.
He was nearly choked. 부사. 그는 거의 질식할 뻔했다.
I nearly fell off the edge of the rock.난 바위 난간에서 떨어질뻔 했다.

We met him last year.
I started first in the race but managed to come last. 출발은 1등이었지만 가까스로 꼴등으로 도착했다.
And Lastly, I have to say thank you for all those who made my success possible.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가 성공하게 도운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That is pretty cool.꽤 멋지다.
I just came in. 지금 바로 온거야.

3.2 동일한 형태의 형용사/부사
early long pretty best
fast wide past 지나서 airmail
monthly motherly lovely straight 곧장
hourly daily half  

An early bird catches a worm.형용사. My Mom gets up early. 부사
He has stayed here for a longtime. 형용사. It doesn't take very long. 부사.그다지 오래 걸리 지 않는다.
I am pretty short of money. 부사.난 꽤 돈에 쪼들린다. She is pretty. 형용사. 그 앤 이쁘다.
Make your best effort.형용사. 노력을 다하라. Do your best.부사.

This is an airmail. 명사. Send it airmail. 부사
He is a fast runner. He runs fast.
What a wide window! Open it wide. 넓게 열어 젖혀라 부사

I get a monthly bill. I pay monthly.
I could not control my motherly feelings. 모성애를 억누룰 수 없었다. She looks after him motherly. 그녀는 엄마처럼 그를 돌보았다.
She's a lovely teacher. She handles young children lovely.


monday/ this morning
I'm meeting him Monday[this Monday/next Monday/on Monday]
I spoke to him this morning. this morning=과거/현재/미래에 두루 쓰인다.
I will see him this morning. 난 오늘 아침 늦게나 그를 만날 것이다.

last night은 있어도 yesterday night은 없다.
I didn't see him the last monday(×). next Monday/last Monday에 정관사 the를 붙이지 않는다.
She met me Tuesday morning[Tuesday midday.]
I saw him yesterday morning.

well/good
Your English is very good.Good은 형용사, well은 부사.
She plays the piano well.

"How are you today?" "I am very well." Well이 '건강하다'는 의미이거나 '만족스럽다'는 의미로 쓰이면 형용사다.
All's well ends well.끝이 좋으면 모든 일이 좋다.처음 'well은 형용사로 '만족스러운', 뒤의 well은 부사.


4. 부사의 위치-Positions of Adverbs 더나가기
4.1 부사의 위치
부사의 위치는 문장 끝에 오는 게 가장 일반적이지만,  문장 가운데올 때와 문장 앞에 오기도 해서 우리에겐 혼란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문장 앞[initial position] ←문장 전체 강조
Fortunately, she has finished her dissertation. 다행히 그녀는 논문을 끝냈다.
Gently She leaned forward and wiped the lady's tears away.

도치
Seldom does it rain in the Sahara. 사하라엔 비가 내리는 게 드물다.
Hardly had we finished eating when they got up and left.
Never have I heard such nonsense. 그 따위 허튼 소리 들어본 적이 없다.

주어와 으뜸동사 사이[medial position] 으뜸동사 앞/조동사뒤
조동사 뒤에 둔다는 말은 여전히 으뜸동사 앞에 둔다는 말과 같습니다. 장소 전치사가 이 위치에 오는 때는 거의 없으며, 빈도부사, 부정 시간부사[indefinite time adv.], 정도, 강조, 집중부사가 이 곳을 선호합니다.

She is gradually finishing her dissertation. 그녀는 논문을 점점 끝내가고 있다.
We often swam in the surf. 우린 자주 파도타기를 한다
He carefully wrapped each components in several layers of foam rubber.

I had almost forgotten about the trip. 난 그 여행에 대해 거의 잊고 있었다.
I would not in any case be for him.
Fred, in his own way, was a great actor. 부사가 길면 커머로 표시함.

문장 끝[end position] ←자/타동사 문장의 문장 끝
She will finish her dissertation soon. 그녀는 논문을 곧 끝낼 것이다. 타동사 목적어 뒤
He was coming immediately 자동사  바로 뒤

부정사 문장→문미, 부정사의 목적어/동사 뒤
Hosahn made an appointment to see him immediately.
My wife tried to leave quickly.
⇒My wife tried to quickly leave. 분리 부정사

부사는 목적어 앞엔 오지 않는다.
I often get headaches.(Ο)
I get often headaches.(×)

긴 목적어 앞
She sang beautifully a school song the children had taught her when they were little.

부사+전치사구→ 순서 없이 문미에.
The woman shouted at me savagely. 그녀는 난폭하게 내게 고함쳤다.
They were sitting happily in the car.
He listened calmly to the report of his aides. 보통 긴 전치사구 →문장 끝에
She would sit crosslegged in her red robes.그녀는 빨강 의상을 입고 다리를 꼬고 앉아있곤 했다.

4.2 한 개 이상의 부사방법/장소→빈도→시간→목적 순[mpftp]
일반적으로 부사는 두 개이상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문장에 꾸밈말이 많으면 내용이 없는 문체로 꺼리지요.
부사의 순서
Verb동사 방법manner 장소place 빈도frequency 시간time 목적purpose
Ahyoung swims enthusiastically in the pool every morning before dawn to keep in shape.
Dad walks impatiently into town every afternoon before supper to get a newspaper.
Joanne naps   in her room every morning before lunch.  
*이 빈도부사는 부정 빈도부사입니다. always/often/usually등은 adverbs of indefinite 라 하여 구별합니다.

타동사→ 방법>장소>시간>목적순
They knelt quietly in the shadow of the rock. 그들은 바위 그늘 에 조용히 무릎을 꿇었다.
I tried to reach you at home several times. 네게 서너번이나 집으로 연락해 봤다.
Parents may complain that their child eats badly at meals.

자동사→ 장소>방법>시간>목적순
go/come/arrive+ 장소+방법+시간+목적
She will go to the library by bus tomorrow to return the book.
Ahyoung came to Korea by airplane last week.

4.3 빈도[횟수]부사 위치-adverbs of frequency
'얼마나 자주-how often'에 해당하는 대답을 빈도 부사라고 하는데, 종류가 무척 많지만 always, often, sometimes, usually, never가 가장 자주 보이죠. 빈도부사의 위치는 꼭 알아둬야합니다.

일반 동사→ 앞
Tom usually goes to work by car.

be동사/조동사 →뒤
조동사/be동사의 우선권을 생각하며 이해해보세요. 조동사 뒤란 말은 으뜸동사 앞이란 말로 이해할 수 있죠?
Anne isn't often late. 
What do you usually do on weekends? do가 의문 조동사이므로 뒤에 두었지요.
I don't think he can ever have been to the cinema. 조동사 두 개 사이에
The students will never have heard that.

짧은 대답과 빈도부사
Have you seen this movie before? No, I never have. has는 완료 조동사 이므로 'never'가 뒤에 왔지만, 짧은 대답은 never가 조동사 앞에.
I can't remember people's names. You never could.
Harry made a lot of stupid remarks. He always does.
Marsha will be late for work. She often is.

We often have to wait for the bus.
I always used to see him at his summer home. used to앞, used always to처럼 두 가지
Seldom do we receive any apology when mistakes are made. 강조로 문두에 왔음

부사의 나열
다른 종류의 부사는 커머로 찍고, 같은 종류의 부사는 and/but/rather than으로 연결한다.
She sang clearly and beautifully.

빈도부사의 위치 예외
sometimes/always는 주어앞/문장 끝에 오기도.
Sometimes, we go to school by bus.
We go to school by bus - sometimes.

Sometimes/ frequently+부정어[ not/isn't/doesn't/don't/didn't ]로 쓰기도
She sometimes isn't friendly.그녀는 가끔 친밀감이 없다.

normally/generally/often/usually→강조할 때 주어 뒤
We normally don't worry if the children are late. 우린 애들이 늦더라도 보통 걱정을 하지 않는다.

as well 은 too의 의미로 문장 끝에 놓는다.
I bought this skirt and I bought this jacket to go with it, as well.난 산 치마와 맞춰 입으려고 이 윗도리도 샀다.

never/seldom/rarely→문장 앞은 가능, 문미는 불가.
이 때의 어순도 눈여겨 두세요.주어 동사가 뒤바뀌었지요? 이걸 도치[자리바꿈]-inversion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이런 부정적인 의미를 지닌 부사는 의문문에 사용하지 않는게 원칙이며 이중 부정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Never has there been a better time to overcome our differences! 우리의 차잇점을 극복할 호기다
Rarely do we have an opportunity like this.우리에겐 이런 기회가 참 드물었다.
Seldom had the orchestra given a worse performance.그 교향악단은 질나쁜 공연을 하는 경우가 드물다.

really/usually 강조어순→짧은 대답
Is she usually on time? → Yes, she usually is./She never is.
What are you doing here? Shouldn't you be at school? →I normally am at school at this time, but my teacher is ill.  여기서 뭐하니? 학교에 있을 때 아니야? 이 시간에 학교에 있을 때죠, 선생님이 아프셔서요.

Thank you, but I really couldn't eat another thing.
He's really going to do it this time.
I'm sorry. I really am. 미안해요, 정말요.
It really is best to manage without any medication if you possibly can.

I really do feel that some people are being unfair. 어떤 사람들은 부당하다고 난 느껴요.
You know, we really ought to get another car.
I'm fine, really I'm fine. 난 일없어. 정말 괜찮아.
What was really going on? 도데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거야?

4.4 시간/장소 부사 →문미
once/twice/daily/weekly/everyday/this morning..
I went sailing once, but I didn't like it.
She had a baby delivered this morning.
Last week
he called on me every night. 강조로 문두에

I ran to school.
The voice was coming from the back yard.


4.4 방법 부사 위치
자동사 뒤
He came quickly.

타동사 앞/타동사 목적어 뒤
The governor reluctantly signed the bill that would allow fewer restrictions on gun
owners. 주지사는 권총 소유자에 대한 제한규정을 줄이는 법안 서명을 꺼렸다.
Most of the representatives signed the Partnership for Peace Accord enthusiastically. 대부분의 국회의원은 열성으로 Partnership for Peace Accord안에 서명했다.

She could hardly express adequately the emotions she felt at the birth of the child. 그여자는 아기 탄생에 대한 감정을 적절히 나타내지 못했다.
이 예문에서 보듯 부사는 동사의 끝이나 목적어/보어 뒤에 오지만 동사와 목적어 사이엔 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목적어가 긴 문장-이를테면 종속절-이면 목적어 앞에 옵니다.

목적어가 짧으면 동사 앞 피한다
The Minister of Education responded to the crisis rapidly. 교육부 장관은 위기에 신속히 대응했다.

4.5 방향 부사 → 방법부사에 우선

down/out/home
Ahyoung drove home fast. .
I reached down slowly.

4.6 기타 주요 부사의 위치

only/also/even →꾸밈말 앞
Only Sam knew it. 샘만 그 사실을 안다
Sam only knew it. 샘은 그것을 알고만 있다.
Even now it is not too late.
Even as she said this, she knew that it was not quite true.그애가 이렇게 말하긴했지만 그애도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걸 알고있다.

alone/else →꾸밈말 뒤
Sam alone knew it. alone(=only)은 주로 주어(구)에 둔다.
In that way alone can we be sure of winning.
He was sitting alone at a table in a wine bar, smoking a big cigar.
Leave me alone. 날 내버려둬. 목적어 뒤에는 올 수 없으나 관용적으로

Where else I might go?
There's not much else I can say. 말 할 게 더 없다.
I never wanted to live anywhere else.
Make sure you are strapped well, or else(=otherwise) you will fall out. 줄로 단단히 묶었는 지 살펴라, 그렇지 않으면 떨어진 거다

too/as well →문장 끝
I am getting a bike for my birthday. I am too.
I liked her too.
Now we have the financial backing too.
They will have a rough year as well. also/too/as well은 같은 의미로 쓰임. 부정문과 함께 사용 하지 못함

5. 주요 부사
very/much
very + 형용사/부사 원급, 현재분사, 형용사화한 과거분사 [tired/delighted/surprised interested..]
The situation is very serious. 상황이 심각하다.
Think about it very carefully before deciding.결정하기 전에 신중히 생각해라.
"Are you tired?" "No, not very."

The very idea I thought of having her friends to stay fills me with dread. 명사를 설명하므로 형용사.그녀의 친구들과 지내야한다는 바로 그 생각에 난 끔찍해졌다.

much + 동사/구/절, 비교급, 최상급, 과거분사
The two schools are much the same (= very similar). 두 학교가 똑 같다.
You haven't said much, Joan - what do you think? 넌 별말이 없는데 어떻게 생각하니?
Much to our surprise, they accepted our offer.그들이 우리 제의를 받아들여 우린 깜짝 놀랐다.

This is a much (= often) discussed issue. 이건 우리가 자주 토론했던 안건이다.
I've been feeling much healthier (= a lot more healthy) since I became a vegetarian.야채만 먹은 후로 더욱 건강해진 걸 느끼고 있다.
She's much the best person for the job.그녀는 그 일에 아주 적격이다.

much/very +서술형용사[afraid, alike, aware, ashamed, asleep,worth, content,..]
서술형용사란 뒤에 명사를 놓을 수 없는 형용사들로 보어자리에만 들어갑니다. much 가 일반적이지만 미국 구어는 very도 사용합니다.
They are much alike.그들은 무척 닮았다.

ago/before/since
ago는 이야기의 시점이 지금, since와 before는 시점이 과거입니다. ago는 과거와, before는 과거및 완료 시제, since 는 현재완료와 어울립니다.

ago 지난 ~ 전에/현재부터 지난 언제까지-back in the past/ back in time from the present.과거와 쓰이는 과거부사
He left the house over an hour ago.

before 이전에[옛날엔]/지난 날 언젠가 - in the earlier/in the past. 지금 시점과는 관련이 없는 지난 날 언젠가.
I feel as though I've been here before. 내가 지난 날 언젠가 여기 왔었던 걸 느낀다.
I was afraid of dogs before. 난 예전에 개를 무서워했어.
I had seen him a year before.난 일년 전엔가 그를 만났었다. 이야기의 시점이 과거이므로, 그를 만난 건 그 과거의 일년 전이겠지요.

before는 부사로써 홀로 사용이 가능하나 ago는 그 앞에 숫자가 따라야합니다.
She went ago. (×)← She went 2 weeks ago.

since ~ 이래로, 이후로
Ahyoung went to work in New York a year ago, and we haven't seen her since.

still
긍정/의문/부정문에 쓰인다.
She still stays at home.여전히 집에 있다. 위치는 빈도부사의 위치와 동일하다.
He still doesn't work.그는 여전히 일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정문 위치는 다르다.

yet
부정문[아직],의문문[이미, 이제, 벌써]그리고 긍정문[머지않아,앞으로는, 언젠가는]에 쓰인다.
yet은 쓰임새가 다양하므로 다음 구문들을 익혀야 합니다.

