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EnjoyEnglish'에 해당되는 글 4815건
- 2009.03.12 2009년 3월 고3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모의고사 34
- 2009.03.12 2009년 3월 고2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모의고사 34
- 2009.03.12 2009년 3월 고1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모의고사 2
- 2009.03.10 혼동하기 쉬운 단어정리 8
- 2009.03.07 2009년 대전, 광주교육청 반배치고사 영어문제
- 2009.03.07 티파니&제시카 영어 인터뷰(Kbs 월드라디오 "스타쳇")내용해석 2
- 2009.03.05 May/Might 뽀개기
- 2009.02.26 Furniture가 셀수 없는 이유(불가산 명사)
- 2009.02.26 수학관련용어(math vocabulary)
- 2009.02.19 2009년 인천교육청 반배치고사 영어문제
- 2009.02.09 최상위권 학생의 내신 관리방법
- 2009.02.08 스티브 잡스 - 스탠포드대연설 mp3
- 2009.02.07 힐러리 클린턴 연설-여성의 권리는 인권 2
- 2009.02.07 Team Teaching Materials(팀 티칭)
- 2009.02.06 영문 자기소개(hobbies, likes, dislikes)-2
- 2009.02.06 영문 자기소개(hobbies, likes, dislikes) - 1
- 2009.02.05 자전거타고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을 - 2
- 2009.02.04 2009년 모의고사 일정표(사설포함) 1
- 2009.02.03 프랭클린 D. 루스벨트 -Pearl Harbor Address to the Nation(명연설 mp3)
- 2009.02.01 엄마가 자주쓰는 영어표현
- 2009.01.28 텝스에서 틀리기 쉬운 문법 50가지
- 2009.01.27 링컨 게티스버그연설문의 해석과 해설
- 2009.01.27 케네디 취임사(John F. Kennedy)
- 2009.01.26 빌 클린턴 취임연설(Bill clinton) 3
- 2009.01.25 루즈벨트 취임사(1st) 2
- 2009.01.24 자전거타고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을 누비자.-1
- 2009.01.24 한국음식을 영어로 표현하기(Typical Korean Dishes)
- 2009.01.24 긴급상황 해외여행 필수 생활영어
- 2009.01.23 역대 미국대통령 취임연설 1
- 2009.01.21 우화100편 정리

Part 1.
인사말은 생략
sarah라는 진행자를 S, Tiffany=T, Jessica=J로~
s: 오늘 모신 두 분은 코리안 어메리칸이라 제가 해석을 안해도 되어서 쉽게 갈 수 있겠는데요.ㅎㅎㅎ
요즘 Gee 가 완전 대박났죠! 한국에서 뿐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대히트인것 같아요. 참! 그 유툽비디오들 보셨어요?
T: yeh~ that i've seen quite a few of them actually.(네~ 그것도 여러버젼으로 봤어요.)
yeh~ other countries and boys and girls, that's why it's so interesting!
(네, 다른나라 사람들이 만든거, 소년, 소녀들이 만든거...그래서 더 재밌는거 같아요.)
s: 이번 미니앨범이 이렇게 까지 대박 날 줄 예상하셨나요?
T: we had no idea, we really had no idea. um...preparing for this album, we took a lot more than what we expected, so like, we took a lot more time than everybody expected,. but i guess as hard as we worked, like a few back is getting. yeh! it's paying off.(전혀 예상하지 못했었어요.이 앨범을 준비하면서... 사람들이 예상했던 시간보다 훨씬 오래걸려었어요. 그래서 제 생각엔 우리가 열심히 했던 만큼 호응해주시는것 같아요, 네, 그 댓가를 받는거죠.ㅎㅎ)
s: 그렇다면 항상 새 곡을 받을 때 마다 이 곡은 히트 할것이다 이런 감이 오나요? 아니면 일단 내고 반응을 지켜보는 편인가요?
T: uh...of course there's always really really good music, like all the music we've done so far is like our style and we really like it. but this song was actually pretty new and it's kind of different from what we did in the first album. we were kind of scared but at the same time we were like we shouldn't be scared and we should kind of make it ours, if it doesn't look like ours.
(어.....저희가 여태까지 부른 노래들이 다 저희들이 부르기 좋아했던 좋은 곡들이 었는데, 이번 노래는 저희 1집 때 불렀던 곡들과는 많이 틀린 느낌이었어서 다들 좀 부르기를 두려워했었죠. 그러나 다들 두려워하지말고 우리 노래같지 않으면 우리 노래로 한번 만들어보자 그랬어요.)
J: and it really became ours now.(그래서 이젠 저희 곡이 되었어요.)←제싴이가 드뎌 입을 열다 ㄷㄷㄷ;
s: ok! 말하신대로 시간이 오래걸려 나온 앨범이고, 지금 새로운 이미지로 활동 중이신데...본인들이 생각하기에 지난 앨범들과 비교해 볼 때 어떻게 변화하신것 같아요?
T: i have to say we've matured so much like...( 저희 정말 많이 성숙해졌어요...)
S: 어떤 면에서요?
T: musically, physically, mentally and as a group. I'd say we grew up a lot. long time ago, we're just like, argue about stupid things, and now it's like, we understand each other a lot more. and we're all running at one goal so....
(음악적으로, 심신적으로 그리고, 그룹으로서도...저희가 많이 성숙해 진것 같고요, 전에는 별일아닌걸로도 자주 싸우고 그랬는데..요즘엔 서로 잘 이해해 주고, 한가지 목표를 위해 함께 달리니까 그런것 같아요,)
J: i think it actually shows, like when we go on stage,,um... we feel more mature and we feel more comfortable on stage.
(제 생각엔 그런 변화가 보여지는것 같아요. 요즘은 무대에 올라가도 더 성숙된 느낌이나고, 무대에서 여유도 생긴것 같아요.)
s: 그렇다면 멤버들 간에 관계에 있어서 어떤 식의 변화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나요. 왜냐면 여자아이 9명 ,자그마치 아홉이나 모였잖아요. 여자들이 모이면 장난아니잖아요 솔직히.....
T: baseball team( 야구팀...)ㅋㅋㅋㅋㅋㅋㅋㅋ
yeh~ we can be catty, becuz we are pretty catty(네, 좀 장난 아니죠~ 왜냐면 저희 다 좀 catty해요. {여기서 참고로 catty란 고양이 같음을 말함. 알아서들 상상하시길. 예를 들어 여자들끼리의 싸움을 cat's fight이라고 한다...한 성질들 한다능 표현이 맞을래나?})
s: 그래도 자매 같기도 하죠?( 진행자가 뻘쭘함을 급 마무리하려 애쓰네..;)
T: that's exactly we call each other but it can get catty but what's really really like, well balanced, and we're all like really catty but we're not catty to each other. we're catty when it comes to like our group. it's somebody like said something about us,im like "what?"( 네, 우리도 서로 자매같다고 말해요. 근데 우리가 다 catty한 건 사실이지만, 저희는 그래도 서로 잘 맞는 편이라 서로 한테 catty하진 않지만...누가 우리 그룹을 가지고 모라 그러면 욱해져여 "모라 그랬어?" 막이러고...ㅋㅋㅋㅋㅋ
s: 아주 방어적이시네여~
J: Tiffany is really overprotected.(파니가 많이 저희를 과잉보호하는 편이예요.)
T: yeh, actually i really get catty.(예, 저도 모르게 catty해 져요.)
s: 오~ 니가 그룹 안에서 완전 엄마상이로구나~~~
T: i don't know when i turned this way~(저도 제가 언제 이렇게 됐는지 모르겠어요)
s: 나이가 들어간다는 소리예요, 농담이구요~ㅋㅋㅋ아직 20살 밖에 않됐는데요 모,,,,저는 27살이예요
T: it's ok! my sister is 28.(괜찮아요~ 우리 언니도 28살 이예요.)ㅋㅋㅋㅋ
이번 앨범을 내면서 음반시장에서 누군가를 라벌로 의식한적이 있나요?
T: honestly, n,,,,of course there's always competition, but it wasn't who were we competing with and it was the fact that we were actually comming back and we wanted be at our best! like so we weren't afraid O what if we lose to someone and it was we don't wnat to lose for our selves. so we're kind of perfectionist. lol(솔직히...아.... 물론 항상 어디에나 경쟁은 있죠. 그러나 우리가 누구를 의식하고 경쟁의식을 느꼈다기 보다는 저희에겐 컴백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우리의 최고의 모습을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 더 컸다고 봐야죠. 그리고 누구에게 지느냐가 중요했다기보다는 우리스스로에게 지는 것이 더 두려웠어요. 저흰 좀 완벽주의인것 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 그렇군요, 그래서 두 분다 코암이시고,
너는 엘에이 또 너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왔잖아요. 근데 한국에 있는 에쎔이란 회사에 어떻게 들어가게 되었나요?
J: um...well i was casted in korea actually, when i was 5th grade, so it was like....yeh, very young...i was shopping with my mom....
(어...저는 5학년 때 한국에서 캐스팅 됐어요. 네 어렸을 때 ㅋㅋㅋ 엄마랑 샤핑나갔다가...)
s: 아~ 길거리 캐스팅된거군요.
T: i was casted....i was singing at an audition actually, and at the time i was 15. so i just turned to sophomore in high school.
and then they asked if i was interested in sining and i definitely was so, i asked my dad and he said no but i somehow got away and im here now.
(저는 노래부르는 오디션에서 캐스팅되었구요. 그 때가 15세 였고 고1 올라가자 마자 였어요, 오디션에서 더에게 노래할 의향이 있는냐고 물어봐서 저는 당연히 있다고 했고, 아빠 한테 여쭈어 보았더니 안된다고 하셨는데...어찌어찌해서 지금 여기있네요.ㅋㅋㅋㅋ)
J: Tiffany went to school with me. yeh in korea(파니가 한국에서 저랑 같은 학교를 다녔어요.)
T: we were going in a foreign school together.(예 둘이 같이 외국인 학교 다녔어요.)
Foreign,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 so we're pretty familiar with whole american...like...school soceity life. yeh~
( 외국인, 미국, 국제 학교 같은 곳인데요. 그래서 우리도 미국 학교 생활이 어떤지 대충알죠.)
s: 그러니까 두 분은 그 나이 때 에쎔과 계약을 하신거잖아여, 그럼 그 때 연습생을 한건가요?
T: yeh! it started immediately when we got here, but it's like everybody thinks like whole training system is like ,super like, hard and like rough and no pain(?) you know? like but actually it;s not all that bad, pretty as much as you put into it.
(네, 한국에 오자마자 바로 시작했죠. 그러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연습생 기간이 그렇게 혹독하고, 힘들진 않았어요. 그냥 내가 하는 만큼 얻게 되는거죠.)
J: and the company is really, they're very caring and supportive.
( 저희 회사는 써포트도 잘해주고 잘 돌봐주는 편이예요.)
T: really supportive, let's say i wanted to sing, i wanted to act, i wanted to do something ,then they'll be very supportive and like support us in every way. ( 우리가 하고 싶어하는걸 다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줘요. 노래가 됐든 연기가 됐든..모든 잘 도와주는 편이예요.)
s: 그럼 연습생 시절이 어땠었는지 말해 줄 수 있나요? 항상 반복돼었던 일 같은거?
J: typical days(매일 반복되는 날들....)ㅋㅋㅋ
T: if we go to school around 7am to 3pm(학교를 7시에 가서 3시에 마치고 돌아오면...)
J: and then after school, we come and have lunch and then we practiced.( 방과 후에 점심먹고, 연습했어요.)
T: so the practice would be based on lessons. so singing, dancing, acting and like chinese, like languages
(연습은 레슨에 따라 달랐구요, 노래 ,춤, 연기 그리고 중국어 같은 외국어 공부등...)
J: Japanese, too(일본어두요)
T: after that it's strictly based on your own practice. yeh, self practice! so after 2years we were put in a group preparation,
was like 2yrs .right?(레슨이 끝나면 완전 자기 혼자하는 연습이였어요. 혼자연습! 그리고 2년 정도 지난 후에 그룹(소시)준비에 넣어 졌어요. 2년 정도 맞지?
s:그럼 그룹 결성 되기전에 둘이 알고 지내는 사이 였나요?( 이 사회자님 뭥미? 아까 실컷 둘이 학교 같이 다녔다고 얘기했는데;;;;;;;;)
T: yeh! of course! we always in a school together. it was cool actually.
( 당연하죠, 학교에서 맨날 만났는데,,,)
s: 니네가 다녔다는 학교는 들어보니까 완전 학원비슷한 널널한 분위기였겠는데...(제 생각엔 요 부분에서 사회자가 말한 학교는 sm연습생레슨을 말한거 같은데 파니는 켄트로 알아들은거 같음! 사회자가 참 사람 헸갈리게하네;;;;;;;)
T: yeh! since i went to American high school, like american school for my whole life, it was kind ofcool ya~ lay back.
(네, 저는 여기오기 전 까지 미국에 있는 미국학교들을 다녔었잖아요. 그래서 여기 학교는 좀.....널널했어요.)
s: sm연습생학교는 레슨을 그룹별로 지도하나요? 아니면 개인적으로 하나요?
T & J: there's both!(둘 다요)
s: 그럼 연습생 기간 동안 모가 제일 힘들었나요?
T: I'd have to say it's all in the mind, cuz it's not, it's nothings forced, it's all up to you basically, it's all up to you honestly.
as much as you want to do it, as much as you put into it, that's exactly how much it comes back to you i guess. nothing was ..
really really hard it was just ...i think the stages of going through you know? if you want to be a doctor you know you have to go to school for like 7yrs....it's hard. yeh~
(모든것이 자기 맘에 달렸다고 봐요, 왜냐면 아무도 억지로 시키지 않는 상황에서 솔직히 자기가 알아서 스스로 해야하거든요. 그러니까 내가 얼마나 열심히 했느냐에 따라 결과가 나에게 돌아오는거죠. 딱히 어려운 일을 없었던것 같은데..자기를 자신을 넘어서는 과정이 어려웠던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의사가 되기원하면 의대에 가서 7년이나 공부해야하잖아요.....네~ 어려운거 같아요.
s: 너 할말이 있어 보였눈데? 한숨도 쉬고
J: no no no no actually, i had a hard time finishing my homework and doing my essays and studying for a test and so we'd stay up together or calling up each other. ( 아뇨....저는 학교 갔다와서 숙제하고, 에세이 쓰고 ,시험공부 하며 연습생 생활을 같이 했던게 힘들었구요, 그래서 항상 늦게 까지 남아서나 전화로 얘랑 통화하며 서로 도와주었죠.)
s: 그럼요~ 학교다니면서 병행한다는게 쉬운일은 절대 아니죠.
Part.2
s: 요즘 소시가 돌리는 채널마다 나오고, 모든 버라이어티에 다 나오는거 같던데...요즘 스케줄도 매우 바쁘죠? 그리고, 리더인 태연이 정형돈씨와 함께 우결에 출연중이죠? 근데 멤버들은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 가상 결혼생활에 대해..
T: it's amazing becuz we really really liked the show and we were always like a viewer of the show, yeh! we're big fan of the show. and now that taeyeon's on it, even more interesting, and at first, we were really shocked but we were really supportive and fact that he is actually a lot more caring than everybody thinks he is. he's very caring~ and i would say since when we were young, we probably say no! we would never gonna get marry to him. but let's say we got older and we actually looking for husband figure. he actually might be a good husband figure.
(짱이예요, 안그래도 저희가 다 우결 팬이었는데, 요즘엔 태연이까지 나오니 당연히 더 흥미롭게 되었어요. 처음엔 정말 충격이었는데, 지금은 많이 도와주고 응원해 주고 있어요. 그리고 정형돈씨가 밖으로 알려진 모습보다 의외로 잘 챙겨주는 사람이란게 신기했어요. 만약 우리가 어렸었다면 당근 노! 했었겠지만 요즘은 다들 남편상을 찾고 있는 중이라 남의 일 같지 않았어요. 그리고 남편감으로 그리 나쁘지만도 아닌거 같아요.)
J: i didn't say that! ( 나는 절대 아니예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 그래서 여러 분들 생각엔 그 둘이 잘어울리는 거 같아요?
T & J: yeh! cute couple!
s: 그런 태연이가 심각하게 그를 받아들일 수도 있을것 같아요?
@#$#%$%$^&%(^(*&)(&)(*
T: i don't think so. he's very young! she's very future? and we love her very much!
T: age nothing but a number~~~~(나이는 숫자에 불과할 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 정형돈씨가 처음 만났을 때 너네 아파트로 찾아갔지?
T: yeh! he was shocked!
s: 그가 왜 놀랐나요?
T: he scared, cuz there were like 9girls~~~~( 여자가 아홉이나 있는집에 오게 되니 당근 놀라죠.)
s: 지금 숙소에서 다같이 생활하고 있죠? 몇 년이나 같이 살았나요?
T: it's now almost our second year.(지금 2년 째예요)
s: 화장실 나눠쓰는건 어떤가요? 나머지 7명과함께?
J: it;s not how's living together? how's it sharing a bathroom?
(아니.. 같이 생활하는게 어떠냐는 것도 아니고, 화장실 나눠쓰는 문제는 어떤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T: honestly, i guess sharing a bathroom is like the biggest deal?( 솔직히 화장실 나눠쓰는 문제가 큰 문제죠?)
s: 그럼요! 당근 중요하죠!!!!!!!!
T: we're really balanced so.. let's say Jessica wakes up late and im the one who wakes up early, so it's like in & out, in & out and time's pretty right so...( 우리는 잘 맞는 편이라 만약 제시카가 늦게 일어 난다고 치면 제가 일 찍일어나는 편이고, 모 이런 식으로 들락거리는 시간이 그냥 대충 잘 맞는 편이예요.)
S: 다 같이 앉아서 화장실 누가 언제 쓰나 스케줄 표 같은거 만들고 그러지 않나요?
J : nono No we never do that.( 아뇨 전혀 안그래요.)
T: we kinda mold it together, well molded( 아주 자연스럽게 맞추어져가죠)
s: soul mate!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윤아-너내운, 탱-우결 말고, 여러분들은 어때요? 연기할 생각없나요?
J: we're in girls generation!(우리는 소녀시대로 활동하고 있어요. (ㄷㄷㄷ 시카효과!!!)
T: that was a joke but Jessica's not given.( 그게 농담이었어요.. 시카가 원래 남 웃기는건 타고나진 안았어요 ㅋㅋㅋㅋㅋ)
actually we're always prepared for a new ride so if we ever had a chance cuz we always been preparing and always up for the challange, nothing's set right now.(저희는 항상 새로운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있죠.기회만 온다면 도전할 준비가 되어있어요. 아직 확정된건 없어요.) actually we're cocentrating on going around together. nine of us together. becuz it's been a while and honestly Jessica and i over here we're very selfish with the music. so for now we're pretty much puting into all in our group.
(지금은 다 함께 작업하는거에 집중하있고요. 아홉명이 다같이, 왜냐면 그런지 꽤 오래됐고, 솔직히 말해 여기있는 제시카나 저는 음악에 욕심이 많거든요. ㅋㅋㅋㅋ 그래서 지금은 그룹활동에 모든걸 쏟아붓고 있죠.)
s: 개인적으로나 그룹으로서 들어 본 루머 중에 가장 웃기거나 이상한 소문이 무엇이었나요?
T: jessica looks pretty bumped.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 actually i have a lot of things on my mind right now.
T: what's funny one?
J: the funny one....
s: 방송으로 탈 수 있는것 만 말해주세요~ㅋㅋㅋ
T: there were like new comparison for about thing , they compared my last album and the album now and they're like O! she got a lot smarter over one album, so i was like im just growing into my skin, i was embarrased but it's kind of fun becuz it's good experience for my family since they weren't with me fot about 3yrs, and they can watch me grow and i was pretty happy with but it was fun so.
(어떤 비교하는게 있었는데요, 지난 앨범에서의 저의 모습과 이번 앨범의 모습을 비교해 논게 있었어요. 좀 닭살돋게 창피했지만 재밌었어요. 그리고 제가 가족과 못지낸지가 3년째인데 저의 자라가는 모습을 한눈에 볼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던것 같아요. 재밌었어요.^^)
S: 니가 맡은 역이 너를 날카로운 연장(?)으로 보지 않게만드는(ㄸㅍㄴ이미지말하는 것임!ㅠㅠ) 고정관념들이 좀 그렇지? 다 show잖아?
T: im foreign? (이라는건지 여기서 또 막히네! ;;;;) 답하기가 민망해서 장난치는거 같은데.....피니야~ㅠ
im getting sharper~~~ 지금은 많이 날카로워지고 있어요.( 연장얘기임!)ㅋㅋㅋㅋ
NO no it wasn't never an act. i just so happened to not know some vocabs.ㅋㅋㅋㅋ
(아녜요, 그건 연기가 아니었고요, 그냥 제가 단어들을 좀 잘 몰랐었어요.)
s: 그래도 편집이란걸 할 수 있었잖아요. 얼마든지 편집을 할 수 있었을텐데...그니까 우리는 리얼리티쇼를 완전한 리얼리티라고 부를 수 없는거죠, 편집들을 하니까!
어쨌든 너희들은 화난 네티든들이나 악플쓰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편인가?아니면 그냥....
T: the first album, yes i was pretty, i was ....obviously i was very sad,,some false acusation...a little..but i was never showed.
(첫번째 앨범 때는 정말 많이 슬펐어요, 밖으로 표현은 하지는 않았지만 ,하지도 않은 일들을 했다고 거짓으로 저를 취급했던 것들이...ㅠ)
but now huh! it kind a makes me into better person, better entertainer (지금은 하! 저를 더 낳은 사람 엔터테이너로 만들어 주는것 같아요.)
J: i kind a think of it as attention.( 저는 그게 일종의 관심이라고 생각해요.)
if i wasn't a girls generation Jessica or she wasn't Tiffany, people wouldn't really talk about us.(만약에 저나 티파니가 소시멤버가 아니었다면 우리에 대해 말하지 않았었겠죠.)
T: it's all about your interests, thank u for loving us,( 맞아요 다 관심인거죠. 우리를 이토록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 사람들이 그러잖아요. 헤드라인에 니 이름이 있는한 아무리 나쁜 기사가 나도 그건 다 유명세 때문이라고,
T: yeh we're just taking it as a constructive criticism now. i swear i grew up now!
( 네, 그래서 우린 요즘 건설적인 비평으로 받아들이고 있답니다, 나 진짜 많이 자랐다!ㅋㅋㅋㅋ) 파니 우월한 유머로 사회자 언니 또 감네~~~ㅠ
i would been crying~`(아니면 울고 있었겠죠.)
s: 마지막으로 지금 듣고 계신 시청자들께 한마디씩 하시죠
J:저희가 지난 달에 새로 gee 미니앨범 들고 나왔으니까 저희 음악 즐감시고, 곧 뵙게 되길 바랄께요.
T: first and foremost, i like to thank all the fans, not just in korea but actually all listeners too right now becuz we're very overwhelmed and grateful for the much you all have given us and i 'd like to say that since we were absent for 2008, we'll be here through out the whole 2009. and i hope you look forward to our new music.