He has not arrived yet. 그는 아직[until the present time=still] 도착하지 않았다
Did you finish the work ? - No, not yet. 아직 끝내지 않았습니다
Of all the songs I've heard tonight, that's the best yet.내가 오늘밤 감상한 음악 가운데 저게 지금까지[until now] 최고다
She won't be back for a long time yet. 그녀는 앞으로도[in the future]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We could yet succeed - you never know.지금까진 성공한거야, 넌 몰라도.[even at this stage or time:]
You might yet prove me wrong. 넌 여지껏 내 잘못을 입증하러드는구나.= 여지껏 내 잘못을 캐내지 못했다.
He may win yet. 그는 언젠가는 아마 승리할것이다.
I am tired, yet[despite that 그럼에도 불구하고] I can't sleep. 피곤한데도 잠이오지않는다.
They have yet to make a decision. 그들은 결정을 채 내리지 못했다.[you have not done it]

already[before now/ so soon.이미/벌써]긍정문/의문문에 쓰인다
This cell phone is already out of date.그 휴대전화는 케케먹었다.
Has she arrived already? 그 애가 벌써 도착했어? 의문문에서 yet 대신 already가 쓰이는데 놀라움을 나타낸다.

enough
He made enough sandwiches to feed ten people. 명사 앞이므로 형용사. 열명이나 먹을 샌드위치를 만들었다.
We were glad enough to leave. 형용사 꾸미는 부사. 형용사/부사+enough. 떠나도 될만큼 무척 즐겼다=떠날 때쯤 무척 즐거웠어.
Enough is enough. 명사.이 정도면 충분하다.[이제 그만하라.]

ever의문문, 부정문, 비교문에 쓰인다.
No on-e's ever accused me of it.
I don't think I'll ever be homesick here.
Did he ever play football?
I'm happier than I've ever been.

there is
There are no boys left there. 앞의 there 는 유도부사, 뒤의 there장소부사. 거기에 어떤 남자애들이 남아 있지 않았다.

quite/fairly
He's quite attractive but not what I'd call gorgeous. 꽤, 제법-a little or a lot but not completely: 그는 꽤 매력적이긴 하지만 이른바 멋진 건 아니었어.
Are you quite sure you want to go?  완전히,전적으로-a little or a lot but not completely:
She is quite a girl. 반어적인 경우. 그 앤 대단한 여자야.
What's her English like? Her English is fairly good. 그 애 영어는 꽤 좋다.

almost/most 대명사
almost+ always/all/every/nothing/no on-e/never/ nearly 등 전체적인것/전혀 없는 것등의 의미를 가진 말이 뒤따른다.

The philosophy teacher's vocabulary is almost wholly abstract.
almost every man 거의 모든 사람.
almost the entire audience 청중의 거의 대부분.
Those present were almost all women. 참석자는 언제나 거의 여성이었다,
He almost always succeeded.
He spend always nothing for leisure. 그는 여가엔 아무것도 쓰지 않는다.

6. 부사절/구-adverbial clause/phrase

6.1 부사절
주어와 동사를 포함한 한 무리의 낱말이 부사처럼 쓰일 때, 이를 부사절이라합니다.

  • When this class is over, we're going to the movies. '수업이 끝 났을 때' 는 '언제'를 말하므로 부사지요? 수업이 끝 났을 때 [영화보러] 갈 것이다에서 '영화보러'를 괄호속에 넣어본 것은 '수업이 끝났을 때'가 어떤 낱말을 설명하는 가를 보여주러 한 것입니다. 설명한다, 꾸며준다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앞서 나왔던 'a very fast car'를 예 들어도 마찬가지 입니다. '퍽 [빠른] 차' 에서 '빠른'을 빼면 말이 되지 않지요? 곧 'very'는 'fast'를 설명한다는 것입니다.

    Our group left the hotel after it stopped raining.
    When [it is] painted white, this room will appear much larger. 흰 페인트를 칠하면 방은 넓어보인다.
    Darkness will prevail until [it is] morning.아침이 될 때까지는 어둠이 압도한다.
    Please mail your entry as soon as [it is] possible.가능하면 빨리 가입신청서를 우송하요.

    where, when, how, why로 이끌어지는 절에 쓰인 이들을 관계부사라 합니다. 관계부사는 선행사인 명사를 설명하므로 형용사절이지만, 기능은 동사를 설명하므로 부사역할을 한답니다.
    The office is the place where she wasted most of her life.
    이 사무실은 그녀가 그녀 삶의 대부분을 보냈던 곳이다.'where she wasted most of her life'는 'the place' 를 설명하므로 형용사절, 한편 'where'는 그녀는 '그 곳에서'[그녀 삶의 대부분을] '보냈다'의 보냈다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부사적으로 쓰였지요?
    These are the times when Joan lost her initiative.이 때가 Joan이 그녀의 주도권을 잃었던 시기다
    That is the reason why Mark refused to come.
    I wondered how she solved the math question.그녀가 그 수학문제를 어떻게 풀었을까.

    6.2 부사구-adverbial phrases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지 않는 한 무리의 낱말[구]이 부사처럼 쓰일 때, 이를 부사구라합니다. 「Review it very carefully」에서 very carefully는 순수한 부사구입니다. 아래 예문은 전치사에 명사가 붙어 다양한 부사의 역할을 해내고 있습니다. 물론 전치사구가 부사 노릇만을 하는 건 아닙니다.

    I lived in New York during the Korean War.
    She went to the library 전치사 구-prepositional phrase가 부사처럼[장소] 쓰였지요.
    My dad works even on holidays. 전치사 구-prepositional phrase가 부사처럼[시간] 쓰였지요.
    The senator ran to catch the bus. 부정사구-infinitive phrase가 부사처럼[목적] 쓰여 '달려갔다'를 설명하지요?
    He calls his mother as often as possible. 전치사구가 부사로[방법] 쓰였지요.

    형용사로 쓰인 전치사구
    That toys on the closet belong to your cousin, Tony. 명사를 설명하므로 형용사구
    The girl with a red cap is Susie.

    부사로 쓰인 전치사구
    전치사+명사로 이뤄진 전치사구는 부사로 쓰이며 본래의 부사가 못한 부분을 보충하고 있습니다.
    In the first few innings, James pitched with perfect style. '첫 몇회에서'와 '완벽한 자세로'의 두 부사가 pitched를 함께 꾸미고 있습니다.
    Once through the trees, our horse galloped hard and fast.나무 우거진 숲을 들어가더니 말은 힘차고 빠르게 뛰었다.
    At six o'clock, Laura ran down the stairs.

    부사로 쓰인 명사구
    He was looking really ill this time yesterday.
    I'm going to handle this way
    I visit her about every six months 6개월마다 난 그 여자를 방문한다.

    부사/형용사의 수식관계
    부사는 형용사를 꾸미지만, 형용사는 부사를 꾸미지 않습니다.
    The students showed a really wonderful attitude.
    This goose down feels incredibly soft. 이 오리털은 믿기 어려울만큼 부드럽다.
    My professor is really tall.
    They are newly married. 그러므로, 'He ran real fast.' 이런 표현은 틀린 거지요.


    7. 부사 비교급 가보기
    부사도 형용사처럼 '얼마나' '더욱' 등의 정도를 나타내기위해 비교급과 최상급ㅡcomparative and superlative forms 형태를 가집니다.그리고 부사 앞에 more/most, less/least를 덧붙여 정도의 차이를 더 강조하기도 합니다. 이 부분은 비교급에서 더 다룹니다

    Walk faster if you want to keep up with me.
    With sneakers on, she could move more quickly among the patients. 그여자는 운동화를 신었으므로 환자들 가운데 더욱 빨리 이동할 수있었다.
    She worked less confidently after her accident. 사고후 그녀는 일에 자신감이 덜했다.
    That was the least skillfully done performance I've seen in years. 그 공연은 내가 본 것 가운데 가장 서툰 것이었다.
    He can't run as fast as his sister. as----as 사이엔 변화 없는 부사가 들어갑니다.


    8. 부사에 의한 문장의 도치[inversion]
    장소부사
    Next to it stood a pile of paper cups.그 것 곁에 조이 컵 무더기가 쌓여있었다.
    Beyond them lay the fields.

    광역 부정 부사
    Seldom can there have been such a happy meeting. 그렇게 화기애애한 만남은 참 드물었다.

    부정부사
    Never in history had technology made such spectacular advances. 역사상으로기술이 장대한 그렇게 발전을 이룩한 적 없다.

    Down a mountain they're going. 주어가 대명사면 도치 않음
    Down a mountain is the bear running. 주어가 명사면 도치

    9. 전치사와 부사
    up/down/in/out /on/off/over/into/ to/across/away/back/on..

    부사는 타동사와 결합하면 타동사구, 이 동사구가 목적어를 가지면
    명사 목적어→부사 앞/뒤
    대명사 목적어→부사 뒤
    의 위치를 갖게 됩니다.
    이렇게 부사가 목적어를 넣어 밖으로 분리될수 있는 동사구들을 '분리할 수 있는 동사[separable phrasal verbs]라 합니다.

    Turn off the light.= Turn the light off. 목적어가 명사, 두 위치가능
    Put on your jacket.= Put your jacket on.
    Turn the light on.
    Pick up the phone.
    Hang the phone up.

    Put it on.가능 하지만 Put on it.은 불가능합니다. 목적어가 대명사, 하나의 위치 가능반복해 소리내어 읽어 감각을 머리 속에 넣어두세요.

    부사는 목적어가 필요 없으므로 단독으로 동사와 어울려 의미를 형성합니다.
    He stood up.
    He swam backwards.
    '분리할 수있는 동사'와 '분리할 수없는 동사'를 더 공부 할 수 있는 곳 입니다. 가보기


    10. 부분 부정[partial negation]

    전체 부정
    none nobody not nor
    nowhere never neither nothing
    no no on-e    

    Nobody accepted his offer.

    부분 부정
    all/both/every/each/whole/always/altogether/necessarily/quite
    +not/부정어
    Speed and safety are not necessarily incompatible.속도와 안전이 반드시 공존하지 않는 건 아니다.[빨리 달린다는 게 꼭 안전하지 않다는 건 아니다.]
    Anger is not necessarily most useful reaction to such events.

    광역 부정[Broad Negatives]
    barely/hardly/rarely/scarcely/seldom

    전체를 거의 부정하는 의미가 포함된 부사를 광역 부정 부사라 하는데 이들의 위치는 빈도부사의 위치와 같습니다.

    His eyes hardly closed. 그의 눈은 거의 감겨지지 않는다.
    Examiners were seldom unkind. 시험관들은 가끔 불친절하다.
    She seldom bathed. 그녀는 가끔 목욕을 했다.
    I rarely felt hungry. 나는 거의 배고픔을 느끼지 못한다.
    You seldom see that sort of thing these days, do you? 너는 요즘 그런일을 자주 보지 못했을것이다.
    Most people go to church on-ly rarely. 많은 사람들은 교회에 가는 게 드물다.
    He too seldom makes the first greeting.
    They met so seldom. 그들은 가끔 만난다.
    Women were very seldom convicted.
    Sometimes two or three relatives are admitted, but rarely any friends.

    부사적 대격 adverbial accusative
    부사적 대격[부사적 목적격/adverbial objective]이란 명사가 부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본래 부사구로 쓰이던 것을 자주 사용해 혼란을 가져오지 않을 경우 전치사를 생략해버리고 이름하여 부사적 대격이라하며 보통 공간/방향/ 거리/수량/정도/방법을 의미하는 말들이 이에 속합니다.

    우리가 자주 만나온 명사(구)처럼 보이지만 부사로 해석했던 말들입니다. 이 건 우리말도 같은 현상입니다.

    시간 Time/Duration
    Did you see him this morning? this morning이 명사구이지요? 그런데 '오늘 아침에' 라 부사로 우린 새깁니다. 'in this morning'에서 'in'이 탈락한 거라 여기면 됩니다.
    What time shall we go?
    She is thirty years old.
    I'd like to start Wednesday, the first jury day.
    Please tell me what day you are free.
    The parcel arrived last week.
    They prayed all night in the cathedral. 성당에서 밤 새워 기도했다.
    They walked two hours.
    every day, next week, next Monday, the day after tomorrow, on-e of these days, on-e day, any day in this week, etc.

    장소/방향/거리 Space/Direction/Distance
    Today I came a different way.
    Elms stood either side of the street.
    Let's go some place.
    He lives next door.
    She'll come home soon.
    Come this way, please!
    We wandered north and north. 우린 남으로 북으로 헤맸다.
    We walked ten miles.

    수량 Measure
    The bottles was about three quarters full.
    They stood up together breast high in the sea.
    He stands head and shoulders above his fellow.
    Her skin was snow white.
    It was pitch dark inside the room.
    Stars are diamond bright and there is no dew.
    The sea went mountains high.

    정도 Degree
    I should not mind a bit. 조금도 개의말아야한다.
    She blamed herself no end.
    She used to laugh a good/great deal.

    방법 Manner
    Don't look at me that way.
    He speaks good English
    He came full speed.
    He stood there sailor-fashion
    She run upstairs two steps at a time.
    They walked barefoot.
    Our ship sailed first thing in the morning.

    명사구 Noun Couplets
    Bind him hand and foot.
    He smote them hip and thigh.
    We all got to go sometime reason or no reason.
    Let's fight tooth and nail.
    They discussed the matter heart to heart.
    day after day, year after year, face to face.

    비교/최상급 Superlative and the Comparative
    My father liked this hat the best.
    He runs the faster.
    She couldn't know which she liked the better.
    I don't know whose eyes would be the widest open.

    분배 distribution
    She visited the States twice a year.
    He paid $ 20 a pair for my shoes.


    10. 부사의 종류-Kinds of Adverbs
    태도(방법) 부사[Adverbs of Manner ]→어떻게
    abruptly fast easily slow
    loud well carefully firmly 확고히
    casually무심코, 이따금 gently meticulously 소심하게 nervously 불안하게
           

    장소 부사[Adverbs of Place]→어디에서
    down/up/here/there in/out/away upstairs/ahead of/next to
    away from/on top of/out of back and forth hither and thither 여기저기
    to and pro 왔다갔다 in and out 들락날락 up and down 위 아래로
    backwards & forwards앞뒤로 from side to side 나란히 round and round 빙글 빙글

    She has lived on the island all her life.
    He fumbled in his pocket for a quarter.동전을 찾느라 호주머니를 더듬었다.
    I ran inside and bounded up the stairs. 방안으로 달려가 계단으로 뛰었다.

    I stood alone in the middle of the yard.
    Look behind you, Willie. 너 뒤를 보라, 윌리.
    He went to the back of the store.

    Beyond them lay the fields. 그 것들 너머 들이 펼쳐져 있었다.
    On the ceiling hung dustpans and brushes. 천정에 쓰레받기와 솔들이 걸려있었다.
    The children shouted, waving leafy branches above their heads. 애들은 고함치며 그들 머리위로 잎 달린 가지를 흔들었다.

    He kept her picture on his bedside table.그는 그녀의 사진을 침대 옆 테이블에 간직했다.
    He climbed aboard a truck.그는 트럭에 올라탔다. aboard는 탈것에만 쓰임
    He whipped out a chair and sat astride. 의자를 잡아당겨 걸터 앉았다. whip 채찍질하다, 급히 움직이다

    Loosen the two screws at each side of the fuse. 퓨즈의 양 옆 나사를 풀어라.
    Standing on either side of him were two young man. either+단수/그의 양 옆에 두 젊은이가 서 있었다.
    My sister started piling the books on top of each other. 책위에 책을 포개 쌓고있썼다.

    It was a very tall elm and there were thorn bushes round its base. 키 큰 느릅나무가 한그루 있었고 뿌리 근처엔 가시 덤불이 있었다.
    It is less than an hour's drive from here. 여기서 차로 한 시간도 못 설린다.
    The ball swerved two feet away from her to lodge in the net. 공은 그녀에게서 2 피트 떨어져 휘어 날아 망에 꽃혔다.
    We lived forty miles to the east of Seoul. 서울 동쪽 편으로 40마일 거리에 산다. 위치의 to
    The bird hopped up on to a higher branch.그 새는 더 높은 가지로 깡총 뛰었다.

    He took his hand off her arm. 그는 그녀의 팔에서 손을 떼었다.
    He had stopped bringing his lunch from home.
    The muscles below Peter's knees were beginning to ache a little.무릎아래 근육이 아프기 시작햇다.
    Seagulls were circling overhead.갈매기들이 머리 위로 빙빙 돌기 시작했다.
    The engine droned on as we flew northward. 우리가 북쪽으로 날 때 엔진이 단조로운 소리를 냈다.

    Further along the beach, a thin trickle of smoke was climbing into the sky. 모래벌을 따라 멀리 가느다란 연기 한 점이 하늘로 오르고 있었다.
    I dropped my wallet somewhere round here. 이 근처 어디에 내 지갑을 떨어뜨린 거 같은데.
    Are you going somewhere special.
    There were no tortoise anywhere in sight. 보이는 곳 어디에도 거북이란 없다.

    He lay still, staring blackly up at the ceiling. 그는 꿈적도 않고 천정을 우울하게 응시하고 있었다.
    He acted clumsily.
    Albert coughed miserably in the rain as he turned into Amsterdam Av. 암스텔담 거리로 들어서며 알버트는 처참하도록 기침을했다.

    빈도 부사[adverb of frequency]→얼마나 자주

    always

    constantly habitually chiefly predominantly typically continuously

    usually normally mostly generally commonly largely regularly

    often frequently

    repeatedly

    sometimes occasionally sporadically intermittently spasmodically

    rarely infrequently seldom

    never


    빈도부사의 위치에 관한 문제는 자주 출제 됩니다. 알아 두세요. 빈도부사 위치

    I often visit my grandmother. 으뜸동사 앞에
    You should always think about your future. 조동사 뒤에
    The compartment is always clean. be동사 뒤에
    She cleans her room daily. 문미에

    정도 부사[adverbs of degree]→어느 정도로/어떤 조건 아래
    정도 부사는 일반적으로 문장 앞에 오지 않는다.
    almost badly terribly well
    absolutely extremely positively noticeably 눈에 띄이게
    remarkably 괄목할 만큼 significantly moderately 온건히 really
    enormously radically 급진적으로 drastically 철저히 altogether 전부

    I was absolutely amazed. 난 말그대로 놀랐다.
    Things changed really dramatically. 사태가 급진전했다.
    He dressed rather formally.

    I thanked him again, even more profusely than before. 전보다 훨씬 더 많은 고마움을 표시했다.
    Her tears frightened him more than anything that had ever happened to him before. 그녀의 눈물은 이전의 어떤 일보다 그를 놀라게 했다.


    연결 부사[linking adverbs]
    문장과 문장의 관계를 이어주는 부사로 문장의 논리성을 파악하는 문제로 출제 자주 됩니다.

    첨가[addition]
    again/also/and besides equally important moreover
    furthermore in addition in the first place too
    and then still    
    She is my neighbor; she is also my best friend. 그녀는 이웃에 살며, 또한 친구이기도 하다
    You should stop smoking. Furthermore, you should do it at on-ce!
    She is very intelligent; moreover, she is very ambitious. 그녀는 지적일뿐 아니라 야심에 차 있다

    대조[contrast]
    although and yet at the same time despite that
    even so even though however=but in contrast
    in spite of instead nevertheless otherwise
    notwithstanding 불구하고 on the contrary 대조적으로 on the other hand 한편 regardless
    still though yet nonetheless
    nonetheless=notwithstanding=nevertheless=in spite of=despite
    We wanted to arrive on time; however, we were delayed by traffic.
    They are proud. Nevertheless, I like them.
    The ascent was dangerous. Nonetheless, he decided to attempt it. 등정은 위험스러웠으나 시도하기로 결정했다.
    .
    비교[comparison]
    also in the same way likewise 마찬가지로, 게다가
    similarly 마찬가지로    

    The region is beautiful. Likewise, the climate is excellent. 그 지역은 아름다웠고 기후도 쾌적했다.

    양보[concession]
    granted naturally of course  

    Granted[Granting] that the house is old, I still want to buy it. 저 집은 오래 되긴 했으나 그래도 사고 싶다.

    강조[emphasis]
    certainly indeed/ in fact of course

    예증[example/illustration]
    as an illustration for example=for instance in conclusion in fact
    in other words in short it is true to illustrate thus
    of course namely=that is specifically after al
           

    요약[summary]
    all in all altogether as has been said in conclusion
    finally/in brief in other words thus as a result
    in particular in short in simpler terms to put it differently
    in summary on the whole therefore to summarize


    결과[purpose/result]
    consequently so therefore
    thereby accordingly[~을 따라서 hence그런 이유로

    It isn't giving any detailed information. Therefore it isn't necessary. 그건 상세한 정보가 없다. 그래서 필요 없다.
    He was very persuasive; accordingly, I did what he asked. 그는 매우 설득력있다. 따라서 그가 요청했던 일을 했다.
    She had a fever; consequently, she stayed at home.
    hence[for that reason] He is a good friend. Hence, I was not embarrassed to ask him for help.
    I was nervous; therefore, I could not do my best.
    He traveled as quickly as possible. Thus, he reached Boston the next
    If you are sure, then I must believe you.

    연속
    in the meantime 하는 동안에/~할 때까지 finally since
    meanwhile=in the meantime subsequently 그 다음에 soon
    afterwards next  

    Carl's starting college in September. Meanwhile, he's traveling around Europe.
    We had tea, and afterwards we sat in the garden for a while.
    We went shopping, then we had lunch.

    순서
    to sum up/then/in conclusion/firstly/secondly/lastly/first/second/

    의견 부사[문장 부사] [view and comment] 말하는 사람의 반응/의견
    apparently분명히 interestingly surprisingly seriously진정으로
    clearly undoubtedly틀림없이 honestly  
    confidentially economically personally개인적으로 obviously명백히
    really officially surely technically 기술적/법적으로는

    Apparently they had a row with themselves. 분명히 그들은 다투었나보다.
    Price, of course, is a critical factor. 물론 가격이 중요한 요건이다.
    It would be theoretically possible to lay a cable from a satellite to earth. 이론적으로 케이블을 위성에서 지구까지 설치하는게 가능하다.
    Technically, marriage has a legally enshrined status. 법적으로 결혼이란 합법적 안치상태다.

    He and Malcom decided that, racially speaking, anyway, they were in complete agreement.그와 맬콤은 인종적인 면에서 견해가 일치한다고 판단했다.
    By and large the broadcasters were free to treat this material very much as they wished.

    ·Geographically, Britain is rather cut off from the rest of Europe. 지리적으로 보면 영국이 유럽데륙에서 잘려 나온 것이다.
    She is certainly the best person for the job.
    ·You obviously enjoyed your meal.

    시간 부사[Adverbs of Time]→언제
    after before again always late this morning, ...

    She tries to get back before dark.
    It's starting to get dark now. 날씨가 어두워지기 시작한다,
    She finished her tea first.

    목적 부사[Adverbs of Purpose]→왜
    She drives her boat slowly to avoid hitting the rocks.
    She shops in several stores to get the best buys.

    부정 부사
    [negative adverbs]
    barely hardly rarely scarcely
    seldom not never no

    She nearly resembles her mother. 엄마를 꼭 빼박았다
    Seldom was he at a loss for words.말로 당황한 건 그에겐 드물다
    Scarcely had we left the house, when it began to rain.
    Not for many years was the true story known. 그 얘기가 알려진 건 최근이었다.

    No sooner did the bell ring than the children ran out of the school.
    Rarely had there been more swans on the lake than there were that day. 그 날 만큼 백조가 많았던 적은 드물었다 .

    촛점[집중]부사[focus]
    especially only notably particularly
    solely simply just exclusively

    This is a solely a matter of money. 이건 심한 금전문제다.
    The peasants are weak precisely because they are poor. 농부란 정확히 가난때문에 몸이 약하다.
    Just add boiling water. 끓는 물을 넣어라.
    She was busy writing poetry mostly.그녀는 시쓰느라 바쁘다
    In particular, I'm going to concentrate on hydro-electricity.특히 수력전기에 집중할 것이다.

    관계부사[RELATIVE ADVERBS] 관계부사
    where/when/why

    That's the restaurant where we met for the first time. (where = at/in which) 우리가 처음 만났던 식당이 저곳이다 .
    I remember the day when we first met. (when = on which)
    There was a very hot summer the year when he was born. (when = in which)
    Tell me (the reason) why you were late home. (why = for which, but could replace the whole phrase 'the reason for which')

    의문부사 [INTERROGATIVE ADVERBS]
    :why where/how/when

    Why are you so late?
    Where is my passport?
    How are you?
    How much is that coat?
    When does the train arrive?

    sometimes/sometime
    sometimes는 빈도부사며, sometime은 시간부사다
    I sometimes see him in the park.
    I would like to read that book sometime.


    자주 등장하는 재미있는 부사모음

    knowingly알면서 evidently명백히 reasonably합리적으로
    unfortunately 불행히도 allegedly주장에 따르면 reportedly 보도에 따르면
    objectively 객관적으로 subjectively 주관적으로 respectively각각, 제각각,
    constantly continuously 항상 determinedly 단호히
    monumentally 대단히 conceivably아마, 도저히 possibly 아마
    voluntarily 자발적으로 squarely 정면으로 tantalizingly 애타도록
    remarkably유달리 별나게 inadvertently 본의 아니게 irrevocably돌이킬 수없게
    presently 곧 apparently외관상, 명백히 seemingly겉보기에는,외관상
    obviously명백히 succinctly간결하게 excitedly흥분하여
    pointedly두드러지게 ostensibly 외관상 correspondingly 상응하여
    inherently 본래 dumbly 잠자코 willy-nilly 싫든 좋든
    willingly기꺼이 immediately즉각 counterclockwise
    drunkenly 술취한듯 consistently시종일관 intrinsically 본질적으로
    doubtless 틀림없이 hurriedly서둘러서 supposedly 아마, 필경
    no doubt...   demonstrably 명백히

    빈도부사 모음
    always usually often
    constantly끊임없이 normally정상적으로 frequently자주
    habitually습관적으로 mostly대부분 repeatedly반복적으로
    chiefly주로 generally일반적으로  
    predominantly현저히 commonly보통 sometimes/never
    typically전형적으로 largely크게 occasionally이따금
    continuously계속 regularly규칙적으로 sporadically간헐적으로
        intermittently뜨엄 띄엄
        spasmodically돌발적으로
        rarely드물게
        seldom드물게
  • 내용출처 : http://www.engplus.82.net/
     

    whichever 와 whatever의 차이

    수능영어/FAQ 2009. 4. 22. 17:14 Posted by chanyi

    WHATEVER  [선행사를 포함하는 부정 관계대명사] (…하는) 것[일]은 무엇이든지, (…하는) 것[일]은 모두



    Whatever you make is good.(= Anything that you make is good.)

             (네가 만드는 것은 무엇이든지 좋다.)


    Whatever you make, I will like it.

             (네가 무엇을 만든다고 하더라도, 나는 그것을 좋아할 것이다.)


    사전을 보시면 알겠지만, 'what(ever)'과 'which(ever)'는 용법상 공통점이 많습니다.


    구어로는 '어떤, 어느'의 뜻으로 'what(ever)'을 'which(ever)'와 혼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엄밀하게

    'whichever'는 문장(대화)의 앞이나 뒤에 제시된 둘 중의 하나(either of the


    two) 또는 여러 개 중의 하나(any one of them)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whatever'는 특정되지 않은 것들 중의 어떤 것(anything that)이나 모든 것(all that)을 의미합니다.


    이제 주어진 예문을 보죠.


    Whatever you may say, I will not change my opinion.

    (네가 무엇을 말하든지, 나는 내 의견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문장의 의미상 종속절의 주어 'you'는 제시된 몇 개의 답변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말하는 상황이 아닙니다. 'you'가 무엇을 말할 지는 알 수 없습니다. 즉 특정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whatever'만 가능합니다.


    시제일치의 예외

    수능영어/FAQ 2009. 4. 22. 10:44 Posted by chanyi
    시제일치의 예외
    1. 불변의 진리․속담․습관적인 행위→현재

        과거의 동작이 현재까지 계속 되는 현재의 사실, 습관은 주절의 시제에 상관없이 현재시제
       He said that the earth is round.

       He told me that he goes to school.
     
       I asked him when the first train starts.


    2. 역사적인 사실→과거

       He said that he had been rich.

       He said that Columbus discovered America in 1492.

       He said that the French Revolution broke out in 1789.

    3. 가정법→시제의 변화가 없음

       I wish I were a bird.

       I wished I were a bird.

       He says that he would fly to me if he had wings.

       He said that he would fly to me if he had wings.


    4. 비교

       He spoke English as well as you do.

       He was stronger than he is now.

    View ON
    http://chanyi.new21.net/zbxe/167580

    regard A as B에서 전치사 as다음에 형용사가 와도 가능한가요?
    예, as다음에 명사, 형용사 둘 다 올 수 있습니다.

    ex)  I looked upon the matter as important.
    (regard, consider, see..... A as B : B로는 형용사, 명사가 다 올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 as는 전치사이고, important는 형용사로서 전치사 as의 목적어입니다.


    형용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는 주로 관용적 용법에서입니다.


    위의 문장에서도 관용어 look upon(on) ~ as (..를 ..로 여기다) 이지요.


    이런 경우, 문법학자들 중에는 형용사의 명사적용법, 또는 형용사의 명사화라고 명명하기도 합니다.



    in short(간단히 말해서)


    of late(최근에)


    for long(오랫동안)


    위와 같은 숙어에서도 형용사가 명사적용법으로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되었어요.


    start와 begin의 차이

    수능영어/FAQ 2009. 4. 2. 22:02 Posted by chanyi

    start와 begin의 차이


    둘다 <시작하다>는 의미로 동의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쓰임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이 점에 대하여 살펴봅니다.


    begin은 어느 과정의 첫 부분을 가리키고, start는 어느 과정의 첫 부분에 앞선 시작 부분을 가리킵니다.

     start===>begin===(stop)===>end / finish


    He started to get mean (but thought better of it). 그는 비열한 짓을 하려고 하다가 생각을 바꾸었다. 비열한 짓을 하지 않았다.


    ※ starting은 명사형으로 잘 쓰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beginning은 명사형으로 아주 잘 쓰입니다. in the beginning 태초에


    ※ 다음의 경우에는 start만 쓰고 begin은 쓸 수 없습니다.


    1. 기계나 엔진 시동을 거는 경우

    He couldn't get his engine started.


    2. 사업체나 조직을 만드는 경우

    He scraped up the money to start a restaurant.


    3. 여행을 출발하다는 의미일 때(start a journey)

    I think we ought to start at six, while the roads are empty.


    ※ 공식적인 문서(a more formal style)에서는 begin을 선호합니다.


    We will begin the meeting with a message from the President.(formal)

    Oh no! It's starting to rain.(informal)

     


    수리나형 선택이 가능한 자연계 대학

    이화여대, 인하대(인천), 경희대(서울이과, 수원공대). 동국대,

    숭실대, 세종대, 광운대, 아주대(수원)

    명지대(용인), 삼육대, 가톨릭대

    한국항공대(경기고양), 부산대 경북대 포함 상당수의 지방국립대

    등을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리 나형 선택이 가능합니다.