(제일 먼저 그리고 가장 감사드리고 싶은 분들은 모든 팬여러분들, 한국에계신 분들 뿐만이 아니라 지금 이방송을 듣고 계신 여러분들입니다. 저희는 여러분들의 넘치는 사랑에 감동받았고, 감사한 마음을 지니고 있습니다. 비록 저희가 2008년도에 여러분들께 저희 모습을많이 보여드리지 못했지만 2009년도에는 저희가 여기 있겠습니다. 저희 새로운 음악을 기대해 주세요.)

1. 조동사 may-might 친근하게 땡기기
자, 먼저 기본도표 보삼.
(1) 기본도표 들여다보기
(2) 기본 개념 익히기
A. May
조동사 may는 ‘정중한 부탁’을 하는 경우나 ‘공식적인 허락’을 표현할 때, '추측의 의미'로 사용된다.
① 공손한 요구 (~할 수 있을까요?)
May I borrow your bicycle?
② 허락 (~해도 좋다 = can) - May I + 동사원형?
You may leave the room.
May I leave now? A: Sure. / Yes, you may.
May I go to the bathroom?
May I speak to Mr. Kim? (=Can I speak to Mr. Kim, please?)
May I help you? (=What can I do for you?/ How can I help you?)
[심화학습]
(a) When you finish/ the test,/ you may leave.//
네가 끝마치면/ 시험을 끝마치면,/ 너는 가도 좋다.//
(b) You can leave/ here/ if you are/ in a hurry.//
너는 떠날 수 있다/ 여기를/ 만약 네가 -이라면/ 급하다면 여기를 떠나도 좋다.//
(c) May I listen/ to the radio?//
내가 들어도 되니/ 라디오를 들어도 되니?//
(d) Yes,/ you may.//
그래,/ 좋아.//
(e) No,/ you may not.// (불허가)
아니,/ 안돼.//
(f) No,/ you must not.// (강한금지) You can't listen/ to the radio.//
아니./ 하면 안돼.// 너는 들을 수 없어/ 라디오를 들을 수 없어.//
[해설]
(a)는 ‘허락’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기존 문법서에서는 can 도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고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a)의 may 는 공식적인 상황에서의 허락을 표현하고, (b)의 can 은 비공식적 상황에서의 허락을 나타낸다는 것이 보다 정확한 사용이다.
(c)에서 may I 는 허락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could I 로 쓸 수도 있다. 이 요청에 대한 긍정의 응답은 (d)이지만 이는 교과서적인 표현이고 보통의 경우 Certainly. Yes, certainly. Of course. Yes, of course. 등이 많이 사용된다.
(e)의 may not 은 일반적으로 허락하지 않는 경우이며, (f)의 must not 은 ‘절대로 해서는 안된다’는 금지의 의미로 사용되고, 줄임말은 mustn't 로 't'는 소리 내지 않고 ‘머슨트’로 발음한다.
③ 추측(확신): 50%정도 (~일지도 모른다.)
He may be at the library.
50%의 추측: may + 동사원형
IYou He/ She/ It They/ We |
may |
go out tonight. win the lottery. come to the party. rain later. be a student |
* be동사와 함께 쓰는 경우 -> 현재의 추측
He may be a student.
They may be at home.
He may be/ deaf.//= Maybe/ he is/ deaf.//
그는 -일지도 모른다/ 귀가 안 들릴 지도 모른다.//
현재 사실에 대해 100%의 확신을 갖고 있다면 조동사를 사용하지 않고, He is deaf. 로 표현한다.
may 는 확신의 정도가 50%에 미치지 못하는 불확실한 추측에 사용한다.
B. Might
① 공손한 요구 (~할 수 있을까요?)
Might I borrow your bicycle?
② 추측(확신): 20%정도 (~일지도 모른다.)
He might be at the library.
20%의 추측: might + 동사원형
You He/ She/ It They/ We |
might |
go out tonight. win the lottery. come to the party. rain later. be a student |
* be동사와 함께 쓰는 경우 -> 현재의 추측
She might be sick.
She may be studying English.
2. 조동사 may-might Level up!!!!!
* 한 일 샘의 기초영문법및 종합영문법에서 인용
⑴ may와 might가 정말로 같은 뜻이라면 단어도 똑 같아야 한다.
그런데 단어의 모양이 다르다. 그 뜻은 어딘가에 차이점이 있다는 뜻이다.
⑵ 어느 쪽이 더 가능성이 높을까요?
① He may come. may → 50%정도의 확률
② He might come. might → 20%정도의 확률
⑶ 어느 쪽이 더 확률이 높을까요?
① It may rain. vs.(o)
② It might rain.
⑷ 친구의 생각이 거의 맞을 확률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직접적으로 “너 틀렸어!” 하기도 좀 미안한 상황입니다.
친구가 맞을 확률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지만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이번에는 거의 틀린 것 같다 라고 말을 돌려 말할 때 어떻게 말하나요?
You are wrong.
① You may be right. (맞을 확률이 50%/틀릴 확률도 50%)
② You might be right. (맞을 확률이 20%/틀릴 확률은 80%)
⑸ 어느 쪽이 생활가운데 더 많이 사용될까요? may > might
might를 많이 쓰게 되면 확률이 낮은 말을 많이 한다는 의미이므로
실생활에서는 may를 더 많이 씁니다.
(6) 부정문 만드는 법
He may not come to the party.
I might not go out tonight.
3. 조동사 may-might Orall Drill
자, 여기까지입니다.
이제 may와 might 확연히 구분되지요!
머리로 이해하고,
입으로 달달하고,
문장에 써드시고,
대화에 써드시라!!!!!!
Furniture: The movable articles that are used to make a room or building suitable for living or working. (집이나 빌딩에 주거나 일을 위해서 채우는 움직일 수 있는 개체들)
※출처 Oxford사전
쉽게 이해하기 위해 that 이하의 설명을 다 빼고 보면 furniture[가구]는 the movable articles[움직일 수 있는 물건들]라는 말만 남는다. Articles는 일반적으로 신문이나 잡지의 글, 또는 관사를 의미하지만 여기에서는 물건이나 물품을 뜻한다. 그런데 그 형태를 보면 복수형(articles)이다. 의자나 테이블과 같은 하나하나의 가구를 말하지 않고 이런 종류들, 즉, 전체를 말하기 때문에 복수형이 사용되었다. 전체 종류를 뜻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셀 수 없는 것이다. Furniture를 우리말의 가구라고 번역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 가구 뒤에 류(流)를 붙여서 가구류라고 하는 것이 휠씬 정확하다. 가구는 셀 수 있지만 가구류는 셀 수 없다. 마찬가지로 baggage는 짐이 아니라 짐류로, jewelry는 보석이 아니라 보석류로 바꾼다면 왜 이들이 불가산명사인지 쉽게 이해될 것이다.

더욱 자세한 설명은 아래 화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Furniture가 셀수 없는 이유.pdf
출처:영문법 고충 해결서
obtuse angle둔각
acute angle예각
right angle직각
interior angle대내각
alternate angle엇각
corresponding angles동위각
vertical angle맞꼭지각
exterior angle외각
complementary angle여각
congruity합동
adjacent인접한 (이웃하는)
altitude높이
arc호
area면적
arithmetic mean산술평균
arithmetic progression등차수열
base밑변
legs밑변
bisect이등변
hypotenuse빗변
center중심
central angle중심각
chord 현
circumference원주
coefficient계수
common difference공차
common measure공약수
greatest common measure 최대공약수
common multiple공배수
least common multiple최소공배수
relative prime서로소
remainder나머지
dividend 나눠지는 수, 피제수
divisor나누는수. 제수
common ratio 공비
consecutive integers연속된 정수들
constant상수
cost원사, 가격, 정가
cube세제곱, 입방체
decimal소수
decimal fraction소수 부분
decimal point소수점
decrement 감소분
denominator분모
diagonal 대각선
diameter직경(지름)
digit자릿수
proportion비례
inverse proportion반비례
direct proportion정비례
discount할익(액)
distance거리
associative law결합법칙
distributive law분배법칙
commutative law교환 법칙
equation방정식
inequalities부등식
equidistance같은 거리
polygon다각형
triangle삼각형
quadrilateral사각형
regular polygon정다각형
equilateral triangle정삼각형
right triangle직각삼각형
science triangle부등변삼각형
isoceles이등변삼각형
obtuse triangle둔각삼각형
acute triangle예각 삼각형
square제곱, 정사각형
trapezoid사다리꼴
rhombus마름모
rectangle직사각형
parallelogram평행사변형
pentagon오각형
hexagon육각형
exponent지수
even number짝수
odd number홀수
expansion전개
factor인수
factorization 인수분해
prime factor소인수
factorization소인수 분해
complex fraction번분수
fraction분수
geometric mean 기하 평균
geometric progression등비수열
greatest common measure 최대공약
harmonic mean조화평균
hundreds 백의 자리
hundredths소수 둘째 자리
imaginary unit허수
increment증가분
infinite decimal무한소수
integer정수
Z 는 독일어로 "number" 에
해당하는 말인 Zahl (복수는 Zahlen)
interest이익
intersection교집합, 교점
like term동류항
mid point중점
multiple백수
natural number자연수
negative integer음의 정수
normal 법선
numerator 분자
order차수
parallel 평행
parentheses광호
perimeter둘레
perpendicular수직
polynomial다항식
positive integer양의 정수
power멱
price매가(가격)
product곱
progression수열
quotient몫(유리수)
유리수는 rational number지만
real number의 약자로 R이 쓰이기 때문에
Q 는 "비율, 몫" 을 뜻하는 quotient 사용
radius (radii)반경(반지름)
rate이율, 속도
rate of increase증가율
rate of decrease감소율
reciprocal역수
root(제곱)근
rounding off 반올림
sector부채꼴
set집합
similarity닮음
similar term동류항
simultaneous equations 연립방정식
solution해(답)
sum합
supplementary angle보각
tangent line접선
ray 반직선
segment선분
tens 십의 자리
tenths소수 첫째 자리
term항
thousands 천의 자리
thousandths 소수 셋째 자리
transversal 횡단선
union합집합
unknown미지수
vertex (verticles)꼭지점
volume부피
weight무게
whole number정수
주제별 단어 22 수리(Mathematics)
A. Shapes & Lines (모양과 선)
1. square정사각형 2. rectangle직사각형 3. triangle삼각형 4. cube정육면체 5. pyramid각뿔 6. cone원뿔 7. cylinder 원기둥 8. sphere구 9. circle원 10. curve곡선 11. straight line직선 12. perpendicular line수직선 13. parallel lines평행선 14. diagonal대각선 15. angle각 16. base밑변 17. center(원의)중심 18. circumference원주 19. diameter지름 20. radius 반지름 21. arc호,원호 22. angle각도 23. depth깊이 24. height높이 25. length길이 26. oval타원형 27. spiral나선형 28. thick두꺼운 29. width 폭, 너비
B. Calculation (계산)
complex number복소수 C를 사용
real number실수
rational number유리수
irrational number무리수
natural number자연수
integer정수
even number짝수
odd number홀수
prime number 소수
evaluate값을 구하다
scale비례하다
sum합
연산
addition덧셈
subtraction뺄셈
multiplication곱셈
division나눗셈
C. Numbers (수)
1. a large number of많은 수의 2. dozens of수십의 3. scores of수십의 4. tens of수십의 5. hundreds of수백의 6. thousands of수천의 7. millions of수백만의 8. billions of수십억의 9. trillions of수조의 10. zillions of(가상적으로)엄청나게 큰 수의
foundation기초
mathematics수학
discipline학문 분야
reflect반영하다.
heritage유산
reveal드러내다.
calculate계산하다.
cube세제곱하다.
equal동등한
infinity무한대
radius반경
matrix행렬
resort to∼ …에 호소하다
concept 개념
relation 관계
tangent 접선, 탄젠트
root 뿌리, 근
raise 상승하다.
application 응용, 적용
random 되는 대로의
fundamental 기초의
statistics 통계학
♣ ⊙서울대/특목고/외고/국제중⊙ 외고준비,서울대 준비를 위한 내신관리 방법과 정리방법 소개 ♣
1. 내신은 성실함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이라는 것을 인식하자!!
내신의 성실함, 인내력의 측정이다!!
수능시험 보지 않는 과목도 무조건 접어두고 내신을 위한 공부는 꼭 해야만한다.
2. 필기를 100% 활용하는 습관을 들여, 복습을 하는 것이 좋다!!
필기는 알아볼수 있게만 하고 수업이 끝난 후 정리하는게 좋다.
깔끔하게 정리하려다가 설명을 놓칠수도 있다.
정리하다보면 복습이 된다. 쉬는시간 5분 ~ 10분을 잘 활용해도 좋다.
3. 중요과목은 고1때부터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언어,수리,외국어 과목은 1학년때부터 진도를 따라가면서 체계적으로 예습과 복습을 해야한다.
단위수가 높은 과목부터 중점적으로 하는 것이 좋고 내신 비중이 큰 언어, 수리, 외국어는 반듯이 잡아야한다.
4. 사탐, 과탐은 시험 치르기 2-3주 전에 집중 관리 하는 것이 좋다.
언어,수리,외국어부터 한후 사탐, 과탐은 시험치르기 2~3주 전에 집중관리하는 것이 좋다.
5. 벼락치기 과목도 계획을 잘 세워야 한다.
다른 암기 과목도 시험전 2주전까지는 계획을 세워서 시험치는 날까지 시험범위를 3번정도는 봐야한다.
6. 공부 잘 하는 아이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끼어넣는다.
적극적으로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하는 말에 귀를 귀울이는 것이 좋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시험문제를 80%정도는 예측을 할수 있는 능력이 있다.
무엇이 나올거냐고 적극적으로 물어보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7. 학교 선생님 말씀이 진리다.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선생님 말씀에 귀를 기울이는건 절대 원칙이다.
수업시간에 놀고 다른 방법으로 공부하려는건 미련한 짓임을 기억할 것!!
건방을 떨면 오히려 내신은 떨어지기 쉽상이므로 꼭 순응과 성실성으로 승부하자.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선생님 말씀에 귀를 기울이는건 내신을 관리하는 절대 원칙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8. 수행평가 실기도 마지막 1점까지 최선을 다하도록 한다.
실기도 꼭 정성을다하고 최선을 다해서 하자
마지막 1점이라도 최선을 다하면 선생님도 왠만해서는 실수를 해도 눈감아 주신다.
선생님께 평소 잘보이는 것이 좋은 것이다.
9. 아는 문제일수록 주의 깊게 읽어라.
가끔 선생님들이 함정을 파는데 출제했던 문제나 프린트물 중에서 살짝 바꿔서 문제를 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는 문제일수록 주의 깊게 읽어야하는 것이다!!
10. 내신 시험의 키포인트는 족보 파악이다.
선생님들의 출제 패턴을 파악하자.
학교 선생님들은 수능 출제 위원과는 틀리기 때문에,
난이도 안배나 다른것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으므로 족보 파악을 하는것이 상위권에 오르는 지름길!!
11. 선생님을 귀찮을 정도로 공략하면 문제가 흘러나온다.
선생님께 질문을 끝까지 물고 늘어질 경우 귀찮은 나머지 “여기서 안나와“ ,”거기까진 안내“등으로 대답할 경우도 있다. 반대로 문제 내려고 하는 것은 설명을 친절하게 해주고 어떤때는 꼭 알아둬 등으로 대답할 때도 있다.
복습과 예습에 대하여 알아보자!!
1) 효과적인 복습의 위대한 힘을 알아보자!!
시험기간에 벼락치기하는것과는 비교도 안되게 예습과 복습을 재대로 알고 하게되면,
2달에 한번보는 중간/기말고사 공부를 수업시간중에 200~300시간을 재대로 해놓는 셈이 된다.
실제로 전교 1등 2등을 하는 학생은 수업시간중에 내용을 모두 숙지하고 예습, 복습만으로 최상위 성적을 유지하고 어떤 학생은 오직 교과서와 노트필기만으로 공부를 했다.
빨리빨리 머리에 주입시키는것보다 복습을 꼭 하고 다음날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복습을 하지않고 다음날로 넘어가면 50%에 가까운 내용을 잊어버리게 된다.
잘못된 선행학습으로 정석을 한번떼도 머리에 남는 것이 없으면 시간낭비일 뿐이다.
수업시간이 끝난후 바로 복습하는 것과 하교 후 자기 전에 복습을 하는것의 시간차이는 10분~20분까지 차이가 나게 된다. 그 다음날 공부를 하려면 거의 수업시간만큼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공부를 많이 안하는데도 내신관리 잘하는 학생들을 보면 그 학생들은 짬짬히 예습과 복습의 법칙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을 볼수 있다.
절대 욕심내지 않고 머릿속에 넣은 것은 꼭 다시한번 확인하고 확실히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습을 하지만 예습을 일일이 하는 학생들은 별로 없다.
예습의 의미를 한 학기 먼저 공부하는 선 학습과 혼동하기도 하는데,
예습은 매 수업이 시작되기전에 수업내용을 대강 눈으로 훑으며 파악하는 과정을 뜻한다.
선행학습도 재대로 하려면 학원에 가기전에 그 수업에 대한 예습을 하는 것이 좋다는 뜻이다.
예습은 사전에 미리 흐름을 파악해 놓기 때문에 수업시간중에 공부를 끝낼수 있다는 점이다.
예습을 해놓게 되면 수업시간에 훨씬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생각하면서 그 수업에 집중을 할수 있다.
중요한 흐름과 주요사항들을 암기할수 있는 여유까지 생긴다.
학생들 중에도 유독 집중력이 뛰어나고 적은 시간을 공부해도 성적이 잘 나오는 학생이 있기 마련이다.
그 학생은 내신기간에 특별히 고통스러운 밤을 새울 필요도 없고 어머니와 언성을 높일 필요도 없을 것이다.
내신의 비법은 바로 예습과 복습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출처 : 카이스타학원 http://www.khistar.co.kr
먼저 세계 최고의 명문으로 꼽히는 이 곳에서 여러분들의 졸업식에 참석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대학을 졸업하지 못했습니다. 솔직히, 태어나서 대학교 졸업식을 이렇게 가까이서 보는 것은 처음이네요.
Today I want to tell you three stories from my life. That's it. No big deal. Just three stories.
오늘, 저는 여러분께 제가 살아오면서 겪었던 세 가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그게 답니다. 별로 대단한 이야기는 아니구요. 딱 세가지만요.
The first story is about connecting the dots.
먼저, 인생의 전환점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I dropped out of Reed College after the first 6 months, but then stayed around as a drop-in for another 18 months or so before I really quit. So why did I drop out?
전 리드 칼리지에 입학한지 6개월 만에 자퇴했습니다. 그래도 일년 반 정도는 도강을 듣다, 정말로 그만뒀습니다. 왜 자퇴했을까요?
She felt very strongly that I should be adopted by college graduates, so everything was all set for me! It started before I was born. My biological mother was a young, unwed college graduate student, and she decided to put me up for adoption. to be adopted at birth by a lawyer and his wife.
그 것은 제가 태어나기 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제 생모는 대학원생인 젊은 미혼모였습니다. 그래서 저를 입양보내기로 결심했던 거지요. 그녀는 제 미래를 생각해, 대학 정도는 졸업한 교양있는 사람이 양부모가 되기를 원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태어나자마자 변호사 가정에 입양되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Except that when I popped out they decided at the last minute that they really wanted a girl. So my parents, who were on a waiting list, got a call in the middle of the night asking: "We have an unexpected baby boy; do you want him?"
그들은 여자 아이를 원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들 대신 대기자 명단에 있던 양부모님들은 한 밤 중에 걸려온 전화를 받고 : "어떡하죠? 예정에 없던 사내아이가 태어났는데, 그래도 입양하실 건가요?"
They said: "Of course."
"물론이죠"
My biological mother later found out that my mother had never graduated from college and that my father had never graduated from high school. She refused to sign the final adoption papers.
그런데 알고보니 양어머니는 대졸자도 아니었고, 양아버지는 고등학교도 졸업 못한 사람이어서 친어머니는 입양동의서 쓰기를 거부했습니다.
She only relented a few months later when my parents promised that I would someday go to college. And 17 years later I did go to college.
친어머니는 양부모님들이 저를 꼭 대학까지 보내주겠다고 약속한 후 몇 개월이 지나서야 화가 풀렸습니다. 17년후, 저는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But I naively chose a college that was almost as expensive as Stanford, and all of my working-class parents' savings were being spent on my college tuition.
그러나 저는 멍청하게도 바로 이 곳, 스탠포드의 학비와 맞먹는 값비싼 학교를 선택했습니다^^ 평범한 노동자였던 부모님이 힘들게 모아뒀던 돈이 모두 제 학비로 들어갔습니다.
After six months, I couldn't see the value in it. I had no idea what I wanted to do with my life and no idea how college was going to help me figure it out.
결국 6개월 후, 저는 대학 공부가 그만한 가치가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내가 진정으로 인생에서 원하는 게 무엇인지, 그리고 대학교육이 그 것에 얼마나 어떻게 도움이 될지 판단할 수 없었습니다.
And here I was spending all of the money my parents had saved their entire life. So I decided to drop out and trust that it would all work out OK.
게다가 양부모님들이 평생토록 모은 재산이 전부 제 학비로 들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모든 것이 다 잘 될거라 믿고 자퇴를 결심했습니다.
It was pretty scary at the time, but looking back it was one of the best decisions I ever made. The minute I dropped out I could stop taking the required classes that didn't interest me, and begin dropping in on the ones that looked interesting.
당시에는 두려웠지만, 뒤돌아 보았을때 제 인생 최고의 결정 중 하나였던 것 같습니다. 자퇴한 순간, 흥미없던 필수과목들을 듣는 것은 그만두고 관심있는 강의만 들을 수 있었습니다.
It wasn't all romantic. I didn't have a dorm room, so I slept on the floor in friends' rooms, I returned coke bottles for the 5¢ deposits to buy food with, and I would walk the 7 miles across town every Sunday night to get one good meal a week at the Hare Krishna temple.
그렇다고 꼭 낭만적인 것만도 아니었습니다. 전 기숙사에 머물 수 없었기 때문에 친구 집 마룻바닥에 자기도 했고 한 병당 5센트씩하는 코카콜라 빈병을 팔아서 먹을 것을 사기도 했습니다. 또 매주 일요일, 단 한번이라도 제대로 된 음식을 먹기 위해 7마일이나 걸어서 하레 크리슈나 사원의 예배에 참석하기도 했습니다.
I loved it. And much of what I stumbled into by following my curiosity and intuition turned out to be priceless later on. Let me give you one example:
맛있더군요^^ 당시 순전히 호기와 직감만을 믿고 저지른 일들이 후에 정말 값진 경험이 됐습니다. 예를 든다면
Reed College at that time offered perhaps the best calligraphy instruction in the country. Throughout the campus every poster, every label on every drawer, was beautifully hand calligraphed.
그 당시 리드 칼리지는 아마 미국 최고의 서체 교육을 제공했던 것 같습니다. 학교 곳곳에 붙어있는 포스터, 서랍에 붙어있는 상표들은 너무 아름다웠구요.
Because I had dropped out and didn't have to take the normal classes, I decided to take a calligraphy class to learn how to do this.