    (수리나형 허용 대학 중 일부 학과는 수리가형 지정인 경우도 있음)



    2009수능 이과에서 수리 나형 언어 안보는 대학 모가있나요?


    수능 3개영역 또는 3개영역 이하로 지원 가능한 자연계 대학은 전국 163개 대학


    서울소재대학 - 이화여대 홍익대 한성대 삼육대 서경대 덕성여대 성신여대 등


    수+외+탐 3개영역만을 반영하는 대학[이과 자연과학계열]

    <한국항공대 경기고양> <강원대> <경원대 경기성남> <가톨릭대> <공주대> <한국해양대>


    언수탐 or 언외탐 or 언수외 3개영역만을 반영하는 대학[이과 자연과학계열]

    <가톨릭대> <목원대> <서울여대>


    수리 + 탐구 2개영역으로 가능한 대학[이과 자연과학계열]

    <홍익대>


    수리 + 외국어 + 탐구 3개영역으로 가능한 대학[이과 자연과학계열]

    <이화여대> <홍익대 건축과> <순천대> <경남대> <전주대> <을지대> <서울여대>

    <가천의대> <성신여대> <한림대> <안동대> <강원대> <덕성여대> <경원대>

    <명지대 용인> <동덕여대>


    탐구영역에서 2과목만 반영하는 자연계 대표적 대학

    서울시립대 인하대(인천) 숭실대 세종대 광운대 아주대(수원) 한국항공대(경기고양) 단국대(경기용인) 한성대 가톨릭대 한국외대(서울,경기용인) 등



    탐구영역에서 사탐/과탐 or 사탐/과탐/직탐 or 과탐/직탐 선택이 가능한 자연계 대학

    서울시립대 동국대 홍익대 단국대(경기용인) 경희대(서울이과,수원공대) 아주대(수원) 등


    (사탐 직탐 허용 대학 중 일부 학과는 과탐 지정인 경우도 있음)

    (일부 대학의 경우 정시 모집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으나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됨)


    ※ 자세한 사항은 대학교 홈페이지 입시요강 참조. 

    2011학년도 바로가기
    [입시자료] - 수리나형으로 갈 수 있는 자연계대학



    영어숫자읽기

    수능영어/독해 2009. 3. 29. 10:49 Posted by chanyi

    0. 기수(Cardinal Numeral)와 서수 (Ordinal Numeral)

    - 수사에는 갯수를 나타내는 기수와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가 있는데 모두 형용사의 범주에 속한다.


    (1) 기수(Cardinal Numeral)

    1 - one, 2 - two, 3 - three, 4 - four, 5 - five, 6 - six, 7 - seven, 8 - eight, 9 - nine, 10 - ten, 11 - eleven, 12 - twelve, 13 - thirteen, 14 - fourteen, 15 - fifteen, 20 - twenty, 21 - twenty-one, 30 - thirty, 40 - forty(*), 50 - fifty, 100 - one hundred


    1,000 -- one thousand (일천) 10,000 -- ten thousand (일만)

    100,000 -- one hundred thousand (십만) 1,000,000 -- one million (일백만)

    1,000,000,000 -- one billion (십억) 1,000,000,000,000 -- one trillion (일조)


    (2) 서수 (Ordinal Numeral)

    1st - first, 2nd - second, 3rd - third, 4th - fourth, 5th - fifth, 6th - sixth, 7th - seventh, 8th - eighth, 9th - ninth, 10th - tenth, 11th - eleventh, 12th - twelfth(*), 13th - thirteenth, 14th - fourteenth, 15th - fifteenth, 20th - twentieth, 21st - twenty-first, 30th - thirtieth, 40th - fortieth(*), 50th - fiftieth, 100th - hundredth


    ※ hundred, thousand, million, billion, trillion 등은 그 앞에 복수의 수가 붙어도 복수형으로 하지 않음.

    예) two hundred, three thousand, four million, five billion


    1. 일반숫자

    백의 자리에는 hundred를, 천의 자리에는 thousand를, 백만의 자리에는 million을 붙여 읽되, 백 단위로 세 자리씩 끊어 읽는다.


    175 → one hundred (and) seventy-five a hundred (and) seventy-five

    4,196 → four thousand, one hundred (and) ninety-six

    9,003 → nine thousand and three

    16,812 → sixteen thousand, eight hundred (and) twelve

    6,327,719 → six million, three hundred (and) twenty-seven thousand, seven hundred (and) nineteen

    123,456,789 → one hundred (and) twenty-three million, four hundred (and) fifty-six thousand, seven hundred (and) eighty-nine


    ※ 기수에서 100 이상의 수는 hundred 다음에 and를 넣어 읽는 것이 보통이나(영국 영어), 미국 영어에서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 위의 4,196은 forty-one hundred and ninety-six로 읽어도 된다.

    ※ 위의 9,003의 경우, 100단위의 숫자가 0일 때는 and를 생략할 수 없다.


    2. 연도

    연도는 일반적으로 끝에서 두 자리씩 끊어 읽는다.


    1991 → nineteen ninety-one 1400 → fourteen hundred

    1007 → one thousand and seven 313 → three thirteen

    101 → one hundred and one 393 B.C. → three ninety-three B.C. (기원전 393년)

    1990's → the nineteen nineties (1990년대)


    ※ 위의 1991, 313은 일반 숫자처럼 읽어도 된다.


    3. 날짜

    날짜(date)는 서수로 읽기도 하고 기수로 읽기도 한다.


    8월 15일 → ① (표기) 15 August 15th August 15th of August / (읽기) the fifteenth of August

    ② (표기) August 15 / (읽기) August fifteen August the fifteenth

    ③ (표기) August 15th / (읽기) August the fifteenth


    ※ 연월일을 나타내는 경우 미국식과 영국식에 차이가 있다.

    1950년 6월 25일

    (미국식) June (the) twenty-five, nineteen fifty / June 25th 1950 → <월/일/년>의 순서로

    (영국식) The twenty-fifth of June, nineteen fifty / 25th June 1950 → <일/월/년>의 순서로


    4. 시각

    시각은 시간과 분을 각각 기수로 읽는 법과 past(after)나 to(before)를 사용해서 읽는 법이 있다.


    8:15 ① eight fifteen ② a quarter past(after) eight

    9:30 ① nine thirty ② half past(after) nine

    10:45 ① ten forty-five ② a quarter to(before) eleven

    11:00 a.m. → eleven(o'clock) [ei m]


    ※ ②와 같이 읽는 경우는 "∼분 지나서"의 의미로 past는 영국에서, after는 미국에서, "∼분 전"의 의미로 to는 영국에서, before는 미국에서 쓰인다.

    ※ 뒤에 "∼분"이 붙으면 o'clock을 사용하지 않는다.

    ※ 오전 a.m.[ei m], 오후 p.m.[p : m]


    5. 전화번호

    713-6560 → seven one three six five six O

    247-2289 → two four seven double two eight nine (영국)

    → two four seven two two eight nine (미국)

    ※ 0은 O[ou] 또는 zero[zi(:)rou], nought naught[n :t]로 읽는다.


    6. 금액

    $ 7.25 → seven dollars (and) twenty-five cents (7달러 25센트) £5 → five pounds (5파운드)

    ₩170 → one hundred and seventy won (170원)


    ※ 위의 $7.25는 seven, twenty-five로 읽어도 된다.


    7. 소수

    소수점은 point로 읽는다. 소수점까지는 보통 기수로 읽으며, 소수점 이하는 한 자씩 읽는다.

    한자씩 구분해서 읽고 zero 보다는 알파벳 'o'를 선호하여 사용합니다.

    (1)3.24 라면 three point two four 라고 해야겠죠.


    특이한 것이 영어권 국가에서는 1미만의 소수의 경우에 우리나라와는 달리 앞의 'zero' (영) 이라는 표현을 아예 말하지 않거나 표기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2) 0.05 는 단순히 point o five

     0.24 도 역시 point two four처럼

     말하는 경우도 많으며 숫자로 표기할 때도 .05 그리고 .24 이러한 식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3.14159 → three point one four one five nine

    0.05 → point zero five [ point oh five ]

    0.068 → nought point nought six eight

    17.43 → seventeen point four three


    8. 기타

    Book II → Book two [ the second book BK II ] Part III → Part three

    p. 5 → page five pp. 16~18 → pages (from) sixteen to eighteen

    l. 9 → line nine No. 10 → Number ten

    Chap. VI → Chapter six §7 → Section seven [ the seventh section ]

    World War II → World War two [ the second World War ]

    Elizabeth II → Elizabeth the second


    9. 열거된 번호읽기

    일반적으로 숫자읽기와 읽는 방법은 거의 동일하지만 큰 차이점으로 숫자의 크기와 상관없이 열거된 숫자들 자체를 있는 그대로 읽습니다. 즉 3143 하면 있는 그대로 three one four three 라고 하죠.

    숫자 '0' 의 경우 편의상 'zero' 보다는 알파벳 'o'를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죠.


    예를 들어서 전화번호가 604-310-7005라고 하면

    (1) 있는 그대로 six zero four - three one zero - seven zero zero five 라고 읽을 수도 있지만

    (2) 편의를 위해서 six o four - three one o - seven o o five 라고 하거나

    (3) 일부 사람들은 더 줄여서 six o four - three one o - seven double o five 라고도 읽죠.


    그다음으로 이러한 여러 숫자가 열거된 번호를 읽을 때 꼭 신경써야할 것이 "강세"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그룹으로 읽는 숫자들의 처음과 마지막 음절(모음)에 강세를 두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보면, 굵게 표시된 곳들이 강세가 와야 하는 곳들이죠.

    (1) 1,908은 one thousand nine hundred zero(또는 o) eight / nineteen hundred zero(또는 o) eight

    (2) $307 은 three hundred seven dollars

    (3) 8.24는 eight point two four

    (4) 전화번호 010- 1234-5678은 각 번호의 그룹에 따라 o one o / one two three four / five six seven eight

    이렇게 각 숫자그룹의 처음과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두어야 하죠.



    10. 0 (영)의 다양한 표현

    아시는 것처럼 'zero' 가장 널리 보편 적으로 쓰이며 'zero' 이외에도


    (1) o : 위에서 말씀 드린것처럼 연속되는 숫자를 읽을 때 편의를 위하여 알파벳 'o'로 자주 사용하죠.


    (2) nil: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운동경기의 스코어를 이야기할 경우에 사용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서 3 대 0 이면 three (to) nil 이라고도 표현이 가능하죠.


    (3) love: 특이하게도 테니스의 경우는 0을 'love'라고 합니다.

     40 대 0 이면 'forty love'가 되죠.


    (4) nothing, null: 주로 아무것도 없음 의 개념으로 사용할 때 이용하죠.


     예를 들어서 스코어가 1:0 이라고 하면 one to nothing 이라고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11. 분수 읽기

     분수*를 읽을 때 분자는 기수(one, two, three)로 읽고 분모는 서수(first, second, third)로 읽는다. 읽는 순서로는 분자를 먼저 읽고 분모는 나중에 읽는데, 이때 분자가 복수이면 분모는 복수형이 된다. 2/3는 two thirds가 되는데, 기수 two는 분자이고 서수 thirds는 분모이다. 한 번 익혀두면 별로 어렵지는 않지만 헷갈리기 쉽다. 이렇게 공부하지 말고 먼저 왜 이렇게 분수를 표현하는지 그 원리를 파악해보자.

    * 영어로 분수는 fraction, 분자는 numerator, 분모는 denominator라고 한다.


    분수 표현의 중심은 분모의 역할을 하는 서수에 있다. 이때의 서수는 일반적인 서수와 그 개념이 다른데 가령 third라고 하면 순위의 '세 번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세개로 등분한 것의 세 번째 조각'을 의미한다. 즉, third 자체가 1/3인 것이다. 2/3는 세 번째 조각이 두개(1/3 + 1/3) 있는 것으로two thirds가 된다.

    qqq.JPG
     

    대분수를 읽을 때는 실수를 먼저 읽고 and를 붙인 다음 분수를 읽는다.

    lll.JPG

    큰 숫자로 된 분수를 말할 때는 기수, 서수 표현이 번거롭다. 간단히 전치사 over**로 분모, 분자를 나누어 [분자 over 분모]로 읽으면 된다.

    yyy.JPG

    ** Over 대신에 on이나 upon, divided by가 사용될 수 있다.


    12. 수식 읽기(사칙연산)

    사칙연산에서는 숫자를 다루기 때문에 동사를 단수형으로 써야 할지 복수형으로 써야 할지 애매할 때가 많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곱하기나 더하기처럼 수가 증가하는 연산에는 단수/복수 동사 둘 다 쓸 수 있으며 빼기나 나누기같이 수가 감소하는 연산에는 단수 동사만 쓰인다고만 기억하면 된다. 수식에 사용되는 동사는 주로 be동사나 equal, make, leave가 사용되며 의미에 맞도록 적절하게 사용하면 된다.

    ccc.JPG
     

    13. 승수(Power) 읽기

    승수는 power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ppp.JPG 

     

    14. 제곱근(root) 읽기

    제곱근은 승수 뒤에 root를 넣어서 표현한다.

    222.JPG
     

    참고: 영문법고충해결서

    accident 와 incident의 차이

    수능영어/FAQ 2009. 3. 25. 01:20 Posted by chanyi

    Accident :

     1. an unpleasant event, especially in a vehicle, that happens unexpectedly and causes injury or damage (사고)

    우리말로는 사고 그 자체다. 주로 자동차와 관련된 예상치 않은 반갑지 않은 일로써 다치거나 부서지거나 하는 일이 생긴다. 행글라이딩이나 비행기 혹은 배 혹은 일을 하다가 혹은 놀다가도 accident 가 일어 날수 있다.


    2. something that happens unexpectedly and is not planned in advance.

    미리 계획하지 않은 예상치 못한 일 . (우연, 우연한일)


    예문 >
    Their early arrival was just an accident .

    It is no accident that men fill most of the top jobs in nursing.


    숙어>
    accidents will happen : 사고를 당한 사람에게 (예를 들어 무엇을 깨었다던지,,) "accidents will happen" 이라고 말하는 것은 It doesn't matter - 별것 아니다.

    they should not worry 걱정할 필요없다. 라고 말하는 것이다.

    by accident 우연히


    예문>
    We met by accident at the airport.

    우리는 공항에서 우연히 만났다.


    Incident :
    1. something that happens, especially something unusual or unpleasant .

    특히 별나거나 불쾌한 발생하는 일(사건,일어난일)
    우리말로는 사건이라고는 하지만 좀더 뜻이 많은 것 같다.


    예문>
    His bad behaviour was just an isolated incident.
    그의 무례한 행동은 그저 유별난 것이었을 뿐이다

    One particular incident sticks in my mind.
    하나의 특별한 사건(일)이 내 맘속에 틀어 박혔다.

    2. a serious or violent event, such as a crime , an accident or an attack.
    사건 , 어떤 사람들 간의 충돌, 싸움.

    예문>
    There was a shooting incident near hear last night.
    지난 밤에 이 근처에서 총기발사 사고가 있었다.
    The demonstration passed off without incident.
    실연이 사고없이 끝났다.

    3. a disagreement between two countries, often involving military forces
    국가간의 충돌 이라고 해야하나 영자 신문이나 뉴스에서 볼수있을 것이다. 서해안 교전 같은것도 incident 이다. (사건, 사변, 분쟁, 충돌)

    a border incident - 국경분쟁, diplomatic incident - 외교적사건

    그리 중요하지 않지만 내게는 불쾌 했거나 좋지 않아서 기억하는 일

    The movie is based on a real life incident.




    Oprah Speaks to the Stanford Class of 2008 (Highlights)

    This program has brought to you by Stanford university. Please visit us at Stanford.edu.

    …Warmly welcome our commencement speaker, Oprah Winfrey~!

     

    08~!

    08학번 여러분!

     

    So lesson one, follow your feelings.

    첫번째 교훈은, 항상 마음을 따르라는 것입니다.

    If it feels right, move forward, if it doesn’t feel right, don’t do it.

    ‘맞다’라는 느낌이 들면 밀어붙이고, 그렇지 않다면 하지 마세요.

     

    Now I wanna talk a little bit about failings, because nobody’s journey is seemless or smooth.

    자 이제 실패에 대해 조금 말씀을 드릴께요.

    왜냐하면 그 누구의 삶도 흠집없고 실수가 없을 수는 없으니까요.

    We all stumble, we all have set backs.

    우리는 모두 비틀거리며 고난을 맞기도 하죠.

    If things go wrong, you heat a dead end,-as you will-

    it’s just life’s way of saying time to change a course.

    일이 잘못되면 막다른 골목에 다다를거에요.

    그건 바로 삶의 방향을 바꿀 때가 되었다고 인생이 말해주는 거에요

    So ask every failure, this is what I do with every failure, every crisis, every difficult time- I say, what is this here to teach me?

    그러니 실패자들에게 모두 물어보세요. 저는 그렇게 합니다.

    모든 실패, 고난, 역경의 시기에 저는 ‘이 시기가 나에게 무엇을 가르쳐주러 왔을까?’

    라고 반문해봅니다.

    And as soon as you get the lesson, you get to move on.

    그리고 교훈을 얻자마자 여러분은 발전합니다.

    If you really get the lesson, you pass and you don’t have to repeat the class.

    만약 진정한 교훈을 얻는다면, 여러분은 그 고난을 이수했으며 재수강 할 필요가 없습니다.

    If you don’t get the lesson, it shows up wearing another pair of pants -or skirt-to give you some remedial work.

    만약 교훈을 얻지 못하면 다른 곳에서 나타날 거에요. 여러분에게 보충할 수 있는 숙제를 주기 위해서 말이죠.

     

    And what I found is that difficulties come when you don’t pay attention to life’s whisper,

    because life always whispers to you first.

    또 제가 알게 된 것은, 어려움은 여러분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때 오며 그 때 인생이 속삭여준다는 것이죠. 네, 인생은 당신에게 먼저 속삭입니다.

    And if you ignore the whisper, sooner or later you’ll get a scream.

    그 때 여러분이 그 속삭임을 무시하면 언젠가는 그것이 외침으로 변하죠.

    Whatever your resist persists.

    여러분이 저항하는 것은 지속될 것입니다.

    But, if you ask the right question- not “why is this happening”, but “what is this here to teach me?” What is this here to teach me?...

    -it puts you in the place and space to get the lesson you need.

    하지만 옳은 질문을 하세요.

    ‘왜 나한테 이런 일이?’가 아닌 ‘이것이 나에게 지금 무엇을 가르쳐주나?’를요.

    이것이 지금 나에게 무엇을 가르쳐주고 있는가…를.

    그래야 당신에게 필요한 교훈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The lesson here is clear.

    여기서 교훈은 명확합니다.

    And that is, if you’re hurting, you need to help somebody else, he is there hurt.

    즉, 상처받았을 때 또 다른 상처받은 사람을 도와주세요.

    If you are in pain, help somebody else’s pain.

    고통받고 있을 때 다른 사람의 고통을 덜어주세요.

    And when you are in a mess, you get yourself out of the mess helping somebody out of there.

    엉망진창인 상황에 처해있을 때 거기에서 나와 다른 사람도 거기에서 나올 수 있게 도와주세요.

    And in the process, you get to become a member of, what I call, The Greatest Fellowship of All, the sorority of compassion and the fraternity of service.

    그런 과정에서 여러분은 제가 소위 말하는 ‘우리 모두의 위대한 동반자’클럽의 멤버가 될 것입니다. 따뜻한 마음을 가진 sorority(여학생 클럽), 봉사정신의 fraternity(남학생 클럽)같이 말입니다.

     

    I know this for sure, that doing good actually makes you better.

    제가 자신있게 말씀드리는 점은 좋은 일을 함으로써 여러분은 발전한다는 것입니다.

    So, whatever fields you choose, if you operate from the paradigm of service, I know your life will have more value and you’ll be happy.

    그러니 어떤 분야를 선택하든 서비스의 정신으로 행동한다면 여러분의 삶은 분명 더 가치있어지고 더 행복해질 겁니다.

     

    If you choose to offer your skills and talent in service,

    when you choose the paradigm of service,

    looking at your life through that paradigm, it turns everything you do from a job into a gift.

    여러분의 기술과 능력을 서비스에 제공하게 된다면,

    즉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선택한다면,

    인생을 그러한 가치관으로 산다면, 당신의 직업은 선물로 바뀔 것입니다.

     

    And I know you haven’t spent all this time in Stanford just to go out and get a job,

    여러분이 단지 직장을 구하기 위해 스탠포드에서 이런 시간들을 보낸 것이 아니란 걸 알고 있습니다.

     

    You’ve been enriched in countless ways.

    여러분이야말로 셀 수 없이 다양한 방면으로 풍부한 경험을 해왔습니다.

    There’s no better ways to make your mark on the world and to share that abundance with others.

    그런 풍부함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만큼 이 세상에 뚜렷한 족적을 남기는 방법도 없을 것입니다.

     

    You have the hearts and the smarts to go with it, and it’s up to decide, really, where will you now use those gifts?

    여러분은 따뜻한 가슴과 동시에 냉철한 지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제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이러한 재능을 여러분은 어디에 사용하시겠습니까?

     

    You’ve got the diploma, so go out and get the lessons,

    cause I know great things are sure to come.

    학위를 땄으니 바깥 세상으로 나가 교훈을 배워보세요.

    왜냐하면 반드시 위대한 일이 여러분에게 다가올테니까요.

     

    Congratulations! 08, 08!

    축하합니다, 08학번 여러분!



    Farewell Address to Congress

    General Douglas MacArthur


    delivered 19 April 1951





    Mr. President, Mr. Speaker, and Distinguished Members of the Congress:


    I stand on this rostrum with a sense of deep humility and great pride -- humility in the wake of those great American architects of our history who have stood here before me; pride in the reflection that this forum of legislative debate represents human liberty in the purest form yet devised. Here are centered the hopes and aspirations and faith of the entire human race. I do not stand here as advocate for any partisan cause, for the issues are fundamental and reach quite beyond the realm of partisan consideration. They must be resolved on the highest plane of national interest if our course is to prove sound and our future protected. I trust, therefore, that you will do me the justice of receiving that which I have to say as solely expressing the considered viewpoint of a fellow American.


    I address you with neither rancor nor bitterness in the fading twilight of life, with but one purpose in mind: to serve my country. The issues are global and so interlocked that to consider the problems of one sector, oblivious to those of another, is but to court disaster for the whole. While Asia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Gateway to Europe, it is no less true that Europe is the Gateway to Asia, and the broad influence of the one cannot fail to have its impact upon the other. There are those who claim our strength is inadequate to protect on both fronts, that we cannot divide our effort. I can think of no greater expression of defeatism. If a potential enemy can divide his strength on two fronts, it is for us to counter his effort. The Communist threat is a global one. Its successful advance in one sector threatens the destruction of every other sector. You can not appease or otherwise surrender to communism in Asia without simultaneously undermining our efforts to halt its advance in Europe.


    Beyond pointing out these general truisms, I shall confine my discussion to the general areas of Asia. Before one may objectively assess the situation now existing there, he must comprehend something of Asia's past and the revolutionary changes which have marked her course up to the present. Long exploited by the so-called colonial powers, with little opportunity to achieve any degree of social justice, individual dignity, or a higher standard of life such as guided our own noble administration in the Philippines, the peoples of Asia found their opportunity in the war just past to throw off the shackles of colonialism and now see the dawn of new opportunity, a heretofore unfelt dignity, and the self-respect of political freedom.


     Mustering half of the earth's population, and 60 percent of its natural resources these peoples are rapidly consolidating a new force, both moral and material, with which to raise the living standard and erect adaptations of the design of modern progress to their own distinct cultural environments. Whether one adheres to the concept of colonization or not, this is the direction of Asian progress and it may not be stopped. It is a corollary to the shift of the world economic frontiers as the whole epicenter of world affairs rotates back toward the area whence it started.


    In this situation, it becomes vital that our own country orient its policies in consonance with this basic evolutionary condition rather than pursue a course blind to the reality that the colonial era is now past and the Asian peoples covet the right to shape their own free destiny. What they seek now is friendly guidance, understanding, and support -- not imperious direction -- the dignity of equality and not the shame of subjugation. Their pre-war standard of life, pitifully low, is infinitely lower now in the devastation left in war's wake. World ideologies play little part in Asian thinking and are little understood. What the peoples strive for is the opportunity for a little more food in their stomachs, a little better clothing on their backs, a little firmer roof over their heads, and the realization of the normal nationalist urge for political freedom. These political-social conditions have but an indirect bearing upon our own national security, but do form a backdrop to contemporary planning which must be thoughtfully considered if we are to avoid the pitfalls of unrealism.


    Of more direct and immediately bearing upon our national security are the changes wrought in the strategic potential of the Pacific Ocean in the course of the past war. Prior thereto the western strategic frontier of the United States lay on the littoral line of the Americas, with an exposed island salient extending out through Hawaii, Midway, and Guam to the Philippines. That salient proved not an outpost of strength but an avenue of weakness along which the enemy could and did attack.


    The Pacific was a potential area of advance for any predatory force intent upon striking at the bordering land areas. All this was changed by our Pacific victory. Our strategic frontier then shifted to embrace the entire Pacific Ocean, which became a vast moat to protect us as long as we held it. Indeed, it acts as a protective shield for all of the Americas and all free lands of the Pacific Ocean area. We control it to the shores of Asia by a chain of islands extending in an arc from the Aleutians to the Mariannas held by us and our free allies. From this island chain we can dominate with sea and air power every Asiatic port from Vladivostok to Singapore -- with sea and air power every port, as I said, from Vladivostok to Singapore -- and prevent any hostile movement into the Pacific.


    *Any predatory attack from Asia must be an amphibious effort.* No amphibious force can be successful without control of the sea lanes and the air over those lanes in its avenue of advance. With naval and air supremacy and modest ground elements to defend bases, any major attack from continental Asia toward us or our friends in the Pacific would be doomed to failure.


    Under such conditions, the Pacific no longer represents menacing avenues of approach for a prospective invader. It assumes, instead, the friendly aspect of a peaceful lake. Our line of defense is a natural one and can be maintained with a minimum of military effort and expense. It envisions no attack against anyone, nor does it provide the bastions essential for offensive operations, but properly maintained, would be an invincible defense against aggression. The holding of this littoral defense line in the western Pacific is entirely dependent upon holding all segments thereof; for any major breach of that line by an unfriendly power would render vulnerable to determined attack every other major segment.


    This is a military estimate as to which I have yet to find a military leader who will take exception. For that reason, I have strongly recommended in the past, as a matter of military urgency, that under no circumstances must Formosa fall under Communist control. Such an eventuality would at once threaten the freedom of the Philippines and the loss of Japan and might well force our western frontier back to the coast of California, Oregon and Washington.


    To understand the changes which now appear upon the Chinese mainland, one must understand the changes in Chinese character and culture over the past 50 years. China, up to 50 years ago, was completely non-homogenous, being compartmented into groups divided against each other. The war-making tendency was almost non-existent, as they still followed the tenets of the Confucian ideal of pacifist culture. At the turn of the century, under the regime of Chang Tso Lin, efforts toward greater homogeneity produced the start of a nationalist urge. This was further and more successfully developed under the leadership of Chiang Kai-Shek, but has been brought to its greatest fruition under the present regime to the point that it has now taken on the character of a united nationalism of increasingly dominant, aggressive tendencies.


    Through these past 50 years the Chinese people have thus become militarized in their concepts and in their ideals. They now constitute excellent soldiers, with competent staffs and commanders. This has produced a new and dominant power in Asia, which, for its own purposes, is allied with Soviet Russia but which in its own concepts and methods has become aggressively imperialistic, with a lust for expansion and increased power normal to this type of imperialism.


    There is little of the ideological concept either one way or another in the Chinese make-up. The standard of living is so low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has been so thoroughly dissipated by war that the masses are desperate and eager to follow any leadership which seems to promise the alleviation of local stringencies.


    I have from the beginning believed that the Chinese Communists' support of the North Koreans was the dominant one. Their interests are, at present, parallel with those of the Soviet. But I believe that the aggressiveness recently display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Indo-China and Tibet and pointing potentially toward the South reflects predominantly the same lust for the expansion of power which has animated every would-be conqueror since the beginning of time.


    The Japanese people, since the war, have undergone the greatest reformation recorded in modern history. With a commendable will, eagerness to learn, and marked capacity to understand, they have, from the ashes left in war's wake, erected in Japan an edifice dedicated to the supremacy of individual liberty and personal dignity; and in the ensuing process there has been created a truly representative government committed to the advance of political morality, freedom of economic enterprise, and social justice.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Japan is now abreast of many free nations of the earth and will not again fail the universal trust. That it may be counted upon to wield a profoundly beneficial influence over the course of events in Asia is attested by the magnificent manner in which the Japanese people have met the recent challenge of war, unrest, and confusion surrounding them from the outside and checked communism within their own frontiers without the slightest slackening in their forward progress. I sent all four of our occupation divisions to the Korean battlefront without the slightest qualms as to the effect of the resulting power vacuum upon Japan. The results fully justified my faith. I know of no nation more serene, orderly, and industrious, nor in which higher hopes can be entertained for future constructive service in the advance of the human race.


    Of our former ward, the Philippines, we can look forward in confidence that the existing unrest will be corrected and a strong and healthy nation will grow in the longer aftermath of war's terrible destructiveness. We must be patient and understanding and never fail them -- as in our hour of need, they did not fail us. A Christian nation, the Philippines stand as a mighty bulwark of Christianity in the Far East, and its capacity for high moral leadership in Asia is unlimited.


    On Formos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has had the opportunity to refute by action much of the malicious gossip which so undermined the strength of its leadership on the Chinese mainland. The Formosan people are receiving a just and enlightened administration with majority representation on the organs of government, and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y appear to be advancing along sound and constructive lines.


     With this brief insight into the surrounding areas, I now turn to the Korean conflict. While I was not consulted prior to the President's decision to intervene in sup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decision from a military standpoint, proved a sound one, as we hurled back the invader and decimated his forces. Our victory was complete, and our objectives within reach, when Red China intervened with numerically superior ground forces.


    This created a new war and an entirely new situation, a situation not contemplated when our forces were committed against the North Korean invaders; a situation which called for new decisions in the diplomatic sphere to permit the realistic adjustment of military strategy.


    Such decisions have not been forthcoming.


    While no man in his right mind would advocate sending our ground forces into continental China, and such was never given a thought, the new situation did urgently demand a drastic revision of strategic planning if our political aim was to defeat this new enemy as we had defeated the old.