어차피 자퇴한 상황이라, 정규 과목을 들을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서체에 대해서 배워보기로 마음먹고 서체 수업을 들었습니다.
I learned about serif and san serif typefaces, about varying the amount of space between different letter combinations, about what makes great typography great. It was beautiful, historical, artistically subtle in a way that science can't capture, and I found it fascinating.
그 때 저는 세리프와 산 세리프체를, 다른 글씨의 조합간의 그 여백의 다양함을, 무엇이 위대한 타이포그래피를 위대하게 만드는 지를 배웠습니다. 그것은 '과학적'인 방식으로는 따라하기 힘든 아름답고, 유서깊고, 예술적으로 미묘한 것이었고, 전 매료되었습니다.
None of this had even a hope of any practical application in my life. But ten years later, when we were designing the first Macintosh computer, it all came back to me.
이런 것들 중 어느 하나라도 제 인생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10년 후 우리가 첫번째 매킨토시를 구상할 때, 그 것들은 고스란히 빛을 발했습니다.
And we designed it all into the Mac. It was the first computer with beautiful typography. If I had never dropped in on that single course in college, the Mac would have never had multiple typefaces or proportionally spaced fonts. And since Windows just copied the Mac, its likely that no personal computer would have them.
우리가 설계한 매킨토시에 그 기능을 모두 집어넣었으니까요. 그것은 아름다운 서체를 가진 최초의 컴퓨터였습니다. 만약 제가 그 서체 수업을 듣지 않았다면 매킨토시의 복수서체 기능이나 자동 자간 맞춤 기능은 없었을 것이고 맥을 따라한 윈도우도 그런 기능이 없었을 것이고, 결국 개인용 컴퓨터에는 이런 기능이 탑재될 수 없었을 겁니다.
If I had never dropped out, I would have never dropped in on this calligraphy class, and personal computers might not have the wonderful typography that they do.
만약 학교를 자퇴하지 않았다면, 서체 수업을 듣지 못했을 것이고 결국 개인용 컴퓨터가 오늘날처럼 뛰어난 글씨체들을 가질 수도 없었을 겁니다.
Of course it was impossible to connect the dots looking forward when I was in college.
물론 제가 대학에 있을 때는 그 순간들이 내 인생의 전환점이라는 것을 알아챌 수 없었습니다.
But it was very, very clear looking backwards ten years later.
그러나 10년이 지난 지금에서야 모든 것이 분명하게 보입니다.
Again, you can't connect the dots looking forward; you can only connect them looking backwards.
달리 말하자면, 지금 여러분은 미래를 알 수 없습니다 : 다만 현재와 과거의 사건들만을 연관시켜 볼 수 있을 뿐이죠.
So you have to trust that the dots will somehow connect in your future.
그러므로 여러분들은 현재의 순간들이 미래에 어떤 식으로든지 연결된다는 걸 알아야만 합니다.
You have to trust in something - your gut, destiny, life, karma, whatever.
여러분들은 자신의 배짱, 운명, 인생, 카르마(업) 등 무엇이든지 간에 '그 무엇'에 믿음을 가져야만 합니다.
This approach has never let me down, and it has made all the difference in my life.
이런 믿음이 저를 실망시킨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제 인생에서 남들과는 다른 모든 '차이'들을 만들어냈습니다.
My second story is about love and loss.
두번째는 사랑과 상실입니다.
I was lucky I found what I loved to do early in life.
저는 운 좋게도 인생에서 정말 하고 싶은 일을 일찍 발견했습니다.
Woz and I started Apple in my parents garage when I was 20.
제가 20살 때, 부모님의 차고에서 워즈(스티브 워즈니악)와 함께 애플의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We worked hard, and in 10 years Apple had grown from just the two of us in a garage into a $2 billion company with over 4000 employees.
우리는 열심히 일해서, 차고에서 2명으로 시작한 애플은 10년 후에 4000명의 종업원을 거느린 2백억 달러짜리 기업이 되었습니다.
We had just released our finest creation - the Macintosh - a year earlier, and I had just turned 30. And then I got fired.
제 나이 29살, 우리는 최고의 작품인 매킨토시를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듬해 저는 해고당했습니다.
How can you get fired from a company you started?
내가 세운 회사에서 내가 해고 당하다니!
Well, as Apple grew we hired someone who I thought was very talented to run the company with me,
당시, 애플이 점점 성장하면서, 저는 저와 함께 회사를 경영할 유능한 경영자를 데려와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and for the first year or so things went well.
처음 1년 정도는 그런대로 잘 돌아갔습니다.
But then our visions of the future began to diverge and eventually we had a falling out.
그런데 언젠가부터 우리의 비전은 서로 어긋나기 시작했고, 결국 우리 둘의 사이도 어긋나기 시작했습니다.
When we did, our Board of Directors sided with him. So at 30 I was out. And very publicly out.
이 때, 우리 회사의 경영진들은 존 스컬리의 편을 들었고, 저는 30살에 쫓겨나야만 했습니다. 그 것도 아주 공공연하게.
What had been the focus of my entire adult life was gone, and it was devastating.
저는 인생의 촛점을 잃어버렸고, 뭐라 말할 수 없는 참담한 심정이었습니다.
I really didn't know what to do for a few months.
전 정말 말 그대로, 몇 개월 동안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었답니다.
I felt that I had let the previous generation of entrepreneurs down - that I had dropped the baton as it was being passed to me.
마치 달리기 계주에서 바톤을 놓친 선수처럼, 선배 벤처기업인들에게 송구스런 마음이 들었고
I met with David Packard and Bob Noyce and tried to apologize for screwing up so badly.
데이비드 패커드(HP의 공동 창업자)와 밥 노이스(인텔 공동 창업자)를 만나 이렇게 실패한 것에 대해 사과하려했습니다.
I was a very public failure, and I even thought about running away from the valley.
저는 완전히 '공공의 실패작'으로 전락했고, 실리콘 밸리에서 도망치고 싶었습니다.
But something slowly began to dawn on me.
그러나 제 맘 속에는 뭔가가 천천히 다시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I still loved what I did. The turn of events at Apple had not changed that one bit.
전 여전히 제가 했던 일을 사랑했고, 애플에서 겪었던 일들조차도 그런 마음들을 꺾지 못했습니다.
I had been rejected, but I was still in love. And so I decided to start over.
전 해고당했지만, 여전히 일에 대한 사랑은 식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전 다시 시작하기로 결심했습니다.
I didn't see it then, but it turned out that getting fired from Apple was the best thing that could have ever happened to me.
당시에는 몰랐지만, 애플에서 해고당한 것은 제 인생 최고의 사건임을 깨닫게 됐습니다.
The heaviness of being successful was replaced by the lightness of being a beginner again, less sure about everything.
그 사건으로 인해 저는 성공이란 중압감에서 벗어나서 초심자의 마음으로 돌아가
It freed me to enter one of the most creative periods of my life.
자유를 만끽하며, 내 인생의 최고의 창의력을 발휘하는 시기로 갈 수 있게 됐습니다.
During the next five years, I started a company named NeXT, another company named Pixar, and fell in love with an amazing woman who would become my wife.
이후 5년 동안 저는 '넥스트', '픽사'를 만들고, 그리고 지금 제 아내가 되어준 그녀와 사랑에 빠져버렸습니다.
Pixar went on to create the worlds first computer animated feature film, Toy Story, and is now the most successful animation studio in the world.
픽사는 세계 최초의 3D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를 시작으로, 지금은 가장 성공한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되었습니다.
In a remarkable turn of events, Apple bought NeXT, I retuned to Apple, and the technology we developed at NeXT is at the heart of Apple's current renaissance.
세기의 사건으로 평가되는 애플의 넥스트 인수와 저의 애플로 복귀 후, 넥스트 시절 개발했던 기술들은 현재 애플의 르네상스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nd Laurene and I have a wonderful family together.
또한 로렌과 저는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있습니다.
I'm pretty sure none of this would have happened if I hadn't been fired from Apple.
애플에서 해고당하지 않았다면, 이런 기쁜 일들 중 어떤 한 가지도 겪을 수도 없었을 것입니다
It was awful tasting medicine, but I guess the patient needed it.
정말 독하고 쓰디 쓴 약이었지만, 이게 필요한 환자도 있는가봅니다.
Sometimes life hits you in the head with a brick. Don't lose faith.
때로 인생이 당신의 뒷 통수를 때리더라도, 결코 믿음을 잃지 마십시오.
I'm convinced that the only thing that kept me going was that I loved what I did.
전 반드시 인생에서 해야 할, 제가 사랑하는 일이 있었기에, 반드시 이겨낸다고 확신했습니다.
You've got to find what you love. And that is as true for your work as it is for your lovers.
당신이 사랑하는 것을 찾아보세요. 사랑하는 사람이 내게 먼저 다가오지 않듯, 일도 그런 것이죠.
Your work is going to fill a large part of your life,
'노동'은 인생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and the only way to be truly satisfied is to do what you believe is great work.
그런 거대한 시간 속에서 진정한 기쁨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은 스스로가 위대한 일을 한다고 자부하는 것입니다.
And the only way to do great work is to love what you do.
자신의 일을 위대하다고 자부할 수 있을 때는, 사랑하는 일을 하고 있는 그 순간 뿐 입니다.
If you haven't found it yet, keep looking. Don't settle. As with all matters of the heart, you'll know when you find it.
지금도 찾지 못했거나, 잘 모르겠다 해도 주저앉지 말고 포기하지 마세요. 전심을 다하면 반드시 찾을 수 있습니다.
And, like any great relationship, it just gets better and better as the years roll on.
일단 한 번 찾아낸다면, 서로 사랑하는 연인들처럼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욱 더 깊어질 것입니다.
So keep looking until you find it. Don't settle.
그러니 그 것들을 찾아낼 때까지 포기하지 마세요. 현실에 주저앉지 마세요
My third story is about death.
세 번째는 죽음에 관한 것입니다.
When I was 17, I read a quote that went something like:
17살 때, 이런 경구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If you live each day as if it was your last, someday you'll most certainly be right."
하루 하루를 인생의 마지막 날처럼 산다면, 언젠가는 바른 길에 서 있을 것이다
It made an impression on me, and since then, for the past 33 years! ,
이 글에 감명 받은 저는 그 후 50살이 되도록
I have looked in the mirror every morning and asked myself:
매일아침 거울을 보면서 자신에게 묻곤 했습니다.
"If today were the last day of my life, would I want to do what I am about to do today?"
오늘이 내 인생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하려고 하는 일을 할 것인가?
And whenever the answer has been "No" for too many days in a row, I know I need to change something.
아니오! 라는 답이 계속 나온다면, 다른 것을 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Remembering that I'll be dead soon is the most important tool I've ever encountered to help me make the big choices in life.
인생의 중요한 순간마다 '곧 죽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명심하는 것이 저에게는 가장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Because almost everything ?
왜냐구요?
all external expectations, all pride, all fear of embarrassment or failure -
외부의 기대, 각종 자부심과 자만심. 수치스러움와 실패에 대한 두려움들은
these things just fall away in the face of death, leaving only what is truly important.
'죽음' 을 직면해서는 모두 떨어져나가고, 오직 진실로 중요한 것들 만이 남기 때문입니다.
Remembering that you are going to die is the best way I know to avoid the trap of thinking you have something to lose.
죽음을 생각하는 것은 무엇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최고의 길입니다.
You are already naked. There is no reason not to follow your heart.
여러분들이 지금 모두 잃어버린 상태라면, 더이상 잃을 것도 없기에 본능에 충실할 수 밖에 없습니다.
About a year ago I was diagnosed with cancer.
저는 1년 전쯤 암진단을 받았습니다.
I had a scan at 7:30 in the morning, and it clearly showed a tumor on my pancreas.
아침 7시 반에 검사를 받았는데, 이미 췌장에 종양이 있었습니다.
I didn't even know what a pancreas was.
그전까지는 췌장이란 게 뭔지도 몰랐는데요.
The doctors told me this was almost certainly a type of cancer that is incurable, and that I should expect to live no longer than three to six months.
의사들은 길어야 3개월에서 6개월이라고 말했습니다.
My doctor advised me to go home and get my affairs in order, which is doctor's code for prepare to die.
주치의는 집으로 돌아가 신변정리를 하라고 했습니다. 죽음을 준비하라는 뜻이었죠.
It means to try to tell your kids everything you thought you'd have the next 10 years to tell them in just a few months.
그 것은 내 아이들에게 10년 동안 해줄 수 있는 것을 단 몇 달 안에 다 해치워야 된단 말이었고
It means to make sure everything is buttoned up so that it will be as easy as possible for your family.
임종시에 사람들이 받을 충격이 덜하도록 매사를 정리하란 말이었고
It means to say your goodbyes.
작별인사를 준비하라는 말이었습니다.
I lived with that diagnosis all day.
전 불치병 판정을 받았습니다.
Later that evening I had a biopsy, where they stuck an endoscope down my throat, through my stomach and into my intestines, put a needle into my pancreas and got a few cells from the tumor.
그 날 저녁 위장을 지나 장까지 내시경을 넣어서 암세포를 채취해 조직검사를 받았습니다.
I was sedated, but my wife, who was there, told me that when they viewed the cells under a microscope
저는 마취상태였는데, 후에 아내가 말해주길, 현미경으로 세포를 분석한 결과
the doctors started crying because it turned out to be a very rare form of pancreatic cancer that is curable with surgery.
치료가 가능한 아주 희귀한 췌장암으로써, 의사들까지도 기뻐서 눈물을 글썽였다고 합니다.
I had the surgery and I'm fine now.
저는 수술을 받았고, 지금은 괜찮습니다.
This was the closest I've been to facing death, and I hope its the closest I get for a few more decades.
그 때만큼 제가 죽음에 가까이 가 본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또한 앞으로도 수십년 간은 그렇게 가까이 가고 싶지 않습니다^^
Having lived through it, I can now say this to you with a bit more certainty than when death was a useful but purely intellectual concept:
이런 경험을 해보니, '죽음'이 때론 유용하단 것을 머리로만 알고 있을 때보다 더 정확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No one wants to die. Even people who want to go to heaven don't want to die to get there.
아무도 죽길 원하지 않습니다. 천국에 가고 싶다는 사람들조차도 그곳에 가기위해 죽고 싶어 하지는 않죠.
And yet death is the destination we all share. No one has ever escaped it.
그리고 여전히 죽음은 우리 모두의 숙명입니다. 아무도 피할 수 없죠.
And that is as it should be, because Death is very likely the single best invention of Life.
그리고 그래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삶이 만든 최고의 발명이 '죽음'이니까요.
It is Life's change agent. It clears out the old to make way for the new.
죽음은 '인생들'을 변화시킵니다. 죽음은 새로운 것이 헌 것을 대체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Right now the new is you, but someday not too long from now, you will gradually become the old and be cleared away.
지금의 여러분들은 그 중에 '새로움'이란 자리에 서 있습니다. 그러나 언젠가 머지 않은 때에 여러분들도 새로운 세대들에게 그 자리를 물려줘야할 것입니다.
Sorry to be so dramatic, but it is quite true.
너무 극적으로 들렸다면 죄송하지만, 사실이 그렇습니다.
Your time is limited, so don't waste it living someone else's life.
여러분들의 삶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낭비하지 마십쇼.
Don't be trapped by dogma - which is living with the results of other people's thinking.
도그마-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얽매이지 마십쇼
Don't let the noise of other's opinions drown out your own inner voice.
타인의 소리들이 여러분들 내면의 진정한 목소리를 방해하지 못하게 하세요
And most important, have the courage to follow your heart and intuition.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과 영감을 따르는 용기를 가지는 것입니다.
They somehow already know what you truly want to become. Everything else is secondary.
이미 마음과 영감은 당신이 진짜로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나머지 것들은 부차적인 것이죠.
When I was young, there was an amazing publication called The Whole Earth Catalog, which was one of the bibles of my generation.
제가 어릴 때, 제 나이 또래라면 다 알만한 '지구 백과'란 책이 있었습니다.
It was created by a fellow named Stewart Brand not far from here in Menlo Park, and he brought it to life with his poetic touch.
여기서 그리 멀지 않은 먼로 파크에 사는 스튜어트 브랜드란 사람이 쓴 책인데, 자신의 모든 걸 불어넣은 책이었지요.
This was in the late 1960's, before personal computers and desktop publishing, so it was all made with typewriters, scissors, and polaroid cameras.
PC나 전자출판이 존재하기 전인 1960년대 후반이었기 때문에, 타자기, 가위, 폴라노이드로 그 책을 만들었습니다.
It was sort of like Google in paperback form, 35 years before Google came along:
35년 전의 책으로 된 구글이라고나 할까요.
it was idealistic, and overflowing with neat tools and great notions.
그 책은 위대한 의지와 아주 간단한 도구만으로 만들어진 역작이었습니다.
Stewart and his team put out several issues of The Whole Earth Catalog, and then when it had run its course, they put out a final issue.
스튜어트와 친구들은 몇 번의 개정판을 내놓았고, 수명이 다할 때쯤엔 최종판을 내놓았습니다.
It was the mid-1970s, and I was your age.
그 때가 70년대 중반, 제가 여러분 나이 때였죠.
On the back cover of their final issue was a photograph of an early morning country road,
최종판의 뒤쪽 표지에는 이른 아침 시골길 사진이 있었는데,
the kind you might find yourself hitchhiking on if you were so adventurous.
아마 모험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히치하이킹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지요.
Beneath it were the words: "Stay Hungry. Stay Foolish."
그 사진 밑에는 이런 말이 있었습니다 : 배고픔과 함께, 미련함과 함께
It was their farewell message as they signed off. Stay Hungry. Stay Foolish.
배고픔과 함께, 미련함과 함께. 그 것이 그들의 마지막 작별인사였습니다.
And I have always wished that for myself. And now, as you graduate to begin anew, I wish that for you.
저는 이제 새로운 시작을 앞둔 여러분들이 여러분의 분야에서 이런 방법으로 가길 원합니다.
Stay Hungry. Stay Foolish.
배고픔과 함께. 미련함과 함께
Thank you all very much.
감사합니다.
Hillary Rodham Clinton
Remarks to the U.N. 4th World Conference on Women Plenary Session
힐러리 로드햄 클린턴, ‘여성의 권리는 인권’ , 1995년 9월 5일
중국 베이징 UN 제4차 세계여성회의 총회 연설
Thank you very much, Gertrude Mongella, for your dedicated work that has brought us to this point, distinguished delegates, and guests:
몬젤라 사무총장님, 키타니 차관님, 각국 대표단과 내외 귀빈 여러분:
I would like to thank the Secretary General for inviting me to be part of this important United Nations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UN 제4차 세계여성회의에 초청해 주신 UN 사무총장님께 먼저 감사드립니다.
This is truly a celebration, a celebration of the contributions women make in every aspect of life: in the home, on the job, in the community, as mothers, wives, sisters, daughters, learners, workers, citizens, and leaders.
이 회의는 진정한 칭송의 장입니다. 여성이 가정에서, 직장에서, 지역사회에서, 어머니로서, 아내로서, 언니, 누나, 동생으로서, 딸로서, 학생으로서, 근로자로서, 시민으로서, 또 지도자로서 각계각층에서 기여하는 바를 칭송하는 자리인 것입니다.
It is also a coming together, much the way women come together every day in every country.
이 회의는 또한 매일 각 나라에서 여성들끼리 자연스럽게 모이는 것과 다를 바 없는 만남의 장이기도 합니다.
We come together in fields and factories, in village markets and supermarkets, in living rooms and board rooms.
여성은 논밭과 공장에서, 재래시장과 슈퍼마켓에서, 거실과 이사회 실에서 서로 만나고 있습니다.
Whether it is while playing with our children in the park, or washing clothes in a river, or taking a break at the office water cooler, we come together and talk about our aspirations and concern. And time and again, our talk turns to our children and our families. However different we may appear, there is far more that unites us than divides us. We share a common future, and we are here to find common ground so that we may help bring new dignity and respect to women and girls all over the world, and in so doing bring new strength and stability to families as well.
공원에서 아이들을 놀리거나, 강가에서 빨래를 하거나, 음료수대 옆에서 휴식을 취할 때, 여성들은 함께 모여 소망과 근심을 이야기합니다. 이 때, 이야기는 항상 아이와 가족에 대한 이야기로 돌아옵니다. 우리가 서로 아무리 달라도 우리를 가르는 요소 보다는 우리를 한 데 묶는 요소가 훨씬 더 많습니다. 우리는 공통의 미래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오늘 이 자리에 모인 것은 전 세계의 여성들에게 새로운 존엄성과 존중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가족에도 새로운 힘과 안정을 부여하기 위한 공통의 기반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By gathering in Beijing, we are focusing world attention on issues that matter most in our lives -- the lives of women and their families: access to education, health care, jobs and credit, the chance to enjoy basic legal and human rights and to participate fully in the political life of our countries.
우리가 베이징에 모임으로써 우리는 교육기회, 의료, 일자리, 여신, 기본적 법률권리와 인권을 누릴 기회, 국가의 정치생활에 제한 없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등 여성과 그 가족의 삶에 가장 중요한 문제에 세계가 관심을 집중토록 하고 있습니다.
There are some who question the reason for this conference.
이 회의를 개최한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Let them listen to the voices of women in their homes, neighborhoods, and workplaces.
그런 사람들이라면 가정과, 동네와, 직장에서 여성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십시오.
There are some who wonder whether the lives of women and girls matter to economic and political progress around the globe.
여성의 삶이 전 세계의 경제적 발전과 정치적 발전에 도움이 되는지 의심을 품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Let them look at the women gathered here and at Huairou -- the homemakers and nurses, the teachers and lawyers, the policymakers and women who run their own businesses.
그런 사람들이라면 이곳 후아이로우에 모인 여성들을 보십시오. 주부, 간호사, 교사, 변호사, 정책입안자, 기업을 소유한 오너 경영자들이 모두 모여 있습니다.
It is conferences like this that compel governments and peoples everywhere to listen, look, and face the world’s most pressing problems.
이러한 회의를 통해 우리는 각국 정부와 각국 국민들이 세계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를 듣고, 보고, 직시하게 할 수 있습니다.
Wasn’t it after all -- after the women’s conference in Nairobi ten years ago that the world focused for the first time on the crisis of domestic violence?
세계가 처음으로 가정폭력의 위기에 관심을 가지게 된 때가 10년 전 나이로비에서 여성회의가 열린 다음이 아니었습니까?
Earlier today, I participated in a World Health Organization forum. In that forum, we talked about ways that government officials, NGOs, and individual citizens are working to address the health problems of women and girls.
오늘 이 자리에 오기 직전에 나는 WHO 포럼에 참석했습니다. 여기서는 정부 관리, NGO, 개인 자격의 시민들이 모여 여성의 보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논의했습니다.
Tomorrow, I will attend a gathering of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Fund for Women. There,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local -- and highly successful -- programs that give hard-working women access to credit so they can improve their own lives and the lives of their families.
내일 나는 UN 여성발전기금(United Nations Development Fund for Women) 회의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이 자리에서는 열심히 일하는 여성에게 대출을 제공하여 자신과 가족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현지의 대단히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게 됩니다.
What we are learning around the world is that if women are healthy and educated, their families will flourish. If women are free from violence, their families will flourish. If women have a chance to work and earn as full and equal partners in society, their families will flourish. 우리는 전 세계의 사례를 통해 여성이 건강하고 교육을 받으면 그 가족이 번영한다는 사실을 배우고 있습니다. 여성이 폭력에서 자유로우면, 그 가족도 번영하게 됩니다. 여성에게 사회의 완전하고 동등한 파트너로서 일하고 소득을 얻을 기회가 부여되면, 그 가족이 번영하게 됩니다.
And when families flourish, communities and nations do as well. That is why every woman, every man, every child, every family, and every nation on this planet does have a stake in the discussion that takes place here. Over the past 25 years, I have worked persistently on issues relating to women, children, and families. Over the past two-and-a half years, I've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more about the challenges facing women in my own country and around the world.
가족이 번영하게 되면, 지역사회와 국가도 번영하게 됩니다. 지구상의 모든 여성과, 모든 남성과, 모든 어린이와, 모든 가족과, 모든 국가가 이 회의에서 이루어지는 논의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지난 25년 동안, 나는 여성과, 어린이와, 가족에 관련된 이슈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습니다. 나는 지난 2년 반 동안 미국과 전 세계에서 여성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에 대하여 더 많은 것을 배울 기회가 있었습니다.
I have met new mothers in Indonesia, who come together regularly in their village to discuss nutrition, family planning, and baby care.
인도네시아 조자카르타(Jojakarta)에서는 정기적으로 마을에서 만나 영양과 가족계획과 육아에 대해 논의하는 새내기 엄마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I have met working parents in Denmark who talk about the comfort they feel in knowing that their children can be cared for in safe, and nurturing after-school centers.
덴마크에서는 창의적이고 안전한 방과 후 보육센터에 아이들을 맡길 수 있어 안심이 된다고 이야기하는 맞벌이 부모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I have met women in South Africa who helped lead the struggle to end apartheid and are now helping to build a new democracy.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을 위한 투쟁을 주도한 후 이제는 새로운 민주주의 건설을 지원하고 있는 여성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I have met with the leading women of the Western Hemisphere who are working every day to promote literacy and better health care for children in their countries.
나는 자국 아동들의 문맹타파와 보건의료 증진을 위해 날마다 노력하고 있는 서반구의 지도적 여성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I have met women in India and Bangladesh who are taking out small loans to buy milk cows, or rickshaws, or thread in order to create a livelihood for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인도와 방글라데시에서는 소액대출을 받아 젖소, 인력거, 실 등을 사서 자신과 가족의 생계를 꾸려가는 여성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I have met the doctors and nurses in Belarus and Ukraine who are trying to keep children alive in the aftermath of Chernobyl.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서는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폭발의 여파 속에서 어린이들을 살리기 위해 애쓰는 의사와 간호사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The great challenge of this conference is to give voice to women everywhere whose experiences go unnoticed, whose words go unheard.
이 회의의 중요한 목적은 풍부한 경험이 있어도 인정받지 못하고 의사를 표현해도 무시당하는 전 세계 여성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는 데 있습니다.
Women comprise more than half the word’s population, 70% of the world’s poor, and two-thirds of those who are not taught to read and write.
여성은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빈민의 70%가 여성이며, 읽고 쓰는 법을 배우지 못한 사람의 2/3가 여성입니다.
We are the primary caretakers for most of the world’s children and elderly. Yet much of the work we do is not valued -- not by economists, not by historians, not by popular culture, not by government leaders.
전 세계의 아동과 노인의 대부분을 일차적으로 돌보는 사람이 바로 여성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는 일은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학자도, 역사학자도, 대중문화도, 정부 지도자들도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At this very moment, as we sit here, women around the world are giving birth, raising children, cooking meals, washing clothes, cleaning houses, planting crops, working on assembly lines, running companies, and running countries. 우리가 이 자리에 모여 있는 바로 이 순간에도, 전 세계의 여성들은 아이를 낳고, 아이를 키우고, 밥을 짓고, 빨래를 하고, 집안을 청소하고, 농작물을 심고, 조립라인에서 일하고, 기업을 경영하고, 또 국가를 경영하고 있습니다.
Women also are dying from diseases that should have been prevented or treated. They are watching their children succumb to malnutrition caused by poverty and economic deprivation. They are being denied the right to go to school by their own fathers and brothers. They are being forced into prostitution, and they are being barred from the bank lending offices and banned from the ballot box.
다른 한편, 여성들은 예방이나 치료가 가능한 병으로 죽어가고 있으며, 가난과 경제적 피폐로 인해가 아이가 영양실조로 쓰러지는 모습을 보고 있으며, 친 아버지와 남자 형제들에 의하여 교육받을 권리를 거부당하고 있으며, 매춘을 강요당하고 있으며, 은행 대출도 거부당하고 있으며, 투표할 권리도 허용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Those of us who have the opportunity to be here have the responsibility to speak for those who could not.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할 기회를 가진 우리들은 그러한 기회를 갖지 못한 여성들을 대변할 책임이 있습니다.
As an American, I want to speak for those women in my own country, women who are raising children on the minimum wage, women who can’t afford health care or child care, women whose lives are threatened by violence, including violence in their own homes.
미국인인 나는 제 나라인 미국의 여성들을 대변하고자 합니다. 최저임금으로 아이를 키우는 여성, 의료보험이나 보육 서비스를 받을 경제적 여력이 없는 여성, 가정 내 폭력을 포함하여 폭력으로 생명을 위협받는 여성들을 대변하고자 합니다.
I want to speak up for mothers who are fighting for good schools, safe neighborhoods, clean air, and clean airwaves; for older women, some of them widows, who find that, after raising their families, their skills and life experiences are not valued in the marketplace; for women who are working all night as nurses, hotel clerks, or fast food chefs so that they can be at home during the day with their children; and for women everywhere who simply don’t have time to do everything they are called upon to do each and every day.
나는 좋은 학교, 안전한 동네, 깨끗한 공기, 건전한 방송을 위해 싸우는 어머니들과, 가족을 훌륭하게 키우고 뒷바라지 했으나 그러한 생활의 기술과 경험의 가치를 직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홀로된 여성 노인을 포함한 여성 노인들, 낮에 아이들과 함께 있기 위해 밤새 간호사, 호텔 사무원, 패스트푸드점 조리사로 일하는 여성들, 날마다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아 24시간이 부족한 여성들을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자 합니다.
Speaking to you today, I speak for them, just as each of us speaks for women around the world who are denied the chance to go to school, or see a doctor, or own property, or have a say about the direction of their lives, simply because they are women. The truth is that most women around the world work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me, usually by necessity.
나는 오늘 이 자리에서 이러한 여성들을 대변하여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이는 여러분 모두가 전 세계에서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교육받을 기회나, 치료받을 기회나, 재산을 소유할 권리나, 자신의 삶의 방향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거부당하고 있는 여성들을 대변하고 계신 것과 같습니다. 사실, 전 세계 여성들은 대개 궁핍으로 인하여 집 안과 집 밖에서 모두 일하고 있습니다.
We need to understand there is no one formula for how women should lead our lives. That is why we must respect the choices that each woman makes for herself and her family. Every woman deserves the chance to realize her own God-given potential. But we must recognize that women will never gain full dignity until their human rights are respected and protected.
우리는 여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하여 정해진 공식이 없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여성이 자신과 가족을 위해 스스로 선택하는 바를 존중해야 하는 것입니다. 모든 여성은 하늘이 부여한 잠재력을 실현할 기회를 누릴 자격이 있습니다. 또한, 여성의 인권이 존중과 보호를 받지 못하는 한 여성이 완전한 존엄성을 얻을 수 없다는 사실도 인식해야 합니다.
Our goals for this conference, to strengthen families and societies by empowering women to take greater control over their own destinies, cannot be fully achieved unless all governments -- here and around the world -- accept their responsibility to protect and promote internationally recognized human rights.
‘여성이 그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족과 사회를 강화한다’는 이 회의의 목적은 이 곳 중국과 전 세계의 모든 정부가 국제적으로 인정된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할 책임을 받아들이지 않는 한 완전히 달성할 수 없는 것입니다.
The --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long acknowledged and recently reaffirmed at Vienna that both women and men are entitled to a range of protections and personal freedoms, from the right of personal security to the right to determine freely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children they bear. 국제사회는 개인의 안전에 대한 권리에서 낳을 자녀의 수와 터울을 자유롭게 결정할 권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적 자유와 보호를 보장받을 권리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있음을 오랫동안 인정해 왔으며, 최근 이를 비엔나에서도 재확인한 바 있습니다.
No one -- No one should be forced to remain silent for fear of religious or political persecution, arrest, abuse, or torture.
Tragically, women are most often the ones whose human rights are violated. 어느 누구도 종교적 박해나 정치적 박해, 체포, 학대 또는 고문의 두려움 때문에 침묵을 강요받아서는 안 됩니다. 슬프지만, 인권을 가장 빈번하게 침해 받는 사람이 바로 여성입니다.
Even now,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rape of women continues to be used as an instrument of armed conflict. Women and children make up a large majority of the world’s refugees. And when women are excluded from the political process, they become even more vulnerable to abuse.
20세기 말인 지금까지도 여성에 대한 강간이 무력분쟁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여성과 어린이는 전 세계 난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성이 정치 프로세스에서 배제되는 경우, 이들은 학대에 더욱 취약해지게 됩니다.
I believe that now, on the eve of a new millennium, it is time to break the silence. It is time for us to say here in Beijing, and for the world to hear, that it is no longer acceptable to discuss women’s rights as separate from human rights. 새천년을 앞둔 지금, 이제 침묵을 깨뜨릴 시간이 되었다고 믿습니다. 우리가 이 곳 베이징에서 전 세계가 들을 수 있도록 여성의 권리를 인권과 별개로 논의하는 일을 더 이상 용인할 수 없음을 큰 목소리로 선언해야 할 때입니다.
These abuses have continued because, for too long, the history of women has been a history of silence. Even today, there are those who are trying to silence our words.
여성의 역사가 곧 침묵의 역사였기 때문에 이러한 학대는 너무도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습니다. 지금도 우리를 침묵하게 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But the voices of this conference and of the women at Huairou must be heard loudly and clearly:
그러나 이 회의의 목소리와 후아이로우 여성들의 목소리는 크고 분명하게 전해져야 합니다.
It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when babies are denied food, or drowned, or suffocated, or their spines broken, simply because they are born girls.
태어난 아이가 단순히 여자라는 이유로 이 아이에게 먹을 것을 주지 않거나, 이 아이를 물에 빠뜨리거나, 질식시키거나, 척추를 부러뜨려 죽이는 것은 분명 인권을 침해하는 일입니다.
It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when women and girls are sold into the slavery of prostitution for human greed -- and the kinds of reasons that are used to justify this practice should no longer be tolerated.
여성이 인간탐욕을 위해 매춘의 노예로 팔리는 일도 인권을 침해하는 일이며 이런 악습을 정당화 하기위해 사용되는 이유도 용서되어서는 안 됩니다.
It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when women are doused with gasoline, set on fire, and burned to death because their marriage dowries are deemed too small.
지참금이 적다는 이유로 여성에게 휘발유를 끼얹고 불을 붙여 태워 죽이는 일도 인권을 침해하는 일입니다.
It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when individual women are raped in their own communities and when thousands of women are subjected to rape as a tactic or prize of war.
여성 개인이 자기 마을에서 강간당하는 일이나 전쟁의 전술이나 전리품으로 수 천 명의 여성이 집단적으로 강간당하는 일은 모두 인권을 침해하는 일입니다.
It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when a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among women ages 14 to 44 is the violence they are subjected to in their own homes by their own relatives.
전 세계적으로 14세 ~ 44세 사이 여성의 가장 큰 사망원인이 가정 내에서 자행되는 폭력이라는 현실도 인권침해입니다.
It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when young girls are brutalized by the painful and degrading practice of genital mutilation.
여자아이에게 고통스럽고 야만적인 할례를 시행하는 것도 인권을 침해하는 일입니다.
It i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when women are denied the right to plan their own families, and that includes being forced to have abortions or being sterilized against their will.
여성의 뜻에 반하는 낙태나 불임을 강요하는 것을 포함하여 여성의 가족계획의 권리를 부인하는 것도 인권을 침해하는 일입니다.
If there is one message that echoes forth from this conference, let it be that human rights are women’s rights and women’s rights are human rights once and for all. Let us not forget that among those rights are the right to speak freely -- and the right to be heard.“
이 회의에서 시작되어 메아리 칠 메시지가 하나 있다면, 그것은 ‘인권이 여성의 권리이고 여성의 권리가 인권’이라는 메시지입니다. 이러한 권리 중에는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할 권리와 그 의사를 존중 받을 권리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Women must enjoy the rights to participate fully in the social and political lives of their countries, if we want freedom and democracy to thrive and endure.
우리가 자유와 민주주의의 번영과 영속을 원한다면 여성에게 자국의 사회와 정치에 완전하게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야 합니다.
It is indefensible that many women i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is conference have not been able to attend -- or have been prohibited from fully taking part.
NGO 소속 여성들 중에 이 회의에 참가하고자 했으나 참가가 허용되지 않았거나 완전한 참여가 금지된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은 무엇으로도 변명할 수 없는 권리침해입니다.
Let me be clear. Freedom means the right of people to assemble, organize, and debate openly. It means respecting the views of those who may disagree with the views of their governments. It means not taking citizens away from their loved ones and jailing them, mistreating them, or denying them their freedom or dignity because of the peaceful expression of their ideas and opinions.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자유는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모이고, 단체를 만들고, 토론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자유는 정부의 시각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의 시각을 존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유는 시민이 그 생각과 의견을 평화적으로 표현했다는 이유로 사랑하는 사람들에게서 강제로 떼어놓고, 감옥에 가두고, 학대하고, 그 자유나 존엄성을 부인하는 일이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In my country, we recently celebrated the 75th anniversary of Women’s Suffrage. It took 150 years after the signing of our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or women to win the right to vote.
제 조국인 미국에서는 최근 여성 참정권 75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있었습니다. 여성이 투표권을 얻어 내는 데는 독립선언서 서명 후에도 150년이 걸렸습니다.
It took 72 years of organized struggle, before that happened, on the part of many courageous women and men. It was one of America’s most divisive philosophical wars. But it was a bloodless war. Suffrage was achieved without a shot being fired.
여성의 투표권은 용기 있는 수많은 여성과 남성이 72년간 조직적인 투쟁을 계속한 끝에 얻어낸 결과물입니다.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극명하게 편이 갈린 철학적 전쟁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피를 흘리지 않은 전쟁이었습니다. 이 전쟁을 통해 여성은 단 한 발의 총성도 울리지 않고 결국 참정권을 얻어냈습니다.
But we have also been reminded, in V-J Day observances last weekend, of the good that comes when men and women join together to combat the forces of tyranny and to build a better world.
지난 주에 있었던 V-J 전승일 행사에서도 남성과 여성이 함께 손을 잡고 독재의 세력에 맞서 싸우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상기할 수 있었습니다.
We have seen peace prevail in most places for a half century. We have avoided another world war. But we have not solved older, deeply-rooted problems that continue to diminish the potential of half the world’s population.우리는 지난 반 세기 동안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 평화가 깃드는 것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또 한 차례의 세계대전을 피했습니다. 그러나, 전 세계 인구 절반의 잠재력을 계속적으로 감소시키는 보다 오래된, 뿌리깊은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Now it is the time to act on behalf of women everywhere. If we take bold steps to better the lives of women, we will be taking bold steps to better the lives of children and families too.
이제 전 세계의 여성을 대표하여 행동할 때입니다. 여성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용기 있는 행동을 취하는 것은, 어린이와 가족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용기 있는 행동을 취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Families rely on mothers and wives for emotional support and care. Families rely on women for labor in the home. And increasingly, everywhere, families rely on women for income needed to raise healthy children and care for other relatives.
가족은 어머니와 아내에게 기대어 정서적 위안과 보살핌을 받으며, 집안일에 대해 여성에게 의존하며,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고 다른 친척을 보살피기 위해 필요한 소득에 대해 여성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As long as discrimination and inequities remain so commonplace everywhere in the world, as long as girls and women are valued less, fed less, fed last, overworked, underpaid, not schooled, subjected to violence in and outside their homes -- the potential of the human family to create a peaceful, prosperous world will not be realized.
전 세계에서 차별과 불평등이 지금처럼 공공연히 자행된다면, 여성의 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여성에게 먹을 것을 적게, 가장 나중에 주고, 여성을 혹사하고, 여성에게 낮은 임금을 주고, 교육기회를 부여하지 않고, 집 안팎에서 여성에게 폭력이 자행되도록 하는 한, 평화롭고 번영하는 세계를 만드는 인류 가족의 잠재력은 절대 실현될 수 없습니다.
Let -- Let this conference be our -- and the world’s -- call to action.
이 회의를 우리와 세계가 행동하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Let us heed that call so we can create a world in which every woman is treated with respect and dignity, every boy and girl is loved and cared for equally, and every family has the hope of a strong and stable future.
이 회의의 외침에 귀를 기울여, 모든 여성을 존중과 존엄으로 대우하고,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평등하게 사랑하고 돌보며, 모든 가족이 안정되고 희망찬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는 세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That is the work before you. That is the work before all of us who have a vision of the world we want to see -- for our children and our grandchildren.
그것이 여러분 앞에 있는 일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보기를 원하는 세계에 대한 비전을 갖고 있는 우리 모두 앞에 있는 일입니다.
The time is now. We must move beyond rhetoric. We must move beyond recognition of problems to working together, to have the comment efforts to build that common ground we hope to see.
바로 지금입니다. 우리는 말 이상의 행동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보고 싶어하는 공통기반 형성을 위한 비판성과를 갖기 위해 협력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는 것 이상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God's blessing on you, your work, and all who will benefit from it.
Godspeed and thank you very much.
대단히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축복이 여러분과, 여러분이 하는 일과, 여러분이 하는 일에서 혜택을 입는 사람들과 함께할 것입니다.
제 취미는 용돈을 모아 음반을 사 모으는 것과 TV로 운동경기를 시청하는 것입니다.
My hobby is collecting music albums from savings and watching sports games through TV.
어려서부터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하여 초. 중 시절 교내 합창단과 중창부로 활동하였습니다. 고등학교에 진학해서는 울타리라는 동아리의 부단장으로써 후배들에게 노래를 가르쳐 주기도 하였습니다. 올해부터 할아버지, 할머니를 모시게 되어 6식구가 한 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I loved singing when I was a young so I participated in choir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high school, I was a vice president of the singing club named Ultari and taught singing to juniors in the club.
저는 영화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가끔씩 주말이 되면 스트레스도 풀 겸 친구들과 영화를 보러 다닙니다.
I like seeing a movie. so I often go to the movies in weekend with my friends to get rid of stress.
제 취미는 독서입니다. 어렸을 적부터 책 읽기를 좋아해 그런 취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My hobby is reading books. Since I was a child, I have loved reading and that has become my hobby.
취미는 음악 감상입니다. 노래듣는 것을 좋아해서 mp3를 귀에 늘 꽂고 생활합니다.
My hobby is listening to music. I really like to listen to music, so I'm always with MP3.
좋아하는 색깔은 노란색이고 좋아하는 동물은 토끼입니다. 제가 귀여운 토끼를 키우고 있어서 동물 중에서는 토끼를 가장 좋아합니다.
My favorite color is yellow, and my favorite animal is a rabbit. Because I have a cute rabbit, I like the rabbits most among the other animals.
제 취미는 컴퓨터 게임이고, 장래에는 게임기획자가 되고 싶습니다.
My hobby is Computer Game, and I want to be an Game planner when I grow up.
저의 취미는 인터넷 검색과 게임하기 입니다.
Surfing the internet and playing games are my hobbies.
좋아하는 과목은 수학이구요. 영어는 열심히 하려고 생각중인 과목입니다.
My favorite subject is a math. English is the subject that I'm concentrating on.
취미는 누워서 음식 먹는 것과 음악 감상입니다.
My hobbies are eating lying down and music listening.
낚시를 좋아합니다. 주말에는 종종 기차를 타고 바다로 나가 낚시를 하면서 보내곤 합니다.
I like fishing. Often on weekends I catch the train to the coast and spend the whole day fishing.
여행을 무척 좋아해서 우리나라는 안 가본 곳이 없을 정도입니다.
I like traveling, and I travel as much as I can. I've been just about everywhere in Korea.
스포츠를 즐기고, 음악도 대단히 좋아합니다.
I enjoy sports, and I like music very much.
특별한 취미가 없습니다.
I have no hobby in particular.
바둑 두는 것을 좋아합니다.
I like playing Baduk.
요리하기를 좋아합니다. 제 요리 솜씨를 보고 누가 칭찬을 해 줄 때가 제일 기쁩니다.
I like cooking. When someone compliments me on something I have cooked, that makes me very happy.
전 취미가 많은데, 책읽기 음악듣기 친구들과 잡담하기 TV보기 그리고 영화 보러가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한 달에 한두 번은 극장에 갑니다.
I have many hobbies such as reading books, listening to music, chatting with my friends, watching TV and going to the movies. So, I usually go to the movies once or twice a month.
그러나 무엇보다도 전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제일 행복하며 음식 또한 잘 만듭니다. 요즘 저는 음식 만들기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그리고 음식을 만들 때 큰 즐거움을 느낍니다.
But above all, I am the happiest woman when I eat the delicious meal, and I am a good cook. These days I am very much interested in making food, and I can feel the pleasures when cooking as well as the happiness.
저의 취미는 어떠한 아이템을 가지고 만들거나 꾸미는 것을 좋아하고 음악감상과 영화감상을 보고 즐깁니다.
My hobby is making or decorating some items, and I enjoy reading books and watching movies.
제가 싫어하는 것 중 하나가 영어공부입니다. 제가 중학생일 때부터 영어를 싫어했으며 지금까지 전 영어가 좋지 않습니다.
One of things I hate is studying English. Since I was a middle school girl, I did not like English and still I dislike English.저의취미는 노래듣기, 컴퓨터하기, 영화보기 입니다.
My hobbies are listening to music, surfing internet and watching movies.
취미로 온라인게임을 하고 있으며 운동하는 것을 좋아하고 특히 축구를 잘합니다.
I enjoy online games as a hobby and sports, especially I am good at soccer.
팜 응우 라오거리에 있는 1박했던곳 Sao Nam Hotel

여행중에 자전거가 나오는 사진은 이 사진 한장뿐이다. 몸이 지치니 사진이고 뭐고 찍기가 귀찮아서 였던것 같다.
이때까지만 해도 피부가 백옥같다고 말할 수 있다. 30도가 넘는 한 여름과 같은 날씨에 저런 복장으로 탓다는 것만으로도 무모 했던것 같다. 썬크림이라도 발랐어야 했는데...
2년전 하노이주변 북부지역을 여행했을때는 피부가 타지 않아서 요번에도 마찬가지로 반팔만 입고 자전거를 탔는데.... 단 하루만에 현지인이 됐다.
오늘 목적지는 호치민에서 약 70km떨어진 mytho이다.
고삼 담임이라는 핑계로 여행 떠나기전 자전거 연습을 거의 하지 못하고 떠났지만 70km는 거뜬 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만만치만은 않았다. 사진 찍은것이 없다.