    Apart from the military need, as I saw It, to neutralize the sanctuary protection given the enemy north of the Yalu, I felt that military necessity in the conduct of the war made necessary: first the intensification of our economic blockade against China; two the imposition of a naval blockade against the China coast; three removal of restrictions on air reconnaissance of China's coastal areas and of Manchuria; four removal of restrictions on the forces of the Republic of China on Formosa, with logistical support to contribute to their effective operations against the common enemy.


    For entertaining these views, all professionally designed to support our forces committed to Korea and bring hostilities to an end with the least possible delay and at a saving of countless American and allied lives, I have been severely criticized in lay circles, principally abroad, despite my understanding that from a military standpoint the above views have been fully shared in the past by practically every military leader concerned with the Korean campaign, including our own Joint Chiefs of Staff.


    I called for reinforcements but was informed that reinforcements were not available. I made clear that if not permitted to destroy the enemy built-up bases north of the Yalu, if not permitted to utilize the friendly Chinese Force of some 600,000 men on Formosa, if not permitted to blockade the China coast to prevent the Chinese Reds from getting succor from without, and if there were to be no hope of major reinforcements, the position of the command from the military standpoint forbade victory.


    We could hold in Korea by constant maneuver and in an approximate area where our supply line advantages were in balance with the supply line disadvantages of the enemy, but we could hope at best for only an indecisive campaign with its terrible and constant attrition upon our forces if the enemy utilized its full military potential. I have constantly called for the new political decisions essential to a solu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distort my position. It has been said, in effect, that I was a warmonger.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I know war as few other men now living know it, and nothing to me is more revolting. I have long advocated its complete abolition, as its very destructiveness on both friend and foe has rendered it useless as a means of settling international disputes. Indeed, on the second day of September, nineteen hundred and forty-five, just following the surrender of the Japanese nation on the Battleship Missouri, I formally cautioned as follows:


    Men since the beginning of time have sought peace. Various methods through the ages have been attempted to devise an international process to prevent or settle disputes between nations. From the very start workable methods were found in so far as individual citizens were concerned, but the mechanics of an instrumentality of larger international scope have never been successful. Military alliances, balances of power, Leagues of Nations, all in turn failed, leaving the only path to be by way of the crucible of war. The utter  destructiveness of war now blocks out this alternative. We have had our last chance. If we will not devise some greater and more equitable system, Armageddon will be at our door. The problem basically is theological and involves a spiritual recrudescence and improvement of human character that will synchronize with our almost matchless advances in science, art, literature, and all material and cultural developments of the past 2000 years. It must be of the spirit if we are to save the flesh.


    But once war is forced upon us, there is no other alternative than to apply every available means to bring it to a swift end.


    War's very object is victory, not prolonged indecision.


    In war there is no substitute for victory.


    There are some who, for varying reasons, would appease Red China. They are blind to history's clear lesson, for history teaches with unmistakable emphasis that appeasement but begets new and bloodier war. It points to no single instance where this end has justified that means, where appeasement has led to more than a sham peace. Like blackmail, it lays the basis for new and successively greater demands until, as in blackmail, violence becomes the only other alternative.


    "Why," my soldiers asked of me, "surrender military advantages to an enemy in the field?" I could not answer.


    Some may say: to avoid spread of the conflict into an all-out war with China; others, to avoid Soviet intervention. Neither explanation seems valid, for China is already engaging with the maximum power it can commit, and the Soviet will not necessarily mesh its actions with our moves. Like a cobra, any new enemy will more likely strike whenever it feels that the relativity in military or other potential is in its favor on a world-wide basis.


    The tragedy of Korea is further heightened by the fact that its military action is confined to its territorial limits. It condemns that nation, which it is our purpose to save, to suffer the devastating impact of full naval and air bombardment while the enemy's sanctuaries are fully protected from such attack and devastation.


    Of the nations of the world, Korea alone, up to now, is the sole one which has risked its all against communism. The magnificence of the courage and fortitude of the Korean people defies description.


    They have chosen to risk death rather than slavery. Their last words to me were: "Don't scuttle the Pacific!"


     I have just left your fighting sons in Korea. They have met all tests there, and I can report to you without reservation that they are splendid in every way.


    It was my constant effort to preserve them and end this savage conflict honorably and with the least loss of time and a minimum sacrifice of life. Its growing bloodshed has caused me the deepest anguish and anxiety.


    Those gallant men will remain often in my thoughts and in my prayers always.


    I am closing my 52 years of military service. When I joined the Army, even before the turn of the century, it was the fulfillment of all of my boyish hopes and dreams. The world has turned over many times since I took the oath on the plain at West Point, and the hopes and dreams have long since vanished, but I still remember the refrain of one of the most popular barrack ballads of that day which proclaimed most proudly that "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


    And like the old soldier of that ballad, I now close my military career and just fade away, an old soldier who tried to do his duty as God gave him the light to see that duty.


    Good Bye.


     

    노병(老兵)은 결코 죽지 않는다

    - 맥아더(MacArthur)

    나는 마음속 깊이 겸허함과 자랑스러운 마음으로 이 연단에 섰습니다. 나 이전에 이곳에 섰던 사람들이 우리 역사의 ‘위대한 건설자’였음을 깨달았기에 겸허한 마음이 생기고, 이 나라의 입법부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창안해 낸 것 중에 가장 순수한 형태로 인간의 자유를 대표한다는 생각에 자랑스러운 마음을 느낍니다.

    전 인류의 희망과 열망과 신념이 이곳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나는 어떤 당파적인 대의명분을 위한 옹호자로서 이 자리에 선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내가 말하려는 문제들은 근본적이며 당파적인 고려의 범위를 훨씬 능가하는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만일 우리의 장래를 보호하고 우리의 방침을 분석하려면 이러한 문제들은 국가의 최대 관심사로서 해결되어야만 합니다.

    그러므로 나는 여러분께서 내가 이제부터 말씀드리는 것은 단지 한 미국인 동포가 숙고한 바의 견해를 표명하는 것이라고 공정하게 받아 주실 것으로 믿습니다.

    나는 지금 저물어 가는 인생의 황혼을 맞이해서 아무런 원한도 반감도 없이 오직 나의 조국을 위해서 봉사하겠다는 단 한 가지 목적으로 여러분께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이 문제들은 전 세계적이며 매우 연동(聯動)적이기 때문에, 한 분야의 문제를 망각하고 다른 분야의 문제를 생각한다면 전체적인 재난을 초래하게 될 것입니다. 흔히 아시아는 유럽의 관문이라고 말합니다만, 유럽이 아시아의 관문이라는 것도 이에 못지않는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한 지역의 광대한 영향력은 다른 지역에도 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힘으로는 양쪽 전선을 방어하기에 부적당하며 우리의 노력을 분할 할 수도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나는 이보다 더 큰 패배주의의 표현을 생각해 낼 수 없습니다. 만일, 가상(假想)의 적군이 그 힘을 두 전선에 분할할 수 있다고 한다면 우리는 그들의 노력에 대항해야 합니다. 공산주의자의 위협이라는 것은 전 세계적입니다. 한 지역에서 성공적인 진전을 보게 되면 다른 모든 지역의 파괴를 위협하게 됩니다. 여러분께서는 유럽에서 그들의 진출을 막아내려는 우리의 노력을 동시에 기울이지 않고는 아시아에서 공산주의를 굴복시키거나 진정시킬 수 없습니다.

    나는 처음부터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은 북한이 가장 유력한 공산주의 국가라고 믿었습니다. 그들의 관심사는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최근에 인도차이나와 티벳에서 드러낸 것과 같은 경향을 띠고 있어서 잠재적으로 남쪽을 향하여 겨누고 있으며, 태초 이래 모든 것에는 정복자가 존재했을 것이라는 고무된 힘의 확장을 위하여 같은 욕망이 우세하게 반영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지원에 개입할 것이라는 대통령의 결정에 앞서 나는 대통령과 의논하지 않았지만, 군사적 관점으로 그 결정은 적절한 결정이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내가 그 결정은 적절한 결정으로 입증되었다고 말할 때는 우리가 그 침략자를 격퇴시키고 침략자의 군대를 파멸시켰을 때를 말합니다. 우리의 승리는 완벽했으며, 우리의 목적이 거의 이루어지려고 했습니다. 그때 숫자적으로 우세한 중공군의 보병이 개입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전쟁과 완전히 새로운 사태를 만들어 냈는데, 이러한 사태는 북한 침략자에 대항하여 우리 군대를 파견했을 때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사태는 외교적인 분야에서 현실적인 군사 전략의 조정을 인가하도록 새로운 결정을 요청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한 결정은 마련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올바른 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면 우리의 지상군을 중국 대륙에 파견할 것을 주장할 사람은 없을 것이며, 그러한 것을 전혀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을 것입니다. 만약 우리의 정치적 목표가 과거에 적을 무찔렀던 것처럼 이 새로운 적을 무찌르는 데 있다면, 이 새로운 사태는 과감한 작전 계획의 수정을 긴급히 요구하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압록강 이북의 적군에게 주어진 모호 성역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군사적으로 필요하다고 본 것 이외에, 전쟁 수행상 다음과 같은 조처가 군사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첫째, 중공에 대하여 우리의 경제적 봉쇄를 강화할 것.

    둘째, 중국 연안에 해군 봉쇄를 가할 것.

    셋째, 중국 연안 지역과 만주 지역의 공중 정찰에 대한 제한을 해제할 것.

    넷째, 대만에 있는 중화민국 군대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는 동시에 그들이 중국 본토에 대하여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병참 지원을 할 것.

    한국에 파견된 우리의 군대를 지원하고, 수많은 미국인과 연합국인의 생명을 구원하기 위해 가능한 한 이 전쟁을 빨리 끝내야겠다는, 전문적으로 모든 계획된 견해를 가졌다는 것만으로 나는 적대감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외국으로부터 신랄하게 비난을 받아 왔습니다. 위에서 말한 견해들은 사실 유엔의 공동 참모를 비롯하여 한국 전쟁에 관심을 가진 모든 군사 지도자들도 과거에 공감했던 것인데도 비난을 받았던 것입니다.

    나는 증원군을 요청했지만 증원군을 보낼 수 없다는 통고를 받았습니다. 만약 압록강 이북에 적이 구축해 놓은 기지를 파괴할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면, 대만에 있는 60만 중화민국 우군을 활용할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면, 중공군이 외부로부터 원조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국 해안 봉쇄를 허가하지 않는다면, 그리고 대(大)증원군의 파견을 바랄 수 없다면, 나는 군사적 관점에서 사령부의 입장으로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밝히는 바입니다.

    우리는 한국에서 끊임없는 기동 작전과 아군의 보급선상의 유리함이 적군의 보급선상의 불리함으로 균형을 유지하는 적합한 지역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일 적군이 잠재적인 전군사력을 활용한다면 그들의 혹독하고도 끊임없는 소모전을 우리 군대에 퍼부어 우리는 고작 승부미결(勝負未決)의 전쟁밖에는 희망할 수 없을 것입니다.

    나는 새로운 정치적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긴요하다고 끊임없이 요청했었습니다.

    그러나 나의 노력은 나의 입장을 왜곡하게 만들었습니다. 사실 나는 전쟁 도발자로 불려졌던 것입니다. 이보다 더 진리와 동떨어진 것은 없을 것입니다.

    현재 살아 있는 몇몇 사람들이 전쟁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처럼 나도 전쟁을 알고 있지만, 전쟁처럼 내가 혐오하는 것도 없습니다. 우방과 적측 모두 전쟁에서 받는 그 무서운 파괴성으로 말미암아 전쟁은 국제적 분쟁의 해결 수단으로서 아무 가치가 없다고 보고 나는 오랫동안 전쟁의 완전 폐지를 주장했던 것입니다.

    사실 1945년 9월 2일, 미주리 전함에서 일본이 항복 문서에 서명한 바로 그 이튿날, 나는 정식으로 다음과 같이 경고했습니다.

    "태초 이래 인간은 평화를 희구해 왔습니다. 국가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고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국제적인 과정이 수세기를 걸쳐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어 왔습니다. 단지 시초가 개인 간의 분쟁인 경우에는 실현 가능한 방법들이 발견되지만 보다 넓은 국제적 범위의 중재 기구로서는 결코 성공한 적이 없습니다.

    군사 동맹·힘의 균형·국제연맹, 이 모든 방법은 실패로 돌아갔고 오직 전쟁이라는 도가니가 남아 있을 뿐입니다. 현재 전쟁의 극단적인 파괴력은 이러한 양자택일의 방법마저 어둡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마지막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좀 더 위대하고 좀 더 공평한 제도를 고안해 내지 않는다면 최후의 종말을 위한 대 결전을 맞이해야 할 것입니다.

    문제는 근본적으로 신학적이고 정신적인 재연에 뒤얽힌 것이어서, 인간성의 재량은 과거 2천년 동안의 과학·예술·문학 등 모든 물질적·문화적 발전에서 거의 비길 데 없는 진전과 동시성을 가져야만 합니다. 만일 우리가 육체를 구원하려고 한다면 정신의 구원이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그러나 일단 전쟁이 우리에게 강요된 이상, 전쟁을 신속히 종결시키기 위해서 유효한 모든 수단들을 적용하는 것밖에 아무 도리가 없는 것입니다. 전쟁의 최종 목적은 승리이지 우유부단한 연장이 아닙니다.

    전쟁에서 승리를 대신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한국의 비극은 그 군사적 행동이 한국의 영토 범위 내에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더 한층 고조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구원하고자 원하는 이 나라는 전격적인 함포 사격과 공중 폭격의 파괴적인 영향으로 고통받는 기막힌 운명에 처해 있는데도 불구하고, 적의 은둔처는 그러한 공격과 파괴로부터 완전히 보호되어 있습니다.

    세계의 모든 국가 중에서 오직 한국만이 현재까지 공산주의에 대항하여 그 모든 것을 무릅쓰고 있는 유일한 국가입니다.

    한국인의 불굴의 정신과 대단한 용기는 언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들은 노예가 되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무릅쓰는 길을 택했습니다. 그들이 나에게 보내 온 최후의 말은 "태평양을 단념하지 마시오!"라는 부탁이었습니다.

    나는 52년간의 나의 군대 생활의 막을 내리려고 합니다. 내가 군(軍)에 입대했을 때는 세기(世紀)의 전환기 전이었지만, 나의 소년 시절의 모든 꿈과 희망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내가 웨스트포인트(미국 육군사관학교)에서 임관 선서식을 거행한 이래 세상이 몇 차례 뒤바뀌었고, 기억이 희미해지는 가운데 나의 희망과 꿈을 오래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당시 가장 인기가 있었던 군가 중 한 곡의 후렴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는데, 그것은 매우 당당하게 "노병은 결코 죽지 않는다. 그들은 다만 사라질 뿐이다"라고 찬양하는 것입니다.

    그 군가의 노병처럼, 지금 나는 나의 군인으로서의 생애에 막을 내리고 다만 사라지려고 합니다. 하느님께서 그에게 광명을 내리셔서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려고 노력한 노병이 그 의무를 다하게 해주소서! 안녕히 계십시오.

    ※ 이 연설문은 1951년 4월 19일, 맥아더 원수가 의회에서 자신의 행위에 대한 옹호론을 주장한 연설 내용이다.


    Blood, Toil, Tears and Sweat

    Winston Churchill


    13 May 1940




    Mr. Speaker:


    On Friday evening last I received His Majesty's commission to form a new Administration. It was the evident wish and will of Parliament and the nation that this should be conceived on the broadest possible basis and that it should include all parties, both those who supported the late Government and also the parties of the Opposition.


    I have completed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task. A War Cabinet has been formed of five Members, representing, with the Liberal Opposition, the unity of the nation. The three party Leaders have agreed to serve, either in the War Cabinet or in high executive office. The three Fighting Services have been filled. It was necessary that this should be done in one single day, on account of the extreme urgency and rigour of events. A number of other key positions were filled yesterday, and I am submitting a further list to His Majesty tonight. I hope to complete the appointment of the principal Ministers during tomorrow. The appointment of the other Ministers usually takes a little longer, but I trust that, when Parliament meets again, this part of my task will be completed, and that the Administration will be complete in all respects.


    Sir, I considered it in the public interest to suggest that the House should be summoned to meet today. Mr. Speaker agreed and took the necessary steps, in accordance with the powers conferred upon him by the Resolution of the House. At the end of the proceedings today, the Adjournment of the House will be proposed until Tuesday, the 21st May, with, of course, provision for earlier meeting, if need be. The business to be considered during that week will be notified to Members at the earliest opportunity. I now invite the House, by the Resolution which stands in my name, to record its approval of the steps taken and to declare its confidence in the new Government.


    Sir, to form an Administration of this scale and complexity is a serious undertaking in itself, but it must be remembered that we are in the preliminary stage of one of the greatest battles in history, that we are in action at many points in Norway and in Holland, that we have to be prepared in the Mediterranean, that the air battle is continuous and that many preparations have to be made here at home. In this crisis I hope I may be pardoned if I do not address the House at any length today. I hope that any of my friends and colleagues, or former colleagues, who are affected by the political reconstruction, will make all allowances for any lack of ceremony with which it has been necessary to act. I would say to the House, as I said to those who've joined this government: "I have nothing to offer but blood, toil, tears and sweat."


    We have before us an ordeal of the most grievous kind. We have before us many, many long months of struggle and of suffering. You ask, what is our policy? I will say: It is to wage war, by sea, land and air, with all our might and with all the strength that God can give us; to wage war against a monstrous tyranny, never surpassed in the dark and lamentable catalogue of human crime. That is our policy. You ask, what is our aim? I can answer in one word: victory. Victory at all costs, victory in spite of all terror, victory, however long and hard the road may be; for without victory, there is no survival. Let that be realised; no survival for the British Empire, no survival for all that the British Empire has stood for, no survival for the urge and impulse of the ages, that mankind will move forward towards its goal.


    But I take up my task with buoyancy and hope. I feel sure that our cause will not be suffered to fail among men. At this time I feel entitled to claim the aid of all, and I say, "Come then, let us go forward together with our united strength."


    [연설의 배경] 영국의 보수당 의원 윈스턴 처칠은 히틀러의 나치 독일군이 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를 돌파, 프랑스를 향해서 진격하고 있을 때인 1940년 5월13일 의회에서 연설했다. 그 며칠 전 對獨 유화론자이던 챔버레인 前 수상을 계승한 처칠은 이 연설에서 『나는 피, 手苦, 눈물, 그리고 땀밖에 드릴 것이 없습니다』란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 말은 그 뒤 언론에 의해 편집되어 『피, 땀, 눈물』로 정리되었다. 그동안 처칠은 전쟁狂이란 비난을 받아가면서 고독하게 히틀러의 野慾을 경고해 왔었다.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면 처칠은 수상이 되지 못하고 평범한 정치인으로서 끝났을 것이다. 이 연설에서 처칠은 반복과 頭韻法을 활용하여 연설에 극적인 효과를 더했다(“many many months of struggle and suffering”). 처칠은 나치 독일의 팽창력이 극에 달하고 영국의 운명이 경각에 달린 시점에서 앞으로 닥쳐올 고난과 희생의 세월에 대비하도록 국민들에게 경고하고 호소하고 있다. 처칠의 유명한 연설은 주로 영국이 위기에 처해 있을 때 생산되었다. 처칠은 웅변으로써 영어의 힘을 동원하여 영국인의 鬪志를 불러낸 것이다.


    윈스턴 처칠(1874~1965)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졸업. 육군장관·해군장관·수상 역임. 1953년 「제2차 세계대전」으로 노벨문학상 받음.

    ==============================================================================================


    [번역]


    금요일 저녁 나는 국왕 폐하로부터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았습니다. 이 임무는 최대한 광범위한 기반에서 출 발하여 모든 정당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 이 의회와 국가의 확고한 의미였습니다. 나 는 이미 이 임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료했습니다.


    전쟁 지도 내각은 다섯 명으로 구성되었는 바, 이들은 노동당과 반대당과 자유당, 그리고 조국의 단합을 대표합니다. 사태의 심각성과 긴급성 때문에 組閣을 하루 만에 완료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다른 요직은 어제 人選했습니다. 오늘 나는 추가 명단을 國王에게 제출할 것입니다.


    내일 안으로 주요한 장관들의 임명을 끝낼 예정입니다. 다른 장관들의 임명에는 보통 시 간이 더 걸리는 법입니다. 나는 의회가 다시 개회할 때는 내 임무가 끝날 것이고 정부 구성도 모든 면에서 완료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나는 公益을 고려하는 입장에서 의장에게 의회가 오늘 소집되어야 한다고 건의 드렸습니다. 오늘 회의가 끝날 때 오는 5월21일까 지 의회를 휴회할 것을 제안하려고 하는데 그 전에 개회가 필요하다면 그렇게 한다는 잠정적인 조건을 달 것입니다. 최대한 빠른 기회에 이 문제에 대해서 의원들에게 통보 드리겠습니다.


    나는 의회가 지금까지 (내가) 취한 조치들 에 대해서 결의안으로 승인을 해줌으로써 새 정부에 대한 신임을 천명해주시기를 앙 망합니다. 결의안:“하원은 독일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국가적인, 不屈의 단결된 결의를 대표하는 정부를 구성한 것을 환영한다.”


    이만큼 크고 복잡한 정부를 구성한다는 일 자체가 중대한 임무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역사상 최대 결전 중의 하나, 그 도입부에 있습니다. 우리는 홀란드와 노르웨이 등 여러 곳에서 전투 중에 있고 지중해에서도 대비해야 합니다. 공중전도 계속 중이고 여기 우리의 집안에서도 많은 준비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런 위기에 처하여 오늘 의회에서 길게 말씀드리지 못하는 점을 용서해주시리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이번 정치적인 구조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고 있는 내 동료들이나 前 동료들께서 당연히 있어야 할 예의범절에 (내가)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양해해주시기 를 바랍니다.


    나는 이 정부에 참여한 장관들에게 이야기 했던 대로 의회 여러분들에게 다시 말합니다:『나는 피, 수고, 눈물, 그리고 땀밖에 는 달리 드릴 것이 없습니다』 우리는 가장 심각한 시련을 앞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길고 긴 투쟁과 고통의 세월들을 앞두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묻습니다, 당신의 정책 은 무엇인가? 나는 말합니다, 육상에서, 바다에서, 하늘에서 전쟁을 수행하는 것이라 고. 하느님께서 주신 우리의 모든 힘과 능력을 총동원하여, 어둡고 개탄스러운 인간 의 범죄목록에서도 유례가 없는 저 괴물과 같은 전제자를 상대로 전쟁을 수행하는 것, 이것이 우리의 정책입니다.


    여러분들은 질문할 것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무엇인가. 나는 한마디로 답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승리입니다. 승리, 어떤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어떤 폭력을 무릅쓰고라도 승리, 거기에 이르는 길이 아무리 길고 험 해도 승리, 승리 없이는 생존도 없기 때문 에 오직 승리뿐입니다.


    그것을 기필코 실현시킵시다. (승리 없이는 ) 대영제국의 생존도, 대영제국이 버티어온 모든 것들의 생존도, 인류가 그 목표를 향하여 전진하도록 만드는 시대의 욕구와 鼓動도 존재할 수 없을 것입니다. 나는 희망에 들뜬 기분으로 나의 임무를 인수하는 바 입니다. 나는 우리의 소명은 결코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나는 이 시점 , 이 대목에서 여러분들의 도움을 요구할 자격이 있다고 느끼면서 이렇게 호소하는 바입니다.


    『자, 단합된 우리의 힘을 믿고서 우리 모두 전진합시다』

    혼동하기 쉬운 단어정리

    수능영어/독해 2009. 3. 10. 20:21 Posted by chanyi

    Part 1.


     

    인사말은 생략

     

    sarah라는 진행자를 S, Tiffany=T, Jessica=J로~

    s: 오늘 모신 두 분은  코리안 어메리칸이라 제가 해석을 안해도 되어서 쉽게 갈 수 있겠는데요.ㅎㅎㅎ

         요즘 Gee 가 완전 대박났죠! 한국에서 뿐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대히트인것 같아요. 참! 그 유툽비디오들 보셨어요?

     

    T: yeh~ that i've seen quite a few of them actually.(네~ 그것도 여러버젼으로  봤어요.)

         yeh~ other countries and boys and girls, that's why it's so interesting!

         (네, 다른나라 사람들이 만든거, 소년, 소녀들이 만든거...그래서 더 재밌는거 같아요.)

     

    s: 이번 미니앨범이 이렇게 까지 대박 날 줄 예상하셨나요?

     

    T: we had no idea, we really had no idea. um...preparing for this album, we took a lot more than what we expected, so like, we took a lot more time than everybody expected,. but i guess as hard as we worked, like a few back is getting.  yeh! it's paying off.(전혀 예상하지 못했었어요.이 앨범을 준비하면서... 사람들이 예상했던 시간보다 훨씬 오래걸려었어요. 그래서 제 생각엔 우리가 열심히 했던 만큼 호응해주시는것 같아요, 네, 그 댓가를 받는거죠.ㅎㅎ)

     

    s: 그렇다면 항상 새 곡을 받을 때 마다 이 곡은 히트 할것이다 이런 감이 오나요? 아니면 일단 내고 반응을 지켜보는 편인가요?

     

    T: uh...of course there's always really really good music, like all the music we've done so far is like our style and we really like it. but this song was actually pretty new and it's kind of different from what we did in the first album. we were kind of scared but at the same time we were like we shouldn't be scared and  we should kind of make it ours, if it doesn't look like ours.

    (어.....저희가 여태까지 부른 노래들이 다 저희들이 부르기 좋아했던 좋은 곡들이 었는데, 이번 노래는  저희 1집 때 불렀던 곡들과는 많이 틀린 느낌이었어서 다들 좀 부르기를 두려워했었죠. 그러나 다들 두려워하지말고 우리 노래같지 않으면 우리 노래로 한번 만들어보자 그랬어요.)

     

    J: and it really became ours now.(그래서 이젠 저희 곡이 되었어요.)←제싴이가 드뎌 입을 열다 ㄷㄷㄷ;

     

    s: ok! 말하신대로 시간이 오래걸려 나온 앨범이고, 지금 새로운 이미지로 활동 중이신데...본인들이 생각하기에 지난 앨범들과 비교해 볼 때 어떻게 변화하신것 같아요?

     

    T: i have to say we've matured so much like...( 저희 정말 많이 성숙해졌어요...)

     

    S: 어떤 면에서요?

     

    T: musically, physically, mentally and as a group. I'd say we grew up a lot. long time ago, we're just like, argue about stupid things, and now it's like, we understand each other a lot more. and we're all running at one goal so....

    (음악적으로, 심신적으로 그리고, 그룹으로서도...저희가 많이 성숙해 진것 같고요, 전에는 별일아닌걸로도 자주 싸우고 그랬는데..요즘엔 서로 잘 이해해 주고, 한가지 목표를 위해 함께 달리니까 그런것 같아요,)

     

    J: i think it actually shows, like when we go on stage,,um... we feel more mature and we feel more comfortable on stage.

    (제 생각엔 그런 변화가 보여지는것 같아요. 요즘은 무대에 올라가도 더 성숙된 느낌이나고, 무대에서 여유도 생긴것 같아요.)

     

    s: 그렇다면 멤버들 간에 관계에 있어서 어떤 식의 변화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나요. 왜냐면 여자아이 9명 ,자그마치 아홉이나 모였잖아요. 여자들이 모이면 장난아니잖아요 솔직히.....

     

    T: baseball team( 야구팀...)ㅋㅋㅋㅋㅋㅋㅋㅋ

      yeh~ we can be catty, becuz we are pretty catty(네, 좀 장난 아니죠~ 왜냐면 저희 다 좀 catty해요. {여기서  참고로 catty란 고양이 같음을 말함. 알아서들 상상하시길. 예를 들어 여자들끼리의 싸움을 cat's fight이라고 한다...한 성질들 한다능 표현이 맞을래나?})

     

    s: 그래도 자매 같기도 하죠?( 진행자가 뻘쭘함을 급 마무리하려 애쓰네..;)

     

    T: that's exactly we call each other but it can get catty but what's really really like,  well balanced, and we're all like really catty but we're not catty to each other. we're catty when it comes to like our group. it's somebody like  said  something about us,im  like "what?"( 네, 우리도 서로 자매같다고 말해요. 근데 우리가 다 catty한 건 사실이지만, 저희는 그래도 서로 잘 맞는 편이라 서로 한테 catty하진 않지만...누가 우리 그룹을 가지고 모라 그러면 욱해져여 "모라 그랬어?" 막이러고...ㅋㅋㅋㅋㅋ

     

    s: 아주 방어적이시네여~

     

    J: Tiffany is really overprotected.(파니가 많이 저희를 과잉보호하는 편이예요.)

     

    T: yeh, actually i really get catty.(예, 저도 모르게 catty해 져요.)

     

    s: 오~ 니가 그룹 안에서 완전 엄마상이로구나~~~

     

    T: i don't know when i turned this way~(저도 제가 언제 이렇게 됐는지 모르겠어요)

     

    s: 나이가 들어간다는 소리예요, 농담이구요~ㅋㅋㅋ아직 20살 밖에 않됐는데요 모,,,,저는 27살이예요

     

    T: it's ok! my sister is 28.(괜찮아요~ 우리 언니도 28살 이예요.)ㅋㅋㅋㅋ

     

     이번 앨범을 내면서 음반시장에서 누군가를 라벌로 의식한적이 있나요?

     

    T: honestly, n,,,,of course there's always competition, but it wasn't who were we competing with and it was the fact that we were actually comming back and we wanted be at our best! like so we weren't afraid O what if we lose to someone and it was we don't wnat to lose for our selves. so we're kind of perfectionist. lol(솔직히...아.... 물론 항상 어디에나 경쟁은 있죠. 그러나 우리가 누구를 의식하고 경쟁의식을 느꼈다기 보다는 저희에겐 컴백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우리의 최고의 모습을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 더 컸다고 봐야죠. 그리고 누구에게 지느냐가 중요했다기보다는 우리스스로에게 지는 것이 더 두려웠어요. 저흰 좀 완벽주의인것 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 그렇군요, 그래서 두 분다 코암이시고,

    너는 엘에이 또 너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왔잖아요. 근데 한국에 있는 에쎔이란 회사에 어떻게 들어가게 되었나요?

     

    J: um...well i was casted in korea actually, when i was 5th grade, so it was like....yeh, very young...i was shopping with my mom....