1리터짜리 물만 계속 먹어대는데 어제 마트에서 샀을 때하고 가는곳마다 가격이 틀리다. 찜찜하고 열받는다. 안 먹을수도 없고.. 오랜만에 오니까 환율이며 물가를 모르겠다. 여행을 출발할 때 1박은 어디서 하고 2박은 어디서.. 이런식으로 대충 여행계획을 짜고 와서 헤매고 열받고...
길가에 식당이 즐비하기 때문에 먹는 걱정은 안하는데 향료중에 파란 풀은 걱정이 된다. 2년전에 위가 놀랜적이 있어서... 식당에서 쌀국수를 먹고 한참 쉬고있는데 옆집에 처자들이 장난끼 어린 눈초리로 그곳으로 오란다. 말도 안통하는데 가서 뭣하랴 몸은 파김치인데....
피곤하고 지쳐도 70km는 만만한 편이다. 3-4쯤에 cong doan guest house도착(N 10 21'10.2 E 106 21'58.6) Gps란 놈 대단하다. 도착했다고 해서 근처를 둘러보면 근방 10m이내에 꼭 목적지가 있다. 근처에 Guest House가 몰려 있는것 같다. Galaxy Hotel(N 10 21'12.7 E 106 22'04.5)
도착해서 체크인 하고 바로 앞 공원에서 어슬렁 거리니 역시나 삐끼가 와서 수상투어를 하자고 한다. 가격을 물었더니 20$라고 하는데 보트타고 투어는 깐토에서 하기로 결정하고 산책을 한다.
자전거를 타고 오면서 머릿속은 온통 시원한 맥주와 콜라밖에 없었다. 콜라와 맥주 한잔하고 사진 몇컷 ...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도 여행후기를 쓰려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다음편부터는 사진위주로 써야겠다. 낼은 껀토로...
시행처/날짜 |
고3 |
고1 / 고2 | ||||||||
교육청/평가원 |
대성 |
종로 |
uway 중앙 |
비상 에듀 |
교육청/평가원 |
대성 |
종로 |
uway 중앙 |
비상 에듀 | |
2 월 |
|
|
|
|
|
|
|
|
|
|
3 월 |
11(수)서울전국연합 |
27(금) |
19(목) |
27(금) |
27(금) |
11(수)서울전국연합 |
27(금) |
|
|
|
4 월 |
14(화)경기전국연합 |
14(화) 월례 |
22(수) |
|
|
|
|
|
14(화) |
14(화) |
5 월 |
(미정)경기학업성취도 |
21(목) 월례 |
25(월) 월례 |
21(목) |
21(목) |
(미정)경기학업성취도 |
21(목) |
21(목) |
|
|
6 월 |
4(목)평가원 |
17(수) |
17(수) |
|
|
17(금)인천전국연합 |
|
|
|
|
7 월 |
14(화)인천전국연합 |
14(화) 월례 |
21(화) 월례 |
|
|
|
14(화) |
14(화) |
|
|
8 월 |
|
21(금) 월례 |
28(금) |
25(화) |
21(금) |
|
|
|
28(금) |
28(금) |
9 월 |
3(목)평가원 |
17(목) |
23(수) 월례 |
|
|
17(목)부산전국연합 |
|
|
|
|
10 월 |
15(목)서울전국연합 |
21(수) |
29(목) |
23(금) |
27(화) |
|
29(목) |
|
23(금) |
27(화) |
11 월 |
12(목)수능 |
3(화) |
6(금) |
5(목) |
|
17(화)경기전국연합 |
|
|
|
|
12 월 |
|
|
|
|
|
|
22(화) |
18(금) |
18(금) |
23(수) |
* 5월 울산교육청 *11월 대전교육청 주관으로 고3 모의 수능 예정 |
『어제, 1941년 12월7일―이 날은 치욕의 날로 기억될 것입니다』
“Yesterday, December 7, 1941―a date which will live in infamy…”
[연설의 배경] 1940년 일본은 독일,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고, 1941년 소련과 중립 조약을 맺은 후 자원이 풍부한 동남아시아로의 침략을 꾀하였다. 미국은 일본에 대한 석유 공급을 중단하고, 영국, 중국, 네덜란드와 더불어 경제 봉쇄로 맞섰다. 미국과의 협상이 진척을 보이지 않자, 일본은 1941년 12월 7일 하와이의 진주만을 기습하고, 영국에 선전 포고하여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었다.
일본과의 동맹 관계로 독일과 이탈리아가 미국에 선전 포고하자 전쟁은 문자 그대로 세계 대전으로 확대되었다. 일본의 진주만 기습 공격은 독립 이후 외국의 무력 공격을 처음 당하게 된 미국 국민을 경악의 도가니에 빠뜨렸다. 미국의 방위를 책임진 대통령으로서 루스벨트는 이 심각한 사태에 직면하여 최선을 다하고자 하였다. 일본에 대한 선전 포고를 요청하는 그의 對(대)의회 연설문은 간결하면서도 그 당시 긴급한 상황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과 유사하게 연설의 시작에서 날짜를 사용한 것은 그가 이 상황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엄숙한 경의를 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는 호칭 사용에 실수를 하였다. 부통령이 상원의장 자격으로 의회에 참석했을 때 미국 대통령은 그를 부통령이 아니라 의장으로 호칭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수는 이때의 상황이 그만큼 긴박했다는 사실을 부각시키고 있다.
번역·해설 盧英淑 - 경희대 강사·여성문화이론연구소 연구원
==================================================================
[原文]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Asks Congress to Declare War on Japan(December 8, 1941)
[韓譯]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의회에 對日 선전포고 요청(1941년 12월8일)
Mr. Vice-President, Mr. Speaker, members of the Senate and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Yesterday, December 7, 1941―a date which will live in infamy―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suddenly and deliberately attacked by naval and air forces of the empire of Japan.
부통령, 의장, 상원 하원 의원 여러분: 어제 , 1941년 12월 7일―이 날은 치욕의 날로 기억될 것입니다―아메리카 합중국은 일본 제국에 의해 고의적인 기습 공격을 당하였습니다.
The United States was at peace with that nation and, at the solicitation of Japan, was still in conversation with its government and its emperor looking toward the maintenance of peace in the Pacific.
미국은 일본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일본의 요청으로 일본 정부 및 일본 천황과 태평양 지역 평화 유지를 위한 대화를 진행하는 중이었습니다.
Indeed, one hour after Japanese air squadrons had commenced bombing in the American island of Oahu the Japanese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and his colleague delivered to our secretary of state a formal reply to a recent American message.
사실상, 일본 공군 비행 대대가 미국 오하 우 섬에 폭격을 개시한 지 한 시간 후에, 駐美 일본 대사와 그의 동료가 최근 미국이 보낸 서한에 대한 공식적 답변서를 우리 국무 장관에게 제출하였습니다.
And, while this reply stated that it seemed useless to continue the existing diplomatic negotiations, it contained no threat or hint of war or of armed attack.
그런데 이 답변서에는 기존의 외교 협상을 지속시키는 일이 소용없을 것 같다는 언급은 있지만, 전쟁 혹은 무력을 동원한 공격에 대한 위협이나 암시는 전혀 없었습니다.
It will be recorded that the distance of Hawaii from Japan makes it obvious that the attack was deliberately planned many days or even weeks ago. During the intervening time the Japanese government has deliberately sought to deceive the United States by false statements and expressions of hope for continued peace.
하와이에서 일본까지의 거리를 고려할 때, 어제의 공격은 여러 날 혹은 여러 週 전부터 고의적으로 계획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준비 기간 동안 일본 정부는 지속적인 평화를 희망한다는 거짓 진술과 표현으로 미국을 고의적으로 속여 왔습니다.
The attack yesterday on the Hawaiian Islands has caused severe damage to American naval and military forces. I regret to tell you that very many American lives have been lost.
하와이 섬들에 대한 어제의 공격은 미국 해 군과 군사력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 시켰습니다. 유감스럽게도 매우 많은 미국인들의 생명이 희생되었음을 여러분께 알려드리는 바입니다.
In addition, American ships have been reported torpedoed on the high seas between San Francisco and Honolulu.
Yesterday the Japanese government also launched an attack against Malaya.
더욱이, 샌프란시스코와 호놀룰루 사이의 공해 상에서 미국 전함들이 어뢰 공격을 받아 격파 당했다는 보고가 들어왔습니다. 어제 일본 정부는 또한 말레이 반도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였습니다.
Last night Japanese forces attacked Hong Kong. Last night Japanese forces attacked Guam. Last night Japanese forces attacked the Philippine Islands. Last night the Japanese attacked Wake Island. And this morning the Japanese attacked Midway Island.
어제 밤 일본 군대는 홍콩을 공격하였습니다. 어제 밤 일본 군대는 괌을 공격하였습니다. 어제 밤 일본 군대는 필리핀 군도를 공격하였습니다. 어제 밤 일본 군대는 웨이크 섬을 공격하였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침 일본 군대는 미드웨이 群島를 공격하였습니다.
Japan has therefore undertaken a surprise offensive extending throughout the Pacific area. The facts of yesterday and today speak for themselves.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have already formed their opinions and well understand the implications to the very life and safety of our nation.
그러므로 일본은 태평양 전역에 걸쳐 기습 공격을 감행한 셈입니다. 어제와 오늘의 사건들이 그 사실을 명백히 밝혀주고 있습니다. 미국 국민들은 이미 소신을 굳혔고, 이 사건이 우리나라의 존속과 안전을 위협한다는 사실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As commander in chief of the army and navy I have directed that all measures be taken for our defense, that always will our whole nation remember the character of the onslaught against us.
미국 군대의 총사령관으로서 본인은 우리 국가 방위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우리 全 국민은 우리에 대한 이 기습 공격의 성격을 항상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
No matter how long it may take us to overcome this premeditated invasion, the American people, in their righteous might, will win through to absolute victory.
이 계획적인 침공을 격퇴하는 데 시일이 얼마가 걸릴지 모르지만, 미국 국민들은 정의로운 힘을 모아 최선을 다하여 완전한 승리를 거두게 될 것입니다.
I believe that I interpret the will of the Congress and of the people when I assert that we will not only defend ourselves to the uttermost but will make it very certain that this form of treachery shall never again endanger us.
최대한 힘을 기울여 우리의 방위를 위해 노력해야 할 뿐 아니라 이러한 식의 배신행위가 앞으로 다시는 우리를 위협하지 못하도록 확실히 해두어야 한다는 저의 주장은 의회와 국민 모두의 뜻을 반영한 것이라고 믿는 바입니다.
Hostilities exist. There is no blinking at the fact that our people, our territory, and our interests are in grave danger. With confidence in our armed forces, with the unbounding determination of our people, we will gain the inevitable triumph. So help us God.
지금은 전쟁 상태입니다. 우리 국민, 우리 영토, 우리의 이익이 심각한 위험 사태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우리 군대에 대한 신뢰와 우리 국민의 결연한 의지로써, 우리는 기필코 승리를 거두게 될 것입니다. 신의 가호가 있으소서.
I ask that the Congress declare that since the unprovoked and dastardly attack by Japan on Sunday, December 7, 1941, a state of war has exist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Japanese Empire.
본인은 1941년 12월 7일 일요일에 일본의 일방 적이고 배신적인 공격이 개시된 이후, 아메리카 합중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전쟁 상태 가 시작되었음을 의회에서 선언해줄 것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
**이글은 월간조선 2000년 4월호 에 실린 것입니다**
예시)
It's so messy. We have to clean it up. 너무 어지럽구나. 청소를 해야겠다.
Will you help me clean the room? 방 청소하는 것 좀 도와주련?
Sure. I will. 네, 도와드릴게요.
O. K. I'll vacuum the floor. 좋았어. 엄마는 청소기로 바닥을 청소할게.
You go and put your toys in the basket. 너는 가서 장난감을 바구니에 담으렴.
Mom. Where should I put it? 엄마, 이건 어디에 두지요?
Put it on the table. 식탁 위에 두거라.
And put those books back in the bookshelf. 그리고 그 책들은 다시 책꽂이에 꽂으렴.
출처: http://suksuk.co.kr
Lincoln's Gettysburg Address(November 19, 1863)
Four score and seven years ago, our fathers brought forth upon this continent a new nation, conceived in liberty and dedicated to the proposition that all men are created equal.
Now we are engaged in a great civil war, testing whether that nation or any nation so conceived and so dedicated can long endure. We are met on a great battlefield of that war.
We have come to dedicate a portion of that field as a final resting place for those who here gave their lives that this nation might live. It is altogether fitting and proper that we should do this.
But, in a larger sense, we cannot dedicate, we cannot consecrate, we cannot hallow this ground. The brave men, living and dead, who struggled here have consecrated it, far above our poor power to add or detract.
The world will little note, nor long remember, what we say here, but it can never forget what they did here. It is for us the living, rather, to be dedicated here to the unfinished work which they who fought here have thus far so nobly advanced.
It is rather for us to be here dedicated to the great task remaining before us, that from these honored dead we take increased devotion to that cause for which they gave the last full measure of devotion, that we here highly resolve that these dead shall not have died in vain, that this nation, under God, shall have a new birth of freedom, and that 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shall not perish from the earth.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1863년 11월19일)
『새로운 자유의 탄생』 “…A new birth of freedom…”
[연설의 배경]
미국 남북전쟁(1861~65)이 진행되고 있던 1863년 11월19일,
링컨은 전쟁의 전환점이 된 혈전지 게티스버그(펜실베이니아 주)를 방문하고 전몰자 국립묘지 봉헌식에 참석한다.
그 식전에서 그는 불과 2분간의 짧은 연설을 행하는데, 그것이 이 유명한 「게티스버그 연설」이다.
원문으로 총 266 단어의 이 연설문은 다음날 게티스버그 신문에 실리고 미국사의 기념비적 텍스트의 하나로 전해지게 된다.
이 연설문은 많은 일화를 갖고 있다. 링컨에 앞서 두 시간 연설했던 웅변가 에드워드 에버렛(Edward Everett)이 『나는 두 시간 연설했고 당신은 2분 간 연설했습니다. 그러나 나의 두 시간 연설이 묘지 봉헌식의 의미를 당신의 2분 연설처럼 그렇게 잘 포착할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겠습니까?』라고 탄식했다는 것도 그런 일화의 하나이다. 링컨이 게티스버그로 가는 열차 안에서 편지 봉투 겉면에 서둘러 쓴 것이 이 연설문이라는 이야기도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화이기보다는 만들어진 전설이다. 링컨이 신임했던 기자 노아 브룩스(Noah Brooks)에 따르면 봉헌식 며칠 전 백악관 집무실에서 대통령이 『연설문을 초안했으나 아직 완성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한다.
링컨의 성격, 연설문이 지닌 고도의 짜임새, 어휘 선택과 修辭的 구도 등을 보면 이 연설문은 한 순간의 영감 어린 작품이기보다는 링컨이 상당한 시간을 바쳐 조심스레 작성한 문건이라는 판단을 갖게 한다.
링컨(1809~1865)
미국 제16대 대통령.
1832년 블랙호크전쟁에서 인디언토벌에 참가.
1846년 연방하원의원에 당선.
1856년 공화당 입당.
1860년 대통령 당선
번역·해설 都正一 - 경희대 영문과 교수·한국영상문화학회 회장
[韓譯] 에이브러햄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1863년 11월19일)
지금으로부터 87년 전 우리의 선조들은 이 대륙에서 자유 속에 잉태되고 萬人은 모두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명제에 봉헌된 한 새로운 나라를 탄생시켰습니다.
우리는 지금 거대한 內戰에 휩싸여 있고 우리 선조들 이 세운 나라가, 아니 그렇게 잉태되고 그렇게 봉헌된 어떤 나라가, 과연 이 지상에 오랫동안 존재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시험 받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모인 이 자리는 남군과 북군 사이에 큰 싸움이 벌어졌던 곳입니다.
우리는 이 나라를 살리기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에게 마지막 안식처가 될 수 있도록 그 싸움터의 땅 한 뙈기를 헌납하고자 여기 왔습니다.
우리의 이 행위 는 너무도 마땅하고 적절한 것입니다. 그러나 더 큰 의미에서, 이 땅을 봉헌하고 祝聖(축성)하며 신성하게 하는 자는 우리 가 아닙니다.
여기 목숨 바쳐 싸웠던 그 용감한 사람들, 戰死者(전사자) 혹은 생존자 들이, 이미 이곳을 신성한 땅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거기 더 보태고 뺄 것 이 없습니다.
세계는 오늘 우리가 여기 모 여 무슨 말을 했는가를 별로 주목하지도, 오래 기억하지도 않겠지만
그 용감한 사람 들이 여기서 수행한 일이 어떤 것이었던가는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이 싸워 서 그토록 고결하게 전진시킨, 그러나 未完 으로 남긴 일을 수행하는 데 헌납되어야 하 는 것은 오히려 우리들 살아 있는 자들입니다.
우리 앞에 남겨진 그 未完의 큰 과업을 다 하기 위해 지금 여기 이곳에 바쳐져야 하는 것은 우리들 자신입니다. 우리는 그 명예롭게 죽어간 이들로부터 더 큰 헌신의 힘을 얻어
그들이 마지막 신명을 다 바쳐 지키고자 한 大義(대의)에 우리 자신을 봉헌하고, 그들이 헛되이 죽어가지 않았다는 것을 굳게 굳게 다짐합니다.
신의 가호 아래 이 나라는 새로운 자유의 탄생을 보게 될 것이며, 인민의, 인민에 의한, 인민을 위한 정부는 이 지상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해설:
불과 266 단어로 된 이 짧은 연설문이 유명한 것은 그 짧은 길이 때문이 아니라 미국이라는 나라의 명분을 몇 마디 말 속 에 간결하게 압축하고 미국史의 대사건인 남북전쟁의 의미, 자유의 가치, 민주정부의 원칙을 그 핵심에서 포착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 지도자의 연설치고 이처럼 간결하면서도 강력하고 쉬운 말을 쓰면서도 감동적일 수 있었던 예는 거의 없다.
나자렛 예수의 「산상수훈」에 곧잘 비교되는 그 간결성과 간명성, 그리고 감동적 효과 때문에 이 연설은 미국 역사를 지탱한 원칙과 비전의 원천이자 항구한 준거의 틀이 되었고 정치만이 아니라 문학사적으로도 긴 생명의 고전적 텍스트가 되어 있다.
연설 전편을 통해 가장 빈번히 사용된 핵심어는 「봉헌」(dedication)이라는 어휘이다 .
원문에서는 이 「봉헌」이라는 핵심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의 형태로 모두 여섯 번 사용되고, 연관어 「헌신」(devotion)도 두 번 쓰이고 있다.
미국이라는 나라를 『 자유 속에 잉태되고, 만인은 모두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명제에 봉헌된 나라』라고 규정한 첫 문장은 미국 「독립선언서」에 천명된 건국의 의미와 이상을 다시 한 줄로 요약하고 「봉헌」의 첫 번째 의미를 제시 한다.
링컨의 이 言明(언명)은 이후 미국인들에게 『나는 민주주의의 명제에 봉헌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이 되어 부단히, 朝夕 으로, 되돌아온다.
그런데 그날 사람들이 게티스버그에 모인 것은 그 싸움터의 한 조각을 전몰자들에게 「봉헌-헌납」 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이 「봉헌」의 두 번째 의미이다.
그러나 이 대목에서부터 연설은 절묘한 逆轉의 논리를 발휘하여 「봉헌」의 세 번째 의미로 넘어간다.
그 땅은 이미 死者(사자)들이 목숨을 바쳐 자유와 민주주의 의 제단에 신성하게 봉헌한 곳이므로,
묘지 헌납을 위해 모인 자들이 해야 할 것은 그 들 자신을 미국 건국의 이상에 「봉헌」하여
死者들이 미완으로 남긴 과제를 완수하는 일이다
--이것이 그 逆轉 논리가 제시하는 「봉헌」의 세 번째 의미이다.
이 연설은 마치 한 편의 시처럼 탄생(birth), 죽음(death), 재생(rebirth)이라는 상징적 은유 구조를 갖고 있다.
「탄생」의 은유적 이미지는 미국 건국을 「잉태」(conceived)와 「출산」(bring forth)이라는 말로 표현한 첫 줄에 나타난다.
「죽음」의 이미지는 게티스버그에서 「목숨을 바친」 사람들, 「명예로이 죽어간 사람들」과 그 들을 위한 「마지막 안식처」 같은 말들로 표현되고, 여기에는 그들을 죽게 한 것이 미국의 건국 理想에 가해진 시련과 죽음의 유혹이라는 암시도 들어 있다.
「재생」의 이미지는 死者를 위한 땅의 축성과 헌납( 이는 정화/부활의 기원의식과도 같다),
신 의 가호 아래 미국이 「새로운 자유의 탄생 」을 다시 보게 될 것이라는 구절,
그리고 마지막 절--인민의, 인민에 의한, 인민을 위한 정부는 이 지상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불멸성의 다짐 속에 나타나 있다.
JFK Inaugural Address 1 of 2
JFK Inaugural Address 2 of 2
Vice President Johnson, Mr. Speaker, Mr. Chief Justice, President Eisenhower, Vice President Nixon, President Truman, reverend clergy, fellow citizens:
We observe today not a victory of a party but a celebration of freedom ―symbolizing an end as well as a beginning ― signifying renewal as well as change.
For I have sworn before you and Almighty God the same solemn oath our forebears prescribed nearly a century and three quarters ago.
우리는 오늘 한 정당의 승리를 축하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즉 개막과 아 울러 폐막을 상징하고 변화와 더불어 쇄신을 의미하는 자유를 축하하는 것 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선조들이 근 175년 전에 규정했던 것과 똑같은 신성한 선서를 제가 여러분과 전능하신 하나님 앞에서 했기 때문입니다.
The world is very different now. For man holds in his mortal hands the power to abolish all forms of human poverty and human life.
이제 세계는 많이 달라졌습니다. 그것은 인간이 모든 형태의 빈곤과 모든 형태의 삶을 파괴할 수 있는 힘을 자신의 손 안에 쥐고 있기 때문입니다.
And yet the same revolutionary beliefs for which our forebears fought are still at issue around the globe ― the belief that the right s of man come not from the generosity of the state but from the hand of God.
하지만 우리의 조상들이 투쟁 목표로 삼았던 혁명적인 신념, 즉 인간의 권리는 국가의 관용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神의 손에서 나온다는 그 믿음은 全세계적으로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습니다.
We dare not forget today that we are the heirs of that first revolution.
우리는 우리가 그 최초 혁명의 계승자임을 절대 잊지 않을 것입니다.
Let the word go forth 바로 이 시간,
from this time and place, to friend and foe alike, 이 자리에서 우리의 우방과 적들에게
that the torch has been passed to a new generation of Americans ―그 횃불이 젊은 세대들의 손에 넘어왔으며,
born in this century, 20세기에 태어나 ,
tempered by war, 전쟁으로 강해지고,
disciplined by a hard and bitter peace, 힘겹고 가혹한 평화로 단련되고,
proud of our ancient heritage 오랜 유산에 자부심 을 갖는
―and unwilling to witness or permit the slow undoing of those human rights
인권이 서서히 말살되는 것을 그대로 좌시하지는 않을 것임을 알립시다.
to which this nation has always been committed,
우리는 미국이 지금까지 헌신해 왔고
and to which we are committed today at home and around the world.
지금도 우리나라와 全세계가 헌신하고 있는
Let every nation know, whether it wishes us well or ill,
그들이 우리가 잘 되기를 원하든 원치 않든 간에 모든 국가에 알립시다.
that we shall pay any price, bear any burden, 어떤 代價라도 치를 것이며, 어떤 짐도 질 것이며,
meet any hardship, support any friend,
자유를 지키고 키워나가기 위해 어떠한 어려움에도 맞서 우방을 지지하고
oppose any foe to assure the survival and success of liberty.
우리는 어떤 적에게도 저항하겠다는 것을 말입니다.
This much we pledge―and more. 바로 이 점을 우리는 거듭 약속하려 합니다.
To those old allies whose cultural and spiritual origins we share,
우리와 문화적·정신적 뿌리를 같이하는 오랜 맹방들에게,
we pledge the loyalty of faithful friends.
충실한 우방으로서 信義를 다할 것을 맹세합니다.
United, there is little we cannot do in a host of cooperative ventures.
우리가 뭉치면 손잡고 이룩해야 할 많은 모험을 이루지 못할 일이 없습니다.
Divided, there is little we can do 그러나 흩어지면 거의 아무것도 해낼 수 없습니다.
― for we dare not meet a powerful challenge at odds and split asunder.
뿔뿔이 흩어진 상태에서 어떻게 강력한 도전에 대응할 수 있겠습니까.
To those new states whom we welcome to the ranks of the free, we pledge our word
우리는 신생 독립국들이 자유 국가 대열에 오르는 것을 환영하며 그들에게 다짐합니다.
that one form of colonial control shall not have passed away merely to be replaced by a far more iron tyranny.
한 가지 형태의 식민 통치에서 벗어나자 훨씬 더 강력한 철권 독재가 들어서는 일이 없을 것임을 말입니다.
We shall not always expect to find them supporting our view.
그들이 항상 우리 입장을 지지하리라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But we shall always hope to find them strongly supporting their own freedom
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자신들의 자유를 단호하게 지키고,
― and to remember that, 기억하기를 바랍니다.
in the past, those who foolishly sought power by riding the back of the tiger ended up inside.
또한 과거에 어리석게도 호랑이 등에 올라탐으로써 권력을 추구했던 사람들이 결국 호랑이 밥이 되고 말았다는 사실을
To those peoples in the huts and villages of half the globe struggling to break the bonds of mass misery;
지구의 半을 차지하는 지역에서 집단적 궁핍의 사슬에서 벗어나려고 투쟁하는 빈민과 촌락민 들에게
we pledge our best efforts to help them help themselves, for whatever period is required
아무리 많은 시일이 걸리더라도 그들이 自助自立 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할 것을 맹세합니다.
― not because the Communists may be doing it,
공산주의자들이 그렇게 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요,
not because we seek their votes, 그들의 표를 얻고자 해서도 아니요,
but because it is right. 단지 그것이 올바른 일이기 때문입니다.
If a free society cannot help the many who are poor,
만일 자유 사회에서 궁핍한 다수를 돕지 못한 다면
it cannot save the few who are rich.
부유한 소수 또한 지킬 수 없을 것입니다.
To our sister republics south of our border, we offer a special pledge
우리 국경의 남쪽에 있는 우리의 자매 공화국들에게 특별히 맹세합니다.
―to convert our good words into good deeds ―in a new alliance for progress
진보를 향한 새로운 동맹 관계를 통해 우리의 말을 올바른 행동으로 실천할 것이며,
―to assist free men and free governments in casting off the chains of poverty.
자유국가의 국민과 정부가 빈곤의 쇠사슬에서 벗어나도록 도움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But this peaceful revolution of hope cannot become the prey of hostile powers.
하지만 이 희망에 찬 평화적 혁명이 敵對 국가에 악용 될 수는 없습니다.
Let all our neighbors know that we shall join with them to oppose aggression or subversion anywhere in the Americas.
우리는 모두가 힘을 합해 아메리카 대륙 어디서든 침략 과 파괴에 대항할 것임을 이웃 국가들에게 알립시다.
And let every other power know that this hemisphere intends to remain the master of its own house.
그리고 세계 만방에게 이 서반구는 여전히 스스로를 책임져 나갈 것임을 알립시다.
To that world assembly of sovereign states, the United Nations, our last best hope in an age
우리의 마지막이자 최고의 희망이요, 모든 주권 국가의 연합인 유엔에게
where the instruments of war have far outpaced the instruments of peace,
전쟁의 수단이 평화의 수단을 훨씬 앞질러버린 이 시대,
we renew our pledge of support 새로운 지원을 다짐 합니다.
―to prevent it from becoming merely a forum for invective
유엔이 단순한 毒說의 장이 되는 것을 막고,
―to strengthen its shield of the new and the weak 신생국과 약소국의 방패 역할을 강화해
―and to enlarge the area in which its writ may run. 그 권한이 미치는 지역을 확대하도록
Finally, to those nations who would make themselves our adversary,
마지막으로, 우리를 적대하려는 국가들에게는
we offer not a pledge but a request: 맹세가 아닌 요청을 하겠습니다.
that both sides begin anew the quest for peace,
兩 진영 이 새롭게 평화 추구 노력을 시작합시다.
before 全인류를 자멸의 도가니 속으로 몰아 넣기 전에
the dark powers of destruction 어두운 파괴의 힘이
unleashed by science engulf all humanity 과학에 의해 고삐가 풀린
in planned or accidental self-destruction. 계획적이건 우발적이건 자기 파괴로 인해
We dare not tempt them with weakness. 힘도 없이 이런 모험을 하겠다는 건 아닙니다.
For only when our arms are sufficient beyond doubt
의심할 여지가 없을 만큼 충분한 군비를 갖추고 있어야만
can we be certain beyond doubt that they will never be employed.
우리는 무력 사용 억제를 보장할 수 있기 때 문입니다.
But neither can two great and powerful groups of nations take comfort from our present course
하지만 크고 강력한 두 국가 진영 중 어느 쪽도 현 사태에 마음을 놓을 수 는 없습니다.
―both sides overburdened by the cost of modern weapons,
양측 진영이 다같이 현대적 무기의 비용에 과중한 부담을 지고 있고,
both rightly alarmed by the steady spread of the deadly atom,
치명적인 핵 무기의 확산을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yet both racing to alter 그러면서도 양 진영은 바꾸려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that uncertain balance of terror that stays the hand of mankind’s final war.
인류 최후의 전쟁 도발을 억제하고 있는 불확실한 공포의 균형을 자기 쪽에 유리하도록
So let us begin anew 그러니 우리 다시 시작합시다.
―remembering on both sides that 다같이 명심합시다.
civility is not a sign of weakness, 정중함이 나약함의 표시가 아니며,
and sincerity is always subject to proof. 진실함은 반드시 증거가 필요하다는 점을
Let us never negotiate out of fear. 두려움 때문에 협상하지는 맙시다.
But let us never fear to negotiate. 그렇다고 협상하는 것을 두려워하지도 맙시다.
Let both sides explore 함께 찾아봅시다.
what problems unite us 서로 단결시켜 줄 문제들을
instead of belaboring those problems which divide us.
두 진영을 분열시키는 문제로 왈가왈부하기보다는
Let both sides, for the first time, 두 진영이 처음으로,
formulate serious and precise proposals for the inspection and control of arms
군비의 사찰과 통제를 위한 진지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공식화시켜,
―and bring the absolute power to destroy other nations under the absolute control of all nations.
다른 국가들을 파괴하려는 절대무기가 모든 국가의 절대적인 통제를 받도록 합시다.
Let both sides seek to invoke the wonders of science instead of its terrors.
두 진영으로 하여금 과학으로부터, 공포가 아닌 기적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합시다.
Together let us explore the stars, conquer the deserts, eradicate disease, tap the ocean depths, and encourage the arts and commerce.
함께 천체를 탐색하고, 사막을 정복하고, 질병을 뿌리뽑 고, 바다 밑을 개발하고-그리고 예술과 교역을 권장합시다.
Let both sides unite to heed in all corners of the earth the command of Isaiah
두 진영이 합심해 세계 도처에서 들려오는 이사야의 계율에 귀를 기울입시다.
―to “undo the heavy burdens and to let the oppressed go free.”
『멍에의 줄을 끌러 주고, 압제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라』
And if a beachhead of cooperation may push back the jungle of suspicion,
그리고 협력의 교두보가 세워지고 불신의 정글이 걷어지면,
let both sides join in a new endeavor 두 진영이 손잡 고 새로운 과업을 이룩하도록 합시다.
―not a new balance of power, 새로운 세력 균형이 아니라,
but a new world of law, 그런 새로운 법의 세계를 이룩하도록 합시다.
where the strong are just and the weak secure and the peace preserved.
강대국 이 의롭고 약소국은 안전하며 평화가 유지되는
All this will not be finished in the first one hundred days.
이 모든 과제들이 취임 후 100일 사이에 이뤄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Nor will it be finished in the first one thousand days, 1000일 만에 이뤄지지도 않을 것이며,
nor in the life of this administration, 現 행정부의 임기 중에 끝나지도 않을 것이며,
nor even perhaps in our lifetime on this planet. But let us begin.
어쩌면 우리가 지구상에 살아 있는 동안 이루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작합시다.
In your hands, my fellow citizens, more than mine, will rest the final success or failure of our course.
국민 여러분, 우리의 路線이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의 관건은 제가 아니라 여러분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Since this country was founded, 이 나라가 창건된 이래
each generation of Americans has been summoned to give testimony to its national loyalty.
모든 세대가 나라의 부름을 받고 그들의 충성을 증명해 보였습니다.
The graves of young Americans who answered the call to service surround the globe.
軍의 부름에 응했던 젊은 미국인들의 무덤이 세계 곳곳에 산재해 있습니다.
Now the trumpet summons us again 이제 다시 우리를 부르는 나팔소리가 들립니다.
―not as a call to bear arms, though arms we need
그것은 비록 우리가 무기를 필요로 하지만 무기를 들라는 부름이 아니요,
―not as a call to battle, though embattled we are
비록 우리가 임전 태세를 갖추고 있지만 싸우라는 부름이 아닙니다.
―but a call to bear the burden of a long twilight struggle, 이것은 이겨낼 짐을 지라는 부름인 것입니다.
year in and year out, “rejoicing in hope, patient in tribulation
언제나 『소망 중에 기뻐하 고 환난 중에 견디며』
―a struggle against the common enemies of man: tyranny, poverty, disease, and war itself.
끊임없이 계속되는 지구전, 즉 독재정치, 빈곤, 질병, 그리고 전쟁 자체라는 인류 공동의 敵에 항거하는 싸움을
Can we forge against these enemies a grand and global alliance, North and South, East and West, that can assure a more fruitful life for all mankind?
과연 우리는 이들 적과 맞서 남과 북, 동과 서, 全세계가 대동맹을 맺음으로써 모든 인류의 보다 풍요로운 삶을 보장할 수는 없을까요?
Will you join in that historic effort?
그 역사적인 과업에 참여하지 않겠습니까?
In the long history of the world, 장구한 세계 역사를 거치면서
only a few generations have been granted the role of defending freedom in its hour of maximum danger.
겨우 몇 세대만이 최악의 위기에 자유를 수호 할 역할을 다해낼 수 있었습니다.
I do not shrink from this responsibility― I welcome it.
저는 이 책임을 피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기꺼이 받아들입니다.
I do not believe that any of us would exchange places with any other people or any other generation.
우리 중 어느 누구도 다른 어느 국민이나 다른 어느 세대와 자리를 바꾸려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The energy, the faith, the devotion which we bring to this endeavor
우리가 이같은 과업에 기울이는 열정과 신념, 헌신이
will light our country and all who serve it
우리의 조국, 그리고 조국에 봉사하는 모든 국민들을 밝게 비춰줄 것이며
― and the glow from that fire can truly light the world.
거기서 나오는 찬란한 불꽃이 진정 온 세상을 밝혀 줄 것입니다.
And so, my fellow Americans,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
자, 미국 국민 여러분, 조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지 묻지말고, 여러분이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自問해 보십시오.
My fellow citizens of the world, 그리고 세계의 시민 여러분,
ask not what America will do for you, 미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베풀어 줄 것인 지를 묻지 말고
but what together we can do for the freedom of man.
우리가 손잡고 인간의 자유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자 문해 보십시오.
Finally, whether you are citizens of America or citizens of the world,
마지막으로, 여러분이 미국의 시민이든 세계의 시민이든 간에,
ask of us here the same high standards of strength and sacrifice which we ask of you.
우리가 요구 하는 것과 똑같은 수준의 힘과 희생 정신을 우리에게 요구하십시오.
With a good conscience our only sure reward, 선한 양심을 우리의 유일하고 확실한 보상으로,
with history the final judge of our deeds, 그리고 역사를 우리 행위의 최종 심판자로 삼고,
let us go forth to lead the land we love,
우리 함께 나아가 우리가 사랑하는 조국을 이끌어 갑시다 .
asking his blessing and his help, 하나님의 축복과 도움을 구하되,
but knowing that here on earth God’s work must truly be our own.
이 땅에서 오직 그 분이 이룬 업적만이 진정 우리의 것임을 명심하면서 말입니다.
Inaugural Address of Bill Clinton
January 20, 1997
My fellow citizens :
At this last presidential inauguration of the 20th century, let us lift our eyes toward the challenges that await us in the next century. It is our great good fortune that time and chance have put us not only at the edge of a new century, in a new millennium, but on the edge of a bright new prospect in human affairs, a moment that will define our course, and our character, for decades to come. We must keep our old democracy forever young. Guided by the ancient vision of a promised land, let us set our sights upon a land of new promise.
The promise of America was born in the 18th century out of the bold conviction that we are all created equal. It was extended and preserved in the 19th century, when our nation spread across the continent, saved the union, and abolished the awful scourge of slavery.
Then, in turmoil and triumph, that promise exploded onto the world stage to make this the American Century.
And what a century it has been. America became the world's mightiest industrial power; saved the world from tyranny in two world wars and a long cold war; and time and again, reached out across the globe to millions who, like us, longed for the blessings of liberty.
Along the way, Americans produced a great middle class and security in old age; built unrivaled centers of learning and opened public schools to all; split the atom and explored the heavens; invented the computer and the microchip; and deepened the wellspring of justice by making a revolution in civil rights for African Americans and all minorities, and extending the circle of citizenship, opportunity and dignity to women.
Now, for the third time, a new century is upon us, and another time to choose. We began the 19th century with a choice, to spread our nation from coast to coast. We began the 20th century with a choice, to harness the Industrial Revolution to our values of free enterprise, conservation, and human decency. Those choices made all the difference.
At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a free people must now choose to shape the forces of the Information Age and the global society, to unleash the limitless potential of all our people, and, yes, to form a more perfect union.
When last we gathered, our march to this new future seemed less certain than it does today. We vowed then to set a clear course to renew our nation.
In these four years, we have been touched by tragedy, exhilarated by challenge, strengthened by achievement. America stands alone as the world's indispensable nation. Once again, our economy is the strongest on Earth. Once again, we are building stronger families, thriving communities, better educational opportunities, a cleaner environment. Problems that once seemed destined to deepen now bend to our efforts: our streets are safer and record numbers of our fellow citizens have moved from welfare to work.
And once again, we have resolved for our time a great debate over the role of government. Today we can declare: Government is not the problem, and government is not the solution. We,- the American people, we are the solution. Our founders understood that well and gave us a democracy strong enough to endure for centuries, flexible enough to face our common challenges and advance our common dreams in each new day.
As times change, so government must change. We need a new government for a new century - humble enough not to try to solve all our problems for us, but strong enough to give us the tools to solve our problems for ourselves; a government that is smaller, lives within its means, and does more with less. Yet where it can stand up for our values and interests in the world, and where it can give Americans the power to make a real difference in their everyday lives, government should do more, not less. The preeminent mission of our new government is to give all Americans an opportunity,- not a guarantee, but a real opportunity to build better lives.
Beyond that, my fellow citizens, the future is up to us. Our founders taught us that the preservation of our liberty and our union depends upon responsible citizenship. And we need a new sense of responsibility for a new century. There is work to do, work that government alone cannot do: teaching children to read; hiring people off welfare rolls; coming out from behind locked doors and shuttered windows to help reclaim our streets from drugs and gangs and crime; taking time out of our own lives to serve others.
Each and every one of us, in our own way, must assume personal responsibility, not only for ourselves and our families, but for our neighbors and our nation. Our greatest responsibility is to embrace a new spirit of community for a new century. For any one of us to succeed, we must succeed as one America.
The challenge of our past remains the challenge of our future, will we be one nation, one people, with one common destiny, or not? Will we all come together, or come apart?
The divide of race has been America's constant curse. And each new wave of immigrants gives new targets to old prejudices. Prejudice and contempt, cloaked in the pretense of religious or political conviction are no different. These forces have nearly destroyed our nation in the past. They plague us still. They fuel the fanaticism of terror. And they torment the lives of millions in fractured nations all around the world.
These obsessions cripple both those who hate and, of course, those who are hated, robbing both of what they might become. We cannot, we will not, succumb to the dark impulses that lurk in the far regions of the soul everywhere. We shall overcome them. And we shall replace them with the generous spirit of a people who feel at home with one another.
Our rich texture of racial, religious and political diversity will be a Godsend in the 21st century. Great rewards will come to those who can live together, learn together, work together, forge new ties that bind together.
As this new era approaches we can already see its broad outlines. Ten years ago, the Internet was the mystical province of physicists; today, it is a commonplace encyclopedia for millions of schoolchildren. Scientists now are decoding the blueprint of human life. Cures for our most feared illnesses seem close at hand.
The world is no longer divided into two hostile camps. Instead, now we are building bonds with nations that once were our adversaries. Growing connections of commerce and culture give us a chance to lift the fortunes and spirits of people the world over. And for the very first time in all of history, more people on this planet live under democracy than dictatorship.
My fellow Americans, as we look back at this remarkable century, we may ask, can we hope not just to follow, but even to surpass the achievements of the 20th century in America and to avoid the awful bloodshed that stained its legacy? To that question, every American here and every American in our land today must answer a resounding "Yes."
This is the heart of our task. With a new vision of government, a new sense of responsibility, a new spirit of community, we will sustain America's journey. The promise we sought in a new land we will find again in a land of new promise.
In this new land, education will be every citizen's most prized possession. Our schools will have the highest standards in the world, igniting the spark of possibility in the eyes of every girl and every boy. And the doors of higher education will be open to all. The knowledge and power of the Information Age will be within reach not just of the few, but of every classroom, every library, every child. Parents and children will have time not only to work, but to read and play together. And the plans they make at their kitchen table will be those of a better home, a better job, the certain chance to go to college.
Our streets will echo again with the laughter of our children, because no one will try to shoot them or sell them drugs anymore. Everyone who can work, will work, with today's permanent under class part of tomorrow's growing middle class. New miracles of medicine at last will reach not only those who can claim care now, but the children and hardworking families too long denied.
We will stand mighty for peace and freedom, and maintain a strong defense against terror and destruction. Our children will sleep free from the threat of nuclear, chemical or biological weapons. Ports and airports, farms and factories will thrive with trade and innovation and ideas. And the world's greatest democracy will lead a whole world of democracies.
Our land of new promise will be a nation that meets its obligations, a nation that balances its budget, but never loses the balance of its values. A nation where our grandparents have secure retirement and health care, and their grandchildren know we have made the reforms necessary to sustain those benefits for their time. A nation that fortifies the world's most productive economy even as it protects the great natural bounty of our water, air, and majestic land.
And in this land of new promise, we will have reformed our politics so that the voice of the people will always speak louder than the din of narrow interests, regaining the participation and deserving the trust of all Americans.
Fellow citizens, let us build that America, a nation ever moving forward toward realizing the full potential of all its citizens. Prosperity and power, yes, they are important, and we must maintain them. But let us never forget: The greatest progress we have made, and the greatest progress we have yet to make, is in the human heart. In the end, all the world's wealth and a thousand armies are no match for the strength and decency of the human spirit.
Thirty-four years ago, the man whose life we celebrate today spoke to us down there, at the other end of this Mall, in words that moved the conscience of a nation. Like a prophet of old, he told of his dream that one day America would rise up and treat all its citizens as equals before the law and in the heart. Martin Luther King's dream was the American Dream. His quest is our quest: the ceaseless striving to live out our true creed. Our history has been built on such dreams and labors. And by our dreams and labors we will redeem the promise of America in the 21st century.
To that effort I pledge all my strength and every power of my office. I ask the members of Congress here to join in that pledge. The American people returned to office a President of one party and a Congress of another. Surely, they did not do this to advance the politics of petty bickering and extreme partisanship they plainly deplore. No, they call on us instead to be repairers of the breach, and to move on with America's mission.
America demands and deserves big things from us,- and nothing big ever came from being small. Let us remember the timeless wisdom of Cardinal Bernardin, when facing the end of his own life. He said, "It is wrong to waste the precious gift of time, on acrimony and division."
Fellow citizens, we must not waste the precious gift of this time. For all of us are on that same journey of our lives, and our journey, too, will come to an end. But the journey of our America must go on.
And so, my fellow Americans, we must be strong, for there is much to dare. The demands of our time are great and they are different. Let us meet them with faith and courage, with patience and a grateful and happy heart. Let us shape the hope of this day into the noblest chapter in our history. Yes, let us build our bridge. A bridge wide enough and strong enough for every American to cross over to a blessed land of new promise.
May those generations whose faces we cannot yet see, whose names we may never know, say of us here that we led our beloved land into a new century with the American Dream alive for all her children; with the American promise of a more perfect union a reality for all her people; with America's bright flame of freedom spreading throughout all the world.
From the height of this place and the summit of this century, let us go forth. May God strengthen our hands for the good work ahead, and always, always bless our America.
클린턴 대통령 취임사
1997. 1. 20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20세기의 마지막 대통령 취임식에서 우리의 눈을 들어 다음 세기에 우리를 기다리는 도전을 바라봅시다. 시간과 기회가 우리를 새로운 세기, 즉 새천년의 경계에 있게 했을 뿐만 아니라 인간사의 밝고 새로운 전망의 문턱 - 다가올 수십 년 동안 우리의 나아갈 길과 특징을 명확히 할 순간 - 에 있게 한 것은 크나큰 행운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오랜 민주주의를 영원히 젊게 유지해야 하겠습니다. 약속의 땅에 대한 조상들의 인도를 따라 우리의 시선을 새로운 약속의 땅에 고정시킵시다.
미국의 약속은 우리 모두가 평등하다는 투철한 신념을 지닌 채 18세기에 태어났습니다. 그 약속은 우리가 대륙을 가로지르던, 연방을 수호했던, 끔찍한 노예제도를 폐지했던 19세기에 널리 퍼졌고 지켜졌습니다.
그 후 혼란과 영광 속에서 그 약속은 세계로 퍼져 20세기를 미국의 시대로 만들었습니다.