    (어...저는 5학년 때 한국에서 캐스팅 됐어요. 네 어렸을 때 ㅋㅋㅋ 엄마랑 샤핑나갔다가...)

     

    s: 아~ 길거리 캐스팅된거군요.

     

    T: i was casted....i was singing at an audition actually, and at the time i was 15. so i just turned to sophomore in high school.

    and then they asked if i was interested in sining and i definitely was so, i asked my dad and he said no but i somehow got away and im here now.

    (저는 노래부르는 오디션에서 캐스팅되었구요. 그 때가 15세 였고 고1 올라가자 마자 였어요, 오디션에서 더에게 노래할 의향이 있는냐고 물어봐서 저는 당연히 있다고 했고, 아빠 한테 여쭈어 보았더니 안된다고 하셨는데...어찌어찌해서 지금 여기있네요.ㅋㅋㅋㅋ)

     

    J: Tiffany went to school with me. yeh in korea(파니가 한국에서 저랑 같은 학교를 다녔어요.)

     

    T: we were going in a foreign school together.(예 둘이 같이 외국인 학교 다녔어요.)

    Foreign,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 so we're pretty familiar with whole american...like...school soceity life. yeh~

    ( 외국인, 미국,  국제 학교 같은 곳인데요. 그래서 우리도 미국 학교 생활이 어떤지 대충알죠.)

     

    s: 그러니까 두 분은  그 나이 때 에쎔과 계약을 하신거잖아여, 그럼 그 때 연습생을 한건가요?

     

    T: yeh! it started immediately when we got here, but it's like everybody thinks like whole training system is like ,super like, hard and like rough and no pain(?) you know? like but actually it;s not all that bad, pretty as much as you put into it.

    (네, 한국에 오자마자 바로 시작했죠. 그러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연습생 기간이 그렇게 혹독하고, 힘들진 않았어요. 그냥 내가 하는 만큼 얻게 되는거죠.)

    J: and the company is really, they're very caring and supportive.

    ( 저희 회사는 써포트도 잘해주고 잘 돌봐주는 편이예요.)

     

    T: really supportive, let's say i wanted to sing, i wanted to act, i wanted to do something ,then they'll be very supportive and like support us in every way. (  우리가 하고 싶어하는걸 다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줘요. 노래가 됐든 연기가 됐든..모든 잘 도와주는 편이예요.)

     

    s: 그럼 연습생 시절이 어땠었는지 말해 줄 수 있나요? 항상 반복돼었던 일 같은거?

     

    J: typical days(매일 반복되는 날들....)ㅋㅋㅋ

     

    T: if we go to school around 7am to 3pm(학교를 7시에 가서 3시에 마치고 돌아오면...)

     

    J: and then after school, we come and have lunch and then we practiced.( 방과 후에 점심먹고, 연습했어요.)

     

    T: so the practice would be based on lessons. so singing, dancing, acting and like chinese, like languages

    (연습은 레슨에 따라 달랐구요, 노래 ,춤, 연기 그리고 중국어 같은 외국어 공부등...)

     

    J: Japanese, too(일본어두요)

     

    T: after that it's strictly based on your own practice. yeh, self practice! so after 2years we were put in a group preparation,

    was like 2yrs .right?(레슨이 끝나면 완전 자기 혼자하는 연습이였어요. 혼자연습! 그리고 2년 정도 지난 후에 그룹(소시)준비에 넣어 졌어요. 2년 정도 맞지?

     

    s:그럼 그룹 결성 되기전에 둘이 알고 지내는 사이 였나요?( 이 사회자님 뭥미? 아까 실컷 둘이 학교 같이 다녔다고 얘기했는데;;;;;;;;)

     

    T: yeh! of course! we always in a school together. it was cool actually.

    ( 당연하죠, 학교에서 맨날 만났는데,,,)

     

    s: 니네가 다녔다는 학교는 들어보니까 완전 학원비슷한 널널한 분위기였겠는데...(제 생각엔 요 부분에서 사회자가 말한 학교는 sm연습생레슨을 말한거 같은데 파니는 켄트로 알아들은거 같음! 사회자가 참 사람 헸갈리게하네;;;;;;;)

     

    T: yeh! since i went to American high school, like american school for my whole life, it was kind ofcool ya~ lay back.

    (네, 저는 여기오기 전 까지 미국에 있는 미국학교들을 다녔었잖아요. 그래서 여기 학교는 좀.....널널했어요.)

     

    s: sm연습생학교는 레슨을 그룹별로 지도하나요? 아니면 개인적으로 하나요?

     

    T & J: there's both!(둘 다요)

     

    s: 그럼 연습생 기간 동안 모가 제일 힘들었나요?

     

    T: I'd have to say it's all in the mind, cuz it's not, it's nothings forced, it's all up to you basically, it's all up to you honestly.

    as much as you want to do it, as much as you put into it, that's exactly  how much it comes back to you i guess. nothing was ..

    really really hard it was just ...i think the stages  of going through you know? if you want to be a doctor you know you have to go to school for like 7yrs....it's hard. yeh~

    (모든것이 자기 맘에 달렸다고 봐요, 왜냐면  아무도 억지로 시키지 않는 상황에서 솔직히 자기가 알아서 스스로 해야하거든요. 그러니까 내가 얼마나 열심히 했느냐에 따라 결과가 나에게 돌아오는거죠. 딱히 어려운 일을 없었던것 같은데..자기를 자신을 넘어서는  과정이 어려웠던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의사가 되기원하면 의대에 가서 7년이나 공부해야하잖아요.....네~ 어려운거 같아요.

     

    s: 너 할말이 있어 보였눈데? 한숨도 쉬고

     

    J: no no no no actually, i had a hard time finishing my homework and doing my essays and studying for a test and  so we'd stay up together or calling up each other.  ( 아뇨....저는 학교 갔다와서 숙제하고, 에세이 쓰고 ,시험공부 하며 연습생 생활을 같이 했던게 힘들었구요, 그래서 항상 늦게 까지 남아서나 전화로 얘랑 통화하며 서로 도와주었죠.)

     

    s: 그럼요~ 학교다니면서 병행한다는게 쉬운일은 절대 아니죠.

    Part.2

     

     

    s: 요즘 소시가 돌리는 채널마다 나오고, 모든  버라이어티에 다 나오는거 같던데...요즘 스케줄도 매우 바쁘죠?  그리고, 리더인 태연이 정형돈씨와 함께 우결에 출연중이죠? 근데 멤버들은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 가상 결혼생활에 대해..

     

    T: it's  amazing becuz we really really liked the show and we were always like a viewer of the show, yeh! we're big fan of the show. and now that taeyeon's on it, even more interesting, and at first, we were really shocked but we were really supportive and fact that he is actually a lot more caring than everybody thinks he is. he's very caring~ and i would say since when we were young, we  probably say no! we would never gonna get marry to him. but let's  say we got older and we actually looking for husband figure. he actually might be a good husband figure.

    (짱이예요, 안그래도 저희가 다 우결 팬이었는데, 요즘엔 태연이까지 나오니 당연히 더 흥미롭게 되었어요.  처음엔 정말 충격이었는데, 지금은 많이 도와주고 응원해 주고 있어요. 그리고 정형돈씨가 밖으로 알려진 모습보다 의외로 잘 챙겨주는 사람이란게  신기했어요. 만약 우리가 어렸었다면 당근 노! 했었겠지만 요즘은 다들 남편상을 찾고 있는 중이라 남의 일 같지 않았어요. 그리고 남편감으로 그리 나쁘지만도 아닌거 같아요.)

     

    J: i didn't say that! ( 나는 절대 아니예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 그래서 여러 분들 생각엔 그 둘이 잘어울리는 거 같아요?

     

    T & J: yeh! cute couple!

     

    s: 그런 태연이가 심각하게 그를 받아들일 수도 있을것 같아요?

     

    @#$#%$%$^&%(^(*&)(&)(*

     

    T: i don't think so. he's very young! she's very future? and we love her very much!

     

    T: age nothing but a number~~~~(나이는 숫자에 불과할 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 정형돈씨가 처음 만났을 때 너네 아파트로 찾아갔지?

     

    T: yeh! he was shocked!

     

    s: 그가 왜 놀랐나요?

     

    T: he scared, cuz there were like 9girls~~~~( 여자가 아홉이나 있는집에 오게 되니 당근 놀라죠.)

     

    s: 지금 숙소에서 다같이 생활하고 있죠? 몇 년이나 같이 살았나요?

     

    T: it's now almost our second year.(지금 2년 째예요)

     

    s: 화장실 나눠쓰는건 어떤가요? 나머지 7명과함께?

     

    J: it;s not how's living together? how's it sharing a bathroom?

    (아니.. 같이 생활하는게 어떠냐는 것도 아니고, 화장실 나눠쓰는 문제는 어떤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T: honestly, i guess sharing a bathroom is like the  biggest deal?( 솔직히 화장실 나눠쓰는 문제가 큰 문제죠?)

     

    s: 그럼요! 당근 중요하죠!!!!!!!!

    T: we're really balanced so.. let's say Jessica wakes up late and im the one who wakes up early, so it's like  in & out, in & out and time's pretty right so...( 우리는 잘 맞는 편이라 만약 제시카가 늦게 일어 난다고 치면 제가 일 찍일어나는 편이고, 모 이런 식으로 들락거리는 시간이 그냥 대충 잘 맞는 편이예요.)

     

    S: 다 같이 앉아서 화장실 누가 언제 쓰나 스케줄 표 같은거 만들고 그러지 않나요?

    J : nono No we never do that.( 아뇨 전혀 안그래요.)

    T: we kinda mold it together, well molded( 아주 자연스럽게 맞추어져가죠)

    s: soul mate!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윤아-너내운, 탱-우결 말고, 여러분들은 어때요? 연기할 생각없나요?

     

    J: we're in girls generation!(우리는 소녀시대로 활동하고 있어요.   (ㄷㄷㄷ 시카효과!!!)

     

    T: that was a joke but Jessica's not given.( 그게 농담이었어요.. 시카가 원래 남 웃기는건 타고나진 안았어요 ㅋㅋㅋㅋㅋ)

    actually we're always prepared for a new ride so if we ever had a chance cuz we always been preparing and always up for the challange, nothing's set right now.(저희는 항상 새로운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있죠.기회만 온다면 도전할 준비가  되어있어요. 아직 확정된건 없어요.) actually we're cocentrating on going around  together. nine of us together. becuz it's been a while and honestly Jessica and i over here we're very selfish with the music.  so for now we're pretty much puting into all in our group.

    (지금은 다 함께 작업하는거에 집중하있고요. 아홉명이 다같이, 왜냐면 그런지 꽤 오래됐고, 솔직히 말해 여기있는 제시카나 저는 음악에 욕심이 많거든요. ㅋㅋㅋㅋ 그래서 지금은 그룹활동에 모든걸 쏟아붓고 있죠.)

    s: 개인적으로나 그룹으로서 들어 본 루머 중에 가장 웃기거나 이상한 소문이 무엇이었나요?

    T: jessica looks pretty bumped.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 actually i have a lot of things on my mind right now.

    T: what's funny one?

    J: the funny one....

    s: 방송으로 탈 수 있는것 만 말해주세요~ㅋㅋㅋ

     

    T: there were like new comparison for about thing , they compared my last album and the album now and they're like O! she got a lot smarter over one  album, so i was like im just growing into my skin, i was embarrased but it's kind of fun becuz it's good experience for my family since they weren't with me fot about 3yrs, and they can watch me grow and i was pretty happy with but it was fun so.

    (어떤 비교하는게 있었는데요, 지난 앨범에서의 저의 모습과 이번 앨범의 모습을 비교해 논게 있었어요. 좀 닭살돋게 창피했지만 재밌었어요. 그리고 제가 가족과 못지낸지가 3년째인데 저의 자라가는 모습을 한눈에 볼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던것 같아요. 재밌었어요.^^)

     

     

    S: 니가 맡은 역이 너를 날카로운 연장(?)으로 보지 않게만드는(ㄸㅍㄴ이미지말하는 것임!ㅠㅠ) 고정관념들이 좀 그렇지?  다 show잖아?

     

    T: im foreign? (이라는건지 여기서 또 막히네! ;;;;) 답하기가 민망해서 장난치는거 같은데.....피니야~ㅠ

      im getting sharper~~~ 지금은 많이 날카로워지고 있어요.( 연장얘기임!)ㅋㅋㅋㅋ

    NO no it wasn't never an act. i  just so happened to not know some vocabs.ㅋㅋㅋㅋ

    (아녜요, 그건 연기가 아니었고요, 그냥 제가 단어들을 좀 잘 몰랐었어요.)

     

    s: 그래도 편집이란걸 할 수 있었잖아요. 얼마든지 편집을 할 수 있었을텐데...그니까 우리는 리얼리티쇼를 완전한 리얼리티라고 부를 수 없는거죠, 편집들을 하니까!

    어쨌든 너희들은 화난 네티든들이나 악플쓰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편인가?아니면 그냥....

     

    T: the first album, yes i was pretty, i was ....obviously i was very sad,,some false acusation...a little..but i was never showed.

    (첫번째 앨범 때는 정말 많이 슬펐어요, 밖으로 표현은 하지는 않았지만 ,하지도 않은 일들을 했다고 거짓으로 저를 취급했던 것들이...ㅠ)

    but now huh! it kind a makes me into better person, better entertainer (지금은 하! 저를 더 낳은 사람 엔터테이너로 만들어 주는것 같아요.)

     

     

    J: i kind a think of it as attention.( 저는 그게 일종의 관심이라고 생각해요.)

    if i wasn't a girls generation Jessica or she wasn't Tiffany, people wouldn't really talk about us.(만약에 저나 티파니가 소시멤버가 아니었다면 우리에 대해 말하지 않았었겠죠.)

     

    T: it's all about your interests, thank u  for loving us,( 맞아요 다 관심인거죠. 우리를 이토록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 사람들이 그러잖아요. 헤드라인에 니 이름이 있는한 아무리 나쁜 기사가 나도 그건 다 유명세 때문이라고,

     

     

    T: yeh we're just  taking it as a constructive criticism now. i swear i grew up now!

    ( 네, 그래서 우린 요즘 건설적인 비평으로 받아들이고 있답니다, 나 진짜 많이 자랐다!ㅋㅋㅋㅋ) 파니 우월한 유머로 사회자 언니 또 감네~~~ㅠ

    i would been crying~`(아니면 울고 있었겠죠.)

     

    s: 마지막으로 지금 듣고 계신 시청자들께 한마디씩 하시죠

     

     

    J:저희가 지난 달에 새로 gee 미니앨범 들고 나왔으니까 저희 음악 즐감시고, 곧 뵙게 되길 바랄께요.

     

    T: first and foremost, i like to thank all the fans, not just in korea but actually all listeners too right now becuz we're very overwhelmed and grateful for the much you all have given us and i 'd like to say that since we were absent for 2008, we'll be here through out the whole 2009. and i hope you look forward to our new music.

    (제일 먼저 그리고 가장 감사드리고 싶은 분들은 모든 팬여러분들, 한국에계신 분들 뿐만이 아니라 지금 이방송을 듣고 계신 여러분들입니다. 저희는 여러분들의 넘치는 사랑에  감동받았고, 감사한 마음을 지니고 있습니다.  비록 저희가 2008년도에 여러분들께 저희 모습을많이 보여드리지 못했지만 2009년도에는 저희가 여기 있겠습니다. 저희 새로운 음악을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