정말 대단한 세기였습니다. 미국은 세계 최강의 산업국가가 되었고, 두 번의 세계대전과 긴 냉전을 통해 독재에서 세계를 구했고, 우리처럼 자유의 축복을 갈망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도왔습니다.
그러는 동안 우리는 많은 중산층과 노후보장을 배출하였고, 세계 최고의 배움의 중심지를 건설하였고, 모든 이에게 공립학교를 개방하였으며, 원자를 쪼개었고 하늘을 탐험하였으며, 컴퓨터와 마이크로 칩을 발명하였고, 흑인과 소수 민족을 위한 시민 혁명을 이룩하고 여성에게 시민권과 기회와 고위직을 확대하여 정의의 샘을 한층 깊게 하였습니다.
이제 세 번 째 시기인 새천년이, 또 다른 선택의 시간이 다가옵니다. 우리는 조국을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확장하는 선택으로 19세기를 시작하였습니다. 우리는 산업혁명을 자유 기업, 보존, 인격의 가치를 위한 수단으로 20세기를 선택하였습니다. 이러한 선택이 모든 것을 바꾸었습니다. 21세기의 여명에서 자유민 각자는 정보화 시대, 세계화 사회의 힘을 형성하기 위한, 우리 국민의 무한한 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한, 더 완전한 연합을 형성하기 위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지난번 우리가 모였을 때, 우리의 이 새로운 미래로의 행진이 오늘의 행진보다 덜 확실해 보였습니다. 우리는 그때 우리 국가를 새롭게 하기 위한 명확한 진로를 만들기로 맹세하였습니다.
지난 4년간 우리는 비극으로 상처 받았고, 도전으로 고무되었으며, 성취하여 강해졌습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국가로 우뚝 서있습니다. 다시 한번 우리 경제는 세계 최강이 되었습니다. 또 다시 우리는 튼튼한 가정, 번영하는 사회, 더 나은 교육 기회, 더 깨끗한 환경을 건걸하고 있습니다. 한때는 악화될 듯한 문제점이 이제 우리의 노력에 굴복하고 있습니다; 거리는 안전해지고 기록적인 숫자의 시민들이 실업연금에서 직장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우리는 우리 시대를 위한 정부 역할에 대한 논쟁을 종식시켰습니다. 오늘 우리는 선언할 수 있습니다. ; 정부가 문제가 아니고 정부가 해결책도 아닙니다. 우리 미국인, 우리가 해결책입니다. 우리의 선조들은 그 점을 잘 알았으며 우리에게 수세기 동안 지속될 강력하면서도, 우리의 공통된 도전에 직면하고 매일 공통된 이상을 발전시킬 만큼 유연한 민주주의를 물려주었습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정부도 당연히 변해야 합니다. 우리는 새천년을 위한 새로운 정부를 필요로 합니다. 우리를 위해 우리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들지 않을 만큼 겸손하지만,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을 제공할 만큼 강력한 정부, 보다 작고, 재정 내에서 운용하며 적은 것으로 더 많은 일을 하는 정부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정부가 세계에서 우리의 가치와 이익을 옹호해 주고 국민생활을 변화시킬 힘을 국민에게 주려면 정부는 일을 더해야 합니다. 우리 새로운 정부의 주 사명은 국민에게 보장이 아닌 기회를, 더 나은 삶을 만들 실질적인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뿐만 아니라 미래는 우리 손에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우리의 자유와 연방 수호가 책임감 있는 시만 정신에 있다고 가르쳤습니다. 우리는 새 천년에 적합한 새로운 책임감이 필요합니다. 정부 혼자 할 수 없는 새로운 일이 있습니다. 어린이에게 읽기를 가르치고, 실업자를 고용하며, 마약, 폭력, 범죄로부터 우리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잠긴 문과 잠겨진 창문에서 나와야 하며, 다른 이들을 돕기 위해 우리의 생활에서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나름대로 우리 각각은 자신과 가족뿐만 아니라 이웃과 국가를 위한 개인적 책임을 져야 합니다. 우리의 가장 중요한 책임은 새천년에 적합한 새로운 공동체 정신을 수용하는 것입니다. 우리 중 어느 누군가가 성공하려면 우리는 하나의 미국으로 성공해야 합니다.
과거 우리의 도전은 미래의 도전으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공동 운명을 지닌 하나의 국가, 하나의 국민이 될 수 있습니까, 없습니까? 우리는 하나로 뭉치겠습니까, 흩어지겠습니까?
인종차별은 미국이 갖고 있는 끈질긴 저주였습니다. 새로운 이민자들의 물결은 낡은 편견에 새로운 목표를 가져다줍니다. 종교적 또는 정치적 신념이라는 허울을 쓴 편견과 경멸은 다를 바 없습니다. 이러한 세력이 과거에 우리나라를 거의 파멸시켰습니다. 그들은 아직도 우리를 괴롭힙니다. 그들은 광신적 테러를 부추겼습니다. 그들은 전 세계 분열된 국가의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고통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망상은 증오하는 자는 물론 당하는 자까지도 가능성을 박탈한 채 파멸시킵니다. 우리는 영혼 깊숙이 숨어 있는 음흉한 충동에 굴복할 수 없으며 굴복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충동을 극복할 것입니다. 우리는 서로 편안함을 느끼는 국민의 포용력으로 충동을 대체할 것입니다.
우리의 풍부한 인종, 종교, 정치적 다양성은 21세기에는 하늘이 준 선물이 될 것입니다. 같이 살고, 같이 배우고, 같이 일하고, 같이 새로운 연대를 이룰 수 있는 자에게 은총이 있을 것입니다.
이 새로운 시대가 옴에 따라 우리는 이미 대강의 윤곽을 볼 수 있습니다. 10년 전 인터넷은 물리학자의 신비스런 영역이었습니다. 오늘날 인터넷은 수백만 학생을 위한 흔한 백과사전이 되었습니다. 지금 과학자들은 인간 생명의 청사진을 해독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의 치료도 머지않아 가능할 것입니다.
세계는 더 이상 적대적인 양 진영으로 나뉘어져 있지 않습니다. 이제 우리는 한때 우리의 적이었던 나라와 유대를 쌓고 있습니다. 무역과 문화 교류의 확대는 전 세계의 재물과 정신을 증진시킬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인류 역사상 최초로 이 행성 위에서 독재체제보다 민주주의 하에 사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이 놀라운 세기를 되돌아보며 우리는 물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단순히 순종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20세기에 이룬 성취를 능가하고 미국의 유산에 오점을 남겼던 끔찍한 유혈참극을 피하길 바랄 수 있을 것인가? 그 질문에 대하여 여기 계신 모든 미국인과 전 지역의 미국인들은 확고한 대답을 해야만 합니다. "예"라고
이것이 우리의 핵심 과업입니다. 정부의 새로운 꿈과 새로운 책임감, 새로운 공동체 정신으로 우리는 미국의 여정을 계속할 것입니다. 신대륙에서 찾았던 약속을 우리는 새로운 약속의 땅에서 다시 찾을 것입니다.
이 신대륙에서 교육은 국민 모두의 가장 소중한 재산이 될 것입니다. 우리의 학교는 모든 소녀, 소년의 눈에 가능성을 점화시키는 세계 최고의 수준을 가질 것입니다. 고등교육의 기회가 개방될 것입니다. 정보화 시대의 지식과 힘은 몇몇 소수가 아닌 모든 교실, 모든 도서관, 모든 어린이에게 주어질 것입니다. 부모와 자식은 일할 시간뿐만 아니라 함께 읽고 노는 시간도 가질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식탁에서 더 좋은 집, 더 좋은 직업, 대학 입학 계획을 세울 것입니다.
거리는 아무도 그들에게 총을 쏘지 않으며, 그들에게 더 이상 마약을 팔지 않기 때문에 다시 어린이 웃음소리로 메아리칠 것입니다. 일할 수 있는 이들은 오늘날 영원한 빈곤층이 내일은 성장하는 중산층의 일부로 일할 것입니다. 의학의 새로운 기적은 마침내 현재 치료를 요청한 사람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거부되었던 어린이와 빈곤층까지 닿을 것입니다.
우리는 평화와 자유를 수호할 것이며, 테러와 파괴에 대하여 강력한 방어태세를 유지할 것입니다. 어린이들은 화생방 무기의 위협 없이 편히 잠들 것입니다. 항구와 공항, 농장과 공장은 혁신과 아이디어로 번창할 것입니다. 세계 최고의 민주주의가 전체 민주주의 세계를 이끌 것입니다.
우리의 새로운 약속의 땅은 국가 본연의 의무를 다하는 국가 - 균형 예산을 갖춘, 결토 가치의 균형을 잃지 않는 국가가 될 것입니다. 우리 조부모님이 안락한 은퇴와 의료혜택을 가지며, 그들의 손자가 우리가 그들을 위한 혜택이 지속되도록 절실한 개혁을 했었다는 것을 아는 국가 말입니다. 심지어는 우리의 물과 공기와 신비스러운 대지와 같은 천혜의 자원을 보호하면서 세계 최고의 생산적인 경제를 뒷받침하는 국가 말입니다.
이 새로운 약속의 땅에서 우리는 편협한 이해관계로 떠드는 목소리보다 국민의 목소리가 항상 더 크게 들리고 , 국민의 참여도를 회복시키고 모든 미국인의 신뢰를 받도록 우리의 정치를 개혁할 것입니다.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모든 시민의 잠재성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전진하는 그러한 미국을 건설합시다. 번영과 힘, 예, 그것은 중요합니다. 그것을 지켜야 합니다. 그러나 결코 잊지는 맙시다. 우리가 이룬 가장 위대한 발전과 우리가 이룰 가장 위대한 발전은 인간의 마음속에 있다는 것을. 결국 전 세계의 부와 수많은 군사력도 정신의 힘과 품위 앞에는 상대가 되지 못합니다.
34년 전, 오늘날 우리가 칭송하는 그 분이 이 길의 저 쪽에서 , 국가의 양심을 감동시키는 말로 우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옛 예언자처럼 그 분은 언젠가 미국이 각성하여 모든 국민을 법 앞에서 또한 마음속으로 동등하게 대할 것이라는 자신의 꿈을 이야기 하였습니다. 마틴 루터 킹의 꿈은 미국의 꿈이었습니다. 그의 추구했던 바가 바로 우리의 추구하는 바입니다. ; 즉 참된 신념을 지닌 채 실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입니다. 우리 역사는 이 같은 꿈과 노력 위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꿈과 노력으로 우리는 21세기에 미국의 약속을 이행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에 나는 나의 모든 힘과 직권을 바칠 것을 맹세합니다. 나는 여기 모인 의원 여러분께 이 맹세에 동참하길 요청합니다. 미국 국민은 한 정당에는 대통령을, 다른 한 정당에는 의회를 맡겼습니다. 분명히 그들은 그들이 무척 개탄하는 사소한 언쟁과 극단적인 당파 정치를 조장하려고 이렇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아닙니다. 국민은 대신에 우리가 분열을 치유하고 미국의 의무를 수행하기를 요구합니다.
미국은 우리로부터 큰 것을 요구하고 받을만합니다. 사소한 것에서 대범함이 나오지 않습니다. 버나딘 추기경이 생을 마감하면서 영원한 지혜를 남긴 말을 기억합시다. " 시간이라는 귀중한 선물을 비난과 분열에 낭비하는 것은 잘못이다."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시간이라는 이 귀중한 선물을 낭비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 인생이라는 같은 여정에 있으며 우리의 여정 언젠가는 끝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 미국의 여정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친애하는 미국인이여, 우리는 강해져야 합니다. 용감히 맞서야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우리 시대의 요구 사항은 많고 다양합니다. 신념과 용기로 인내와 감사하는 마음으로 그 요구에 대처합시다. 오늘의 희망을 역사의 가장 숭고한 장으로 가꿉시다. 우리의 다리를 건설합시다. 축복받은 새로운 약속의 땅을 향해 모든 미국인이 건널 수 있는 충분히 넓고 튼튼한 다리를.
우리가 아직 볼 수 없고, 그 이름도 결코 모르는 세대들이 우리는 사랑하는 조국을 모든 미국의 어린이를 위해 미국의 꿈과 함께, 모든 미국인을 위해 더욱더 완전한 결속의 약속과 함께, 전 세계에 걸쳐 빛나는 미국의 빛나는 자유의 불꽃과 함께 새로운 세기로 이끌어 갔노라고 말하게 되기를 기원합니다.
이 높은 곳에서부터, 이 세기의 정점에서부터 나아갑시다. 하나님께서 우리 앞에 놓인 선한 일을 위해 우리의 손을 강하게 해 주시며 항상 우리 미국을 축복해 주시길 기원합니다.
Franklin D. Roosevelt
First Inaugural Address
Saturday, March 4, 1933
President Hoover, Mr. Chief Justice, my friends:
This is a day of national consecration. And I am certain that on this day my fellow Americans expect that on my induction into the presidency, I will address them with a candor and a decision which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people impels.
This is preeminently the time to speak the truth, the whole truth, frankly and boldly. Nor need we shrink from honestly facing conditions in our country today. This great Nation will endure, as it has endured, will revive and will prosper.
So, first of all, let me assert my firm belief that the only thing we have to fear is fear itself - nameless, unreasoning, unjustified terror which paralyzes needed efforts to convert retreat into advance. In every dark hour of our national life, a leadership of frankness and of vigor has met with that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the people themselves which is essential to victory. And I am convinced that you will again give that support in these critical days.
[번역]
후버 대통령, 대법원장, 동료 여러분:
오늘은 국가적인 봉헌의 날입니다. 국민들은 제가 오늘 이 취임식에서 우리나라의 긴박한 상황에 맞는 솔직하고 결단력 있는 연설을 기대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지금이야말로 진실을,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솔직하고 대담하게 말할 때입니다.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에 정직하게 맞서는 것을 겁낼 필요도 없습니다. 이 나라는 지금까지 그래 왔듯이, 잘 견디어 낼 것이며, 부활해서 번영할 것입니다.
먼저, 저의 확고한 믿음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유일한 것은 오직 두려움 그 자체뿐입니다. 이름도 없고, 이치에 맞지도 않으며, 후퇴를 전진으로 전환시키는 데 필요한 노력을 마비시키는 근거 없는 테러를 말하는 겁니다. 우리나라는 국민의 생활이 암울한 시기에 처할 때마다 솔직하고, 활기찬 지도력으로 위기 극복에 꼭 필요한 국민의 이해와 지지를 얻었습니다. 지금 어려운 이 상황에서 국민 여러분께서 그와 같은 지지를 다시 한 번 보내 주리라 확신합니다.
[연설문을 응용한 오늘의 구문]
하나. ‘the only thing you have to + 동사원형 + is' (당신이 해야 할 것은 오직 …뿐이다)
일상생활에서 종종 쓰이는 문장 문장을 통해 ‘the only thing you have to + 동사원형 + is' 표현법을 익혀 보자.
1. The only thing you have to do is love yourself.
당신이 해야 할 것은 당신 자신을 사랑하는 것뿐입니다.
2. The only thing you have to have is strong determination.
당신이 갖고 있어야 할 유일한 것은 강력한 결심뿐입니다.
3. Now, the only thing you have to do is wait.
이제 당신은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둘, ‘be confident/convinced that ~' (…을 확신합니다)
종종 ‘…을 확신합니다'라는 표현을 하게 된다. 이럴 때 쓰이는 문구가 바로 ‘be confident/convinced that ~'이다. 아래의 예문을 익혀 보자.
1. I'm confident that we will agree on a 7% pay raise.
나는 우리가 7퍼센트 봉급 인상안에 합의를 볼 것으로 확신합니다.
2. The South Korean baseball team was confident that they will win in the Olympic finals.
한국 야구팀이 올림픽 결승에서 이길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3. I'm convinced that that's the best way.
전 그 방법이 최고라고 확신합니다.
4. I'm convinced she will proceed to graduate school.
전 그녀가 대학원에 진학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어휘]
* Chief Justice (미) 연방 대법원장. 정식 명칭은 The Chief Justice of the United States이다.
judge는 ‘판사', justice는 ‘대법관'을 의미한다.
* consecration 봉헌, 헌신 등의 의미로 해석되며 consecrate 동사로 쓰일 때는 신성하게하다, ~을 바치다 등의 의미로 쓰인다.
* induction 취임(식), 유도, 안내의 의미로 쓰였다.
* candor 솔직, 정직의 의미로 해석된다.
* impel 다그치다, 재촉하다, 추진하다 등의 의미로 해석된다.
* preeminently 걸출하게, 뛰어나게의 의미로 쓰였다.
* shrink 겁내다, 피하다 등의 의미와 오그라들다, 줄어들다의 의미로도 쓰인다.
* unreasoning 이치에 맞지 않는, 불합리한
* retreat 후퇴, 퇴각, 교회나 회사의) 수련회
* meet with ‘meet with'는 주로 만나다의 의미로 많이 쓰이나 위 문장에서는 ‘얻다', ‘받다'라는 뜻이다.
* essential 본질적인, 필수적인, 가장 중요한 등의 의미로 쓰이며 반의어는 non-essential이다.
In such a spirit on my part and on yours we face our common difficulties. They concern, thank God, only material things. Values have shrunken to fantastic levels; taxes have risen; our ability to pay has fallen; government of all kinds is faced by serious curtailment of income; the means of exchange are frozen in the currents of trade; the withered leaves of industrial enterprise lie on every side; farmers find no markets for their produce; the savings of many years in thousands of families are gone.
여러분과 저는 이런 정신으로 공동의 어려움에 맞서고 있습니다. 감사하게도 그런 어려움은 오직 물질적인 것입니다. 모든 가치가 터무니없는 수준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세금은 올라갔고, 우리의 지불 능력은 떨어졌습니다. 온갖 정부기관은 심각한 수입 감축에 직면해 있습니다. 환전 수단은 무역의 흐름 속에 얼어붙었습니다. 기업들의 말라붙은 잎사귀들이 여기저기에 떨어져 있습니다. 농부들은 수확물을 팔 시장을 찾지 못합니다. 그리고 수천의 가정에서 수년간 저축한 돈이 사라졌습니다.
More important, a host of unemployed citizens face the grim problem of existence, and an equally great number toil with little return. Only a foolish optimist can deny the dark realities of the moment.
더욱 중요한 것은 수많은 실업자들이 끔찍한 생존 문제에 직면해 있고, 똑같이 수많은 사람들이 힘써 일하고도 보수를 거의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직 어리석은 낙관론자만이 이 순간의 현실을 부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Yet our distress comes from no failure of substance. We are stricken by no plague of locusts. Compared with the perils which our forefathers conquered because they believed and were not afraid, we have still much to be thankful for. Nature still offers her bounty and human efforts have multiplied it. Plenty is at our doorstep, but a generous use of it languishes in the very sight of the supply. Primarily this is because the rulers of the exchange of mankind's goods have failed, through their own stubbornness and their own incompetence, have admitted their failure, and abdicated. Practices of the unscrupulous money changers stand indicted in the court of public opinion, rejected by the hearts and minds of men.
그러나 우리의 곤궁은 물질적인 실패에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메뚜기 떼에 시달리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이 극복한 위기와 비교해 볼 때, 이는 그들이 믿고 두려워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우리는 아직 감사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자연은 여전히 많은 것을 주고 인간의 노력은 그것을 몇 배로 늘려 왔습니다. 풍요가 우리 문앞에 있지만, 공급의 측면에서 그것을 마음껏 쓸 수 없습니다. 먼저 이것은 인류의 물물교환을 지배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고집과 무능으로 인해 실패했고 그 실패를 인정했고 물러났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마음과 생각에서 거부당한 파렴치한 환전업자의 관행은 여론이라는 법정에 기소되어 서있습니다.
True they have tried, but their efforts have been cast in the pattern of an outworn tradition. Faced by failure of credit they have proposed only the lending of more money. Stripped of the lure of profit by which to induce our people to follow their false leadership, they have resorted to exhortations, pleading tearfully for restored confidence. They know only the rules of a generation of self-seekers. They have no vision, and when there is no vision the people perish.
그들이 노력한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들의 노력은 진부한 관례의 틀 안에 쏟아 부어졌습니다. 신용대출 실패에 직면한 그들은 더 많은 돈을 빌려주려고만 했습니다. 그들은 우리 국민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잘못된 지도력을 따르게 만든 이윤이라는 미끼를 빼앗긴 후에 신뢰 회복을 눈물로 간청하면서 간곡한 권고에 호소했습니다. 그들은 자기 본위의 세대의 규칙만 알고 있습니다. 그들에게는 비전이 없습니다. 그리고 비전이 없을 때 망하는 법입니다.
The money changers have fled from their high seats in the temple of our civilization. We may now restore that temple to the ancient truths. The measure of the restoration lies in the extent to which we apply social values more noble than mere monetary profit.
환전업자들은 우리 문명의 신전 높은 자리에서 도망쳤습니다. 우리는 이제 그 신전을 예전의 진정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그런 복원의 기준은 단지 금전적인 이윤보다 고귀한 사회적 가치를 적용하는 정도에 달려 있습니다.
Happiness lies not in the mere possession of money; it lies in the joy of achievement, in the thrill of creative effort. The joy and moral stimulation of work no longer must be forgotten in the mad chase of evanescent profits. These dark days will be worth all they cost us if they teach us that our true destiny is not to be ministered unto but to minister to ourselves and to our fellow men.
행복은 단순히 금전의 소유에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성취의 기쁨, 창의적인 노력의 전율 속에 있습니다. 노동의 도덕적인 자극제라 할 수 있는 그런 즐거움이 더 이상 덧없는 이윤을 정신없이 쫓느라 망각되어서는 안 됩니다. 여러분, 이런 암울한 날들이 우리에게 진정한 운명이란 그 운명을 섬기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를, 우리 동포들을 섬기는 것임을 가르쳐 준다면, 그 날들은 우리에게 치르게 하는 그 모든 것의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
Recognition of the falsity of material wealth as the standard of success goes hand in hand with the abandonment of the false belief that public office and high political position are to be valued only by the standards of pride of place and personal profit; and there must be an end to a conduct in banking and in business which too often has given to a sacred trust the likeness of callous and selfish wrongdoing. Small wonder that confidence languishes, for it thrives only on honesty, on honor, on the sacredness of obligations, on faithful protection, on unselfish performance; without them it cannot live.
물질적인 부가 성공의 기준이라는 거짓을 깨닫고, 더불어 공직과 고위 행정직은 교만함과 사리의 기준으로만 평가해야 한다는 잘못된 믿음도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너무나 자주 신성한 신탁 재산을 가지고 무감각하고 이기적인 범죄와 유사한 짓을 저질러온 은행과 기업의 행위에 종말이 와야 합니다. 신뢰는 오직 정직함, 명예, 의무의 신성함, 충실한 보호, 그리고 비이기적인 행위를 바탕으로 번성하고 그러한 것들이 없으면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그런 신뢰가 약해지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Restoration calls, however, not for changes in ethics alone. This Nation asks for action, and action now.
그러나 복구는 윤리 면에서의 변화만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 나라는 행동을, 지금 당장 행동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Our greatest primary task is to put people to work. This is no unsolvable problem if we face it wisely and courageously. It can be accomplished in part by direct recruiting by the Government itself, treating the task as we would treat the emergency of a war, but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employment, accomplishing greatly needed projects to stimulate and reorganize the use of our natural resources.
우리에게 가장 큰 우선 과제는 사람들을 일하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이 문제에 현명하고 용기 있게 대처한다면 이것은 풀지 못할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부분적으로는 우리가 전쟁이라는 비상사태에 대처하듯이 정부가 이 문제에 대처하면서 직접 채용을 실시하고, 동시에 이런 고용을 통해 우리의 막대한 천연자원 이용을 고무하고 재편성하는 거대한, 너무나도 절실한 프로젝트를 완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습니다.
Hand in hand with this we must frankly recognize the overbalance of population in our industrial centers and, by engaging on a national scale in a redistribution, endeavor to provide a better use of the land for those best fitted for the land. The task can be helped by definite efforts to raise the valu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with this the power to purchase the output of our cities. It can be helped by preventing realistically the tragedy of the growing loss through foreclosure of our small homes and our farms. It can be helped by insistence that the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ct forthwith on the demand that their cost be drastically reduced. It can be helped by the unifying of relief activities which today are often scattered, uneconomical, and unequal. It can be helped by national planning for and supervision of all forms of transportation and of communications and other utilities which have a definitely public character. There are many ways in which it can be helped, but it can never be helped merely by talking about it. We must act and act quickly.
이와 더불어 우리는 산업 중심부에 종사하는 인구가 너무 많다는 사실을 솔직히 인식해야 합니다. 그리고 국가적 규모로 재배치에 관여함으로써 그 토지에 가장 알맞은 사람들이 그것을 보다 잘 이용할 수 있게 해 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의 과업은 농업 상품의 가치, 그리고 이와 함께 도시의 산출물에 대한 구매력을 높이려는 확실한 노력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작은 집들과 농장에 대한 담보물을 찾을 권리 상실로 인해 커져가는 손실의 비극을 현실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업은 연방, 주, 그리고 지방 정부가 비용을 과감히 줄여야 한다는 요구가 있는 즉시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오늘날 산발적이고, 비경제적이고, 불평등한 구호 활동을 단일화시킴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모든 형태의 운송수단과 통신과 기타 명백히 공공의 성질을 띤 공익설비들에 대한 국가 차원의 계획과 관리를 통해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업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많습니다. 그러나 단지 그것에 대한 논의만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행동해야 합니다. 우리는 빨리 행동으로 옮겨야 합니다.
Finally, in our progress toward a resumption of work we require two safeguards against a return of the evils of the old order; there must be a strict supervision of all banking and credits and investments; there must be an end to speculation with other people's money, and there must be provision for an adequate but sound currency. There are the lines of attack. I shall presently urge upon a new Congress in special session detailed measures for their fulfillment, and I shall seek the immediate assistance of the several States.
마지막으로 일의 재개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낡은 질서의 악습으로 회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두 가지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모든 은행업무와 대출과 투자에 대해 엄격히 감독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돈으로 투기하는 것을 중단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적절하고 건전한 화폐 유통을 위한 법조항이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 이것이 바로 공격 방침입니다. 저는 특별 회기에 이것을 완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새로운 의회에서 역설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48개 주에 즉각적인 원조를 구할 것입니다.
Through this program of action we address ourselves to putting our own national house in order and making income balance outgo. Our international trade relations, though vastly important, are in point of time and necessity secondary to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national economy. I favor as a practical policy the putting of first things first. I shall spare no effort to restore world trade by international economic readjustment, but the emergency at home cannot wait on that accomplishment.
이런 행동 계획을 통해 우리는 국가를 정비하고 수입 균형이 보다 나아지도록 전념할 것입니다. 국제 무역관계도 매우 중요하긴 하지만, 시간과 필요성의 측면에서 볼 때 건전한 국가경제 수립보다는 부차적인 것입니다. 실질적인 정책으로서 저는 일차적인 문제들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싶습니다. 저는 국제 경제의 재조정을 통해 세계 무역을 회복하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국내의 비상사태는 그런 성과를 기다릴 여력이 없습니다.
The basic thought that guides these specific means of national recovery is not narrowly nationalistic. It is the insistence, as a first consideration, upon the interdependence of the various elements in all parts of the United States-a recognition of the old and permanently important manifestation of the American spirit of the pioneer. It is the way to recovery. It is the immediate way. It is the strongest assurance that the recovery will endure.
국가 회복을 위한 이런 구체적인 방법들을 이끌어가는 기본 사상은 국가 본위의 편협한 국가주의가 아닙니다.
맨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미국 내의 다양한 요소와 미국 각 지역 간의 상호의존에 관한 주장입니다. 그것은 오래된 그리고 영원히 중요한, 미국의 선구자 정신의 표명에 대한 인식이죠. 그것이 회복의 길입니다. 그것이 즉각적인 방법입니다. 그것은 회복이 지속될 것이라는 가장 강력한 확신입니다.
In the field of world policy I would dedicate this Nation to the policy of the good neighbor-the neighbor who resolutely respects himself and, because he does so, respects the rights of others-the neighbor who respects his obligations and respects the sanctity of his agreements in and with a world of neighbors.
세계 정책분야에서 저는 이 나라가 좋은 이웃의 정책에 전념하도록 할 것입니다. 자기 자신을 굳게 존중하는 이웃,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권리도 존중하는 이웃, 자신의 의무를 존중하고 세계 이웃들과의 약속의 신성함을 존중하는 그런 이웃 말입니다.
If I read the temper of our people correctly, we now realize as we have never realized before our interdependence on each other; that we can not merely take but we must give as well; that if we are to go forward, we must move as a trained and loyal army willing to sacrifice for the good of a common discipline, because without such discipline no progress is made, no leadership becomes effective. We are, I know, ready and willing to submit our lives and property to such discipline, because it makes possible a leadership which aims at a larger good. This I propose to offer, pledging that the larger purposes will bind upon us all as a sacred obligation with a unity of duty hitherto evoked only in time of armed strife.
제가 우리 국민들의 기분을 정확히 읽고 있다면, 지금 우리는 과거에 한 번도 깨닫지 못했던 상호의존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그저 받기만 할 수 없고 주기도 해야 한다는 것,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공동 규율이라는 선을 위해 기꺼이 희생할 각오가 되어 있는 잘 훈련되고 충성스러운 군대처럼 움직여야 한다는 그런 인식 말입니다. 왜냐하면 이런 규율 없이는 발전도 이루어질 수 없으며, 지도력도 효율적으로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런 규율에 자신의 목숨과 재산을 기꺼이 내놓을 준비가 되어 있고 또 그럴 용의가 있다는 것을 저는 압니다. 왜냐하면 그래야 더 큰 대의를 목표로 하는 지도력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이렇게 할 것을 제안하며, 보다 큰 목표들이 지금까지 무장 투쟁의 시기에만 일깨워진 의무의 화합과 함께 성스러운 의무로서 우리 모두에게 구속력을 가질 것임을 맹세합니다.
With this pledge taken, I assume unhesitatingly the leadership of this great army of our people dedicated to a disciplined attack upon our common problems.
이런 맹세와 함께 저는 우리의 공동문제에 잘 훈련된 공격을 하는 데 몸 바친 우리 국민들의 이 훌륭한 군대의 지휘권을 주저 없이 맡겠습니다.
Action in this image and to this end is feasible under the form of government which we hav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Our Constitution is so simple and practical that it is possible always to meet extraordinary needs by changes in emphasis and arrangement without loss of essential form. That is why our constitutional system has proved itself the most superbly enduring political mechanism the modern world has produced. It has met every stress of vast expansion of territory, of foreign wars, of bitter internal strife, of world relations.
이런 모습 속의 행동, 즉 이런 목표를 위한 행동은 우리가 조상에게서 물려받은 정부 형태 아래서 가능합니다. 우리의 헌법은 매우 간단하고 매우 실용적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형태를 잃지 않으면서도 주안점과 합의를 바꿈으로써 그때그때 특수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합니다. 우리의 헌법 체계가 현대 세계가 보아온 그 어떤 것보다 최고로 지속성이 있는 정치적 장치라는 것이 입증된 것도 그 때문입니다. 그것은 거대한 영토 확장, 외국과의 전쟁, 씁쓸한 국내 전쟁, 세계 관계의 모든 중요성을 충족시켜왔습니다.
It is to be hoped that the normal balance of executive and legislative authority may be wholly adequate to meet the unprecedented task before us. But it may be that an unprecedented demand and need for undelayed action may call for temporary departure from that normal balance of public procedure.
그리고 행정권과 사법권의 정상적인 균형이 우리 앞에 놓인 전에 없던 과업을 완수하는 데 완전히 동등하고 적절하기를 희망합니다. 그러나 지체 없던 행동에 대한 전례 없는 요구와 필요성 때문에 공적인 절차의 정상적인 균형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날 수도 있습니다.
I am prepared under my constitutional duty to recommend the measures that a stricken nation in the midst of a stricken world may require. These measures, or such other measures as the Congress may build out of its experience and wisdom, I shall seek, within my constitutional authority, to bring to speedy adoption.
저는 저의 합법적인 의무 하에 고통 받고 있는 세계의 한가운데서 고통 받고 있는 한 국가가 요구할 만한 조치들을 추천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저는 제 합법적 권한의 한도 내에서 이런 조치들, 혹은 의회가 그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 세울 수도 있는 다른 조치들이 빠르게 채택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But in the event that the Congress shall fail to take one of these two courses, and in the event that the national emergency is still critical, I shall not evade the clear course of duty that will then confront me. I shall ask the Congress for the one remaining instrument to meet the crisis-broad Executive power to wage a war against the emergency, as great as the power that would be given to me if we were in fact invaded by a foreign foe.
그러나 국가 비상사태가 여전히 중대한 상황에서 의회가 이 두 가지 절차 중 하나를 채택하지 못할 경우, 저는 제게 직면할 분명한 임무의 절차를 피해가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의회에 위기에 대처할 한 가지 남아 있는 방법을 요구할 것입니다. 비상사태에 대처하여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광범위한 대통령의 권한, 즉 사실상 외적의 침략을 받을 경우 저에게 주어지는 권한만큼이나 막강한 그런 권한 말입니다.
For the trust reposed in me I will return the courage and the devotion that befit the time. I can do no less.
제 안에 잠재된 믿음을 위해 저는 시대에 적합한 용기와 헌신을 회복시킬 것입니다. 그 정도는 할 수 있습니다.
We face the arduous days that lie before us in the warm courage of the national unity; with the clear consciousness of seeking old and precious moral values; with the clean satisfaction that comes from the stern performance of duty by old and young alike. We aim at the assurance of a rounded and permanent national life.
우리는 국가적 결속이라는 따뜻한 용기로 우리 앞에 놓인 힘든 시기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소중한 도덕적 가치를 찾고자 하는 분명한 인식, 그리고 노소를 막론하고 단호히 임무를 수행할 때 생기는 그런 순수한 만족감을 가지고 말입니다. 우리는 완벽하고 영구적인 국가의 생명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We do not distrust the future of essential democracy.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have not failed. In their need they have registered a mandate that they want direct, vigorous action. They have asked for discipline and direction under leadership. They have made me the present instrument of their wishes. In the spirit of the gift I take it.
우리는 가장 중요한 민주주의의 미래를 불신하지 않습니다. 미합중국 국민들은 실패한 적이 없습니다. 어려울 때 그들은 직접적이고 열정적인 행동을 원하고 있다는 위임장을 썼습니다. 그들은 지도자의 지휘 아래 규율과 방향을 요구해왔습니다. 그들은 저를 자신들의 소망을 이룰 현재의 도구로 삼았습니다. 저는 그것을 선물로서 받아들이겠습니다.
In this dedication of a Nation we humbly ask the blessing of God. May He protect each and every one of us. May He guide me in the days to come.
이런 헌신 속에, 한 나라의 이런 헌신 속에 우리는 겸손하게 신의 은총을 기원합니다. 그분이 우리 모두를 보호해 주시길. 앞으로 저를 인도해 주시길.
@ 일정
1월 6일 인천공항(CX419) 10:15 홍콩경유(CX765): 13:15 호치민: 18:00 도착
1월 20일 방콕(수완나폼CX708) 10시 홍콩(CX416)16:40 인천 21:05분
@ 여행루트
호치민--미토--깐토--쩌우독--프놈펜--깜퐁--시엠립--포이페이--방콕-아유타야--깐짜나부리--방콕--인천
@ 총평
여행의 목적과 뚜렷한 계획도 없다.
그저 자전거를 타고 1000km이상을 골목구석까지 누벼보는 것이고 코끼리를 타보고, 스쿠버다이빙을 해보는 것이다.
자전거여행을 하면 흔히 비용이 많이 싸게 들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나같은 경우는 전혀 그렇지가 않다. 자전거를 타기에 길이 너무 안좋거나 하루에 이동해야할 거리가 140km이상(텐트를 가져가지 않으므로)이면 버스로 이동하는데 이 버스비가 남들의 약 1.5배정도 드는것 같다.
95%의 시간동안 후회를 했다. 자전거를 가져온것을... 왜 이렇게 힘들게 여행해야만 할까?
하지만 5%의 시간동안 희열을 느끼는 시간이 있다. 그래 바로 이거야... 그래 바로 이거야 운동선수 전지훈련처럼 힘들지만 이루어냈을 때의 희열이란 이루 말할수 없다.
자전거 페달질을 열심히 하며 길가 식당에서 현지인들이 먹는 음식먹고 길묻고 눈인사하며 가끔은 영어가 되는 사람만나 짧은 인사말도 하고... 이것이 좋았다.
높은 버스위가 아니라.. 돈있는 사람들이 타는 자가용이 아니라 그들도 타고 다니는 그들과 동일한 높이의 시선에서 그들에게 좀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자전거여행이 좋았다. 올해 나이 40이다. 30도가 넘는 무더운 날에 120km가 넘게 라이딩하고 잠깐 쉴때 엄지손가락 치켜올려주는 이들이 있어 잔차여행이 넘 좋았다.
@ 1월 6일 첫날
인천공항에서 조금 늦게 티켓팅을 했더니 스탠바이하라고 한다. 이게 뭣이여? 궁금해했더니 잠깐 서있으라고 하더니 캐세이퍼시픽이 아니라 베트남항공비행기 타고 가란다. 직항으로 와우~~~ 그럼 2:30쯤 도착이란다. 와우~~~
잠자다 깨고 기내식먹다보니 도착이다. 떤셋넷(Tan Son Nhat)공항에 도착했더니 33도란다. 헉~~
공항오른쪽으로 짐을 가지고 와서 자전거조립을 한다. 여러명이 구경하는데 조금씩 막힐때 마다 쪽팔린다.
30분가량 조립하고 짐정리하고 숙소를 향해 출발~~~
하노이의 배낭여행자들이 모이는 곳은 호안키엠호수이고 호치민의 배낭여행자들이 모이는곳이 바로 팜응우라우거리이다. Pham Ngu Lao거리를 GPS로 찍어와서 숙소찾는 큰 걱정은 안했지만 자전거 오토바이들의 행렬은 2년만이여서 그런지 적응하기 힘들다.
숙소: Sao Nam Hotel(N 10 46'07.1 S 106 41'38.5)에 숙소를 정하고 밤길에 자전거타고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가 근처 식당에서 쌀국수와 베트남 맥주를 한잔하고 긴 비행기의 여행의 피로를 푼다.
이곳이 바로 팜응우라오거리의 밤풍경이다. 사진보다는 자전거와 오토바이가 많이 지나가고 세계각국에서 온 외국인들이 많다.
이제 자고 낼 부터 미토, 깐토, 쩌우독을 향해 떠나야 겠다. *^^*
[Meat Dishes 고기류]
갈비 pork or beef ribs; the classic 'Korean barbecue'
갈비찜 steamed ribs
불고기 marinated barbecued beef
삼겹살 fried pork slices
산적 Korean-style shish kebab; marinated meat on a skewer
소갈비 beef ribs
돼지갈비 pork ribs
[Soups & Stews 국과 찌개]
콩나물국 bean sprout soup
갈비탕 beef rib soup
김치찌개 김치 stew; Korea's version of bachelor food
매운탕 spicy fish soup
만두국 stuffed dumpling soup
미역국 seaweed soup
삼계탕 boiled chicken stuffed with ginseng
설렁탕 beef and noodles in hot beef-bone broth
순두부 spicy tofu stew
탕수육 sweet and sour pork
된장찌개 miso stew
[Noodles 면류]
잡채 Chinese noodles with slices of vegetable
칼국수 thick noodles in anchovy broth
막국수 vegetable noodles
냉면 spicy cold noodles in broth
비빔냉면 cold vegetable and noodle mix
라면 quick noodles
자장면 noodles in dark sauce
짬뽕 seafood noodles soup of Chinese origin
[Light meals 가벼운 식사]
김밥 rice rolled in seaweed
군만두 fried stuffed dumplings
만두 stuffed dumplings
모듬회 a plate containing all kinds of raw fish
낙지볶음 stir-fried baby octopus
비빔밥 rice and vegetable mix
빈대떡 sometimes called 'Korean pizza' and sometimes 'Korean pancake'
볶음밥 fried rice
생선회 sliced raw fish
생선전 lightly seasoned fried fish that has been dipped in batter
생선구이 broiled and salted fish
새우튀김 prawn tempura
찐만두 steamed stuffed dumplings
왕만두 literally 'king dumplings', very large steamed stuffed dumplings
야끼만두 Chinese-style fried dumplings
[Rice & Side Dishes 밥과 반찬]
총각김치 pickled radish 김치
깍두기 cubed radish 김치
호박전 fried squash slices
김 thin strips of dried seaweed
멸치볶음 anchovy side dish
오이소박이 stuffed cucumber 김치
배추김치 cabbage 김치; the spicy classic version of Korea's national dish of picked vegetables
백김치 white cabbage 김치
백반 cooked rice; completely unavoidable
시금치 나물 whole spinach
두부조림 steamed fried tofu in soy sauce
[After Dinner 후식]
떡 rice cakes
식혜 rice punch
수정과 persimmon punch
의사선생님께 보험금 청구를 하기위한 진단서, 치료명세서, 치료청구 또는 영수증 작성을 부탁드립니다.
To the attending physician Please issue doctor's diagnosis and specification of medical treatment together with receipt for expecitious handling of claim payments by the insurance company.
의사를 불러 주십시오. Please call a doctor. 설사를 했습니다. I have diarrhea.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I am not feeling well. 한기가 납니다. I have chills. 열이 있습니다. I have a fever. 두통이 납니다. I have a headache. 현기증이 납니다. I feel dizzy. 복통이 납니다. I have a stomachache.
|
시름시름 아픕니다. I have cramp. 쿡쿡 찌르듯이 아픕니다. I have a sharp pain. 어디가 나쁜 것일까요. What is wrong with me? 시종변함이 없습니다. I am not feeling any better. 조금 좋아졌습니다. I feel a little better. 언제까지 누워 있어야 합니까? How long will I have to stay in bed? 예정대로 여행을 계속해도 되겠습니까? Is it all right for me to continue my journey on schedule? 비행기는 타도 지장이 없겠습니까? Is it all right for me to fly? 대단히 좋아졌습니다. I feel much better.
|
▒ 병원이용시 유용한 회화
▒감기(Cold)
What's the matter? (어디가 아프십니까?)
I'm afraid I caught a cold. I have a fever and lasting cough.
(감기가 든 것 같습니다. 열이 있고 기침도 납니다.)
I'll prescribe some medicine for your cold. You should rest and stop smoking for a few days.
(감기약의 처방전을 써 드리겠습니다. 2,3 일 쉬시고 담배도 끊으셔야겠습니다.)
의사가 써 준 처방전(Prescription)을 갖고 약국(Drugstore or Pharmacy)에 가면 처방전을 보고 약을 지어줍니다.
폐렴 : Pneunmonia / 기침 : Cough 기관지염 : bronchitis / 현기증 : Dizziness 편도선염 : Tonsillitis / 담 : Phlegm 유행성감기 : Flu
|
결핵 : Tuberculosis천식 : Asthma 재채기 : Sneeze 목이 아프다 : I have a sore throat. 코 막히다 : My nose is stopped up. 머리가 아프다 : I have a headache.
|
▒ 설사 (Diarrhea)
I have terrible diarrhea.(심한 설사를 하고 있습니다.)
Do you have a stomachache? (복통이 있습니까?)
Yes, I have a stomachache. (예 배가 아픕니다.)
What did you eat? (무엇을 드셨습니까?)
I ate raw fish in a Korean restaurant for lunch. (점심에 한국식당에서 회를 먹었습니다.)
It may be food poisoning. (식중독 같습니다.)
장염 : Enteritis / 가슴앓이 : Heart Burn 대장염 : Golitis / 피똥 : Bloody Stool 위염 : Gastritis / 물똥 : Watery Stool
|
위궤양 : Stomach ulcer위하수 : Gastroptosis소화불량 : Dyspepsia메스껍다 : I feel nauseated.구역질이 나다. : I want to vomit.
|
▒ 맹장염 (Appendicitis)
It hurts around the navel.
배꼽 주위에 통증이 있습니다.Press the lower part of your stomach on the right side.
오른쪽 아랫배를 눌러 보십시오.Oh! It hurts a lot.
아, 매우 아픕니다.I think this is a appendicitis. You will have to undergo an opperation.
맹장염 같습니다. 수술을 받으셔야 겠습니다.
맹장염과 관련된 유용한 단어들
복막염 : Peritonitis / 트림을 하다 : Belch / 소장 : Small Intestine
변비 : Constipation / 대장 : Large Intestine
수술실 : Operation-Room / 입원 : Admission
변비입니다. : I have no bowel movements.
식욕이 없다. : I have no appetite.
▒ 염좌 "삐었을 때" (Sprain)
I fell down the stairs in the bus terminal, and I think I broke my leg.
버스터미널의 계단에서 굴렀을 때 다리가 부러진 듯합니다. 몹시 아픕니다.
Does it hurt when I press it here?
여기를 누르면 아픕니까?
Not much.
그렇지 않습니다.
I think you haven't broken your leg but sprained your ankle.
골절이 아니고 발목을 삔 듯합니다.
사고 : Accident골절 : broken Bone관절염 : Arthritis습포 : Cold Compress내출혈 : Internal Bleeding
|
마사지 : Massage Treatment외상 : External Injury지지대 : Supporter탈구 : Dislocation붕대 : Bandage
|
▒ 충치 (Cavities)
I have toothache when I eat. I can't eat anything. My cheek is swollen and sometimes I can't
sleep at night.
(식사 때 이가 아파서 아무 것도 먹을 수 없습니다. 볼이 부어 밤에 잠도 이루지 못합니다.)
It would be good to extract it. (빼는 쪽이 낫겠습니다.)
Well, could you take care of the pain? (통증을 없애 주십시오.)
▒ 약국이용시 유용한 회화
May I help you? (뭘 도와드릴까요?)
Yes, will you please get this prescription filled? (네, 이 처방전대로 약을 지어 주십시오.)
Sure, It'll be ready in 10 minutes. (그러죠, 10분 후에 되겠습니다.)
Thank you. (감사합니다.)
[출처]긴급상황 해외여행 필수 생활영어|작성자프라